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슈탈트 이론이 적용된 모션그래픽의 표현연구

        이윤정(Lee Yunjung),해태(Kim Haeta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최근 디지털 환경의 발달로 영상 이미지는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많이 활용 되고 있다. 특히 모션그래픽은 영상을 메시지의 주체로 등장시켜 영화 오프닝타이틀 뿐만 아니라 TV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마케팅 활동과 문화콘텐츠 디자인의 핵으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이미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의 구성이나 의미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가 필요한데 복잡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시각기호를 단순화시켜 좋은 형태로 지각하고자 하는 게슈탈트의 이론은 모션그래픽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모션그래픽에 표현되어진 게슈탈트의 이론을 분석해 본 결과 광고의 경우 형태를 부각시키고 상징성에 따른 의미전달로 인해 정보의 의미를 명확히 하여 효율의 극대화를 가져왔다. 뮤직비디오에서는 다양한 실험기법을 통해 가수나 밴드의 이미지의 전달과 시각정보의 명확성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의 메시지가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오프닝타이틀의 경우 시간의 흐름을 강조하여 주제를 암시하거나 영화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강한 시각적 악센트로 표현되었다. 이와 같이 모션그래픽은 게슈탈트이론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보다 전체가 중요하다는 개념과 일맥상통하여 각각의 요소인 그래픽이미지 사운드 타이포 움직임 등이 전체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미지와 사운드의 함축적이면서 상징적으로 표현된 게슈탈트의 이론을 활용한 다양한 모션그래픽들은 인간의 감정과 감성을 배가시키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된다. 하여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표현과 그래픽 스타일의 구축으로 하나의 독립적인 예술적인 장르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development in digital environment the video image is used not only as visual information but also as means of communication as nonverbal element. Especially recent uses of video image in marketing or cultural contents like movie opening titles and TV advertisement have been accepted as new way of communication. Therefore to understand these the theoretical knowledges about construction or significance in screen are required. From among theories Gestalt Theory can be applied to motion graphic. Because that is to deliver clear messages from complicated symbols by simplification. An analysis of motion graphics applicated Gestalt theory shows that as advertisements Gestalt theory accentuates the shape and maximizes their efficiency in clarifying the meaning of information by the symbolism of image. As movie video it delivers the image of the musicians or the bands and also emphasizes their artistic messages. And as opening title it emphasizes stream of time to hint the subject or expresses the symbolic image of movie. Thus graphic image sound and typography in motion graphics should be expressed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entire context likewise Gestalt theory that is the entire context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re part. As a result various motion graphics applied Gestalt theory can rise the emotion and sensibility of human. And later they can elevate into the separate genre of art.

      • KCI등재

        서비스업 장애인 바리스타의 근로행동에 대한 고객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김효실(Kim Hyosil),이해태(Lee Haetae),차석빈(Cha Sukbi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4 장애와 고용 Vol.34 No.2

        연구목적: 본연구는 장애인 바리스타의 근로행동에 대해 고객이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 인식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 인식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영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장애인 바리스타에 대한 고객의 인식유형을 조사하였다. 먼저 56개의 Q-모집단의 수집후 23개의 진술문을 도출하고, 그다음으로 30명의 고객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바리스타의 근로행동에 대한 고객의 인식유형은 3가지로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동정지향성 고객유형’, 제2유형은 ‘효율지향성 고객유형’, 제3유형은 ‘배려지향성 고객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처음으로 고객 관점에서 장애인 바리스타의 근로행동에 대한 고객의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였기에 장애인 인식 관련 연구의 주제 범위를 확대하였다. 둘째, 장애인 바리스타가 고객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안을 결론에 제시하면서 장애인을 채용한 업체와 장애인 관련 유관기관에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ow customers perceive the working behavior of disabled baristas. Method: In order to analyze an individual’s subjective perception, Q-methodology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ustomers’ perception of disabled baristas. First, 23 statements were derived after collecting 56 Q-populations, and then 30 customers were selected as P-samples and Q-classification was performed. Results: Three types of customer perception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work behavior of disabled baristas. Thee types were named as ‘compassion-oriented customer type’, ‘efficiency-oriented customer type’, and ‘consideration-oriented customer typ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ecause, for the first time, it was approache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to identify custom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behavior of disabled baristas. Second,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employ disabled people and for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disabled by suggesting some useful ideas to deal with difficulties that may arise when disabled baristas interact with cust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