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사회적경제

        이해진,LEE Hae-Jin 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학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의 제도화 과정을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제도화에 따른 정치화와 탈지역화의 문제에 대해 사회적경제의 지역화 관점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한다. 이를위해 사회적경제의 관계적-동태적 특성을 혼종성, 고유성, 이동성으로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화, 정치화, 지역화의 동학을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한국 사회적경제의 제도화의 역사는 정부 주도적인 경로 의존성 속에서 시기별로 억압적 제도화, 헤게모니적 제도화, 신자유주의적 제도화 과정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최근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제도화 국면에서는 사회적경제 담론을 선점하려는 정치권력의 정치적 아젠다 경쟁, 복지와 경제문제를 우회하려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전략, 그리고 이를 위한 통합적 정책추진체계 구축과 같은 정치과정들이 발견된다. 정치권력이 사회적경제를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정치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정치화에 대응하는 사회적 경제 진영의 주도권과 통합적 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원인으로는 사회적경제의 제도화에 따른 사회적경제 조직의 분화, 역사적 발전단계 및 이해관계의 차이, 그로 인한 실질적인 연대 경험의 부재를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경제의 정치화와 탈지역화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지역사회를 진지로 삼아 대항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사회적경제의 지역화 전략을 제시했다. 이는 지역사회에 배태된 사회적 경제의 사회운동적 성격을 강화하고 아래로부터 사회적경제의 주체와 역량을 확대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and provide alternative strategies of the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y as a response to the politicization of the current social economy. This article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as hybridity, originality, and mobility and analyzes the dynamics of institutionalization, politicization, and localization of social economy in terms of political sociology approach. Using this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cess of the Korean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conomy as oppressive institutionalization, hegemonic institutionalization, and neoliberal institutionalization, which have historically evolved.

      • KCI등재

        중규모 해양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 해양순환 재현

        이해진,안중배,Lee, Hae-Jin,Ahn, Joong-Bae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해양모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한반도 주변 대기경계조건에 대한 해양모형의 반응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크게 스핀업(spin-up) 실험과 재현(reproduction) 실험으로 나뉘는데, 스핀업 실험은 해양모형을 스핀업시켜 기후학적 월평균 해양상태로 유도하는 실험으로 월평균 대기상태를 경계조건으로 하여 해양모형을 장기적분하였다. 재현 실험은 1980년${\sim}$1998년 동안(19년)의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변동을 재현하고자 한 실험으로 이를 위하여 스핀업 마지막 해의 해양상태를 모형의 초기상태로 하고 그 기간 동안의 월평균 기상 자료를 경계조건으로 해양모형에 적용하여 19년간 적분하였다. 스핀업 실험에서 모형은 동해지역에서의 동한 해류의 이안, 극전선대(polar front)형성 그리고 소규모 에디들에 의한 냉수대의 형성과 황해지역에서의 연안역과 중앙부 사이에 남북으로 형성되는 수온전선 대 그리고 역풍류(Upwind Current)의 변화에 기인한 순환 구조의 계절적인 변동 등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순환들을 잘 모사하였다. 또한 1982${\sim}$98년까지에 대한 재현 실험에서는 주어진 대기 경계조건에 따른 해면온도의 변동성과 기간동안 약 0.5$^{\circ}$C의 해면온도 아노말리의 상승을 관측과 유사하게 모사하였다. 따라서 실험은 모형이 주어진 경계조건에 대하여 해양의 평균적인 상태 뿐만 아니라 변동성도 잘 모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the oceanic responses to given atmospheric boundary conditions are investigated using a mesoscale ocean circulation model.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so called, spin-up experiment and the other is reproduction experiment. The spin-up experiment simulates climatic state of ocean by integrating the ocean model with upper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nthly mean atmospheric climate dat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for the reproduction of major oceanic changes aroun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1980-1998 (19 years), the model has been integrated under the boundary condition of the 19year monthly mean atmosphere data. The spined-up state of ocean generated from the spin-up experiment is assigned to the initial boundary condition of the reproduction experiment. In the spin-up experiment, the model properly simulates the major features of circulation structure around Korean Peninsula; such as separation of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formation of the polar front, cold water band associated with the small scale eddies in the East Sea, the formation of front along west coast,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circulation pattern caused by changing upwind current in the West Sea.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the model has shown the interannual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and a warming trend of about 0.5$^{\circ}$C during the period around Korean Peninsula, as in the case of the observ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is capable of simulating not only the mean states but also the variabilities of ocean under the given atmosphere boundary conditions.

      • KCI등재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하기

        이해진(Lee Hae-jin),윤병선(Yoon Byeong-se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2

        이 논문은 로컬푸드운동의 발전전략을 사회적경제 생태계와의 연계를 확장하는 데서 찾고, 로컬푸드운동의 영역을 확장하는 사회화 전략으로 농식품시티즌십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시민-소비자들의 수요와 지지도를 측정하여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의 상호 연계성과 농식품시티즌십이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시키는 매개역할의 가능성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 경험적 분석자료는 2015년 『한국인의 식습관과 대안먹거리 인식조사』를 통해 수집된 1,300명에 대한 서베이조사를 활용하였다. 로컬푸드운동, 농식품시티즌십, 사회적경제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운동에 참여할수록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양자의 상관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로컬푸드운동을 체험하는 것은 농식품시티즌십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 농식품시티즌십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사실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로컬푸드운동은 농식품시티즌십의 작동을 통해서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추론할 수 있다.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매개전략으로 농식품시티즌십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의 생산에서 소비에 걸친 관계망과 집합적 실천을 바탕으로 기존의 농식품 시장경제 체계를 변혁시키는 농식품시티즌십이 적극적으로 조직됨으로써 로컬푸드운동과 사회적경제는 대안운동으로 확고히 뿌리내릴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local food movement to expand linkage with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examines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socialization strategy beyond the boundary of local food movement. For this purpose, it measured citizen-consumer`s support for local food movement and social economy movement and examined the mutual linkage between the two,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a linkage strategy of local food movement to social economy ecosystem. As an empirical analysis, the paper used a survey data of 1,300 people collected in 2015. Local food movement, agri-food citizenship, and social econom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empirically that the more the citizen consumers prefer to the local food move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support the social economy.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ing the local food mo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agri-food citizenship.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agri-food citizenship, the higher the tendency to support the social econom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local food movemen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a social economy ecosystem through the operation of agri-food citize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agri-food citizenship as an intermediary strategy to expand the local food movement to the social economic ecosystem. The local food movement and the social economy can be firmly rooted in the alternative movement when the agri-food citizenship that transforms the existing agri-food market economy system based on the relationship network and collective practice is actively organized.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근긴장성 이양증 환자에서 질식 자궁근종절제술 시 Bispectral Index를 이용한 전정맥마취

        이해진 ( Hae Jin Lee ),전진영 ( Jin Young Chon ),황수진 ( Su Jin Hwang ) 대한마취과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3 No.2

        We report a patient with myotonic dystrophy, who underwent a transvaginal uterine myomectomy. Anaesthesia was induced and maintained with remifentanil and the target-controlled infusion of propofol titrated according to the bispectral index (BIS). A ProSeal laryngeal mask airway (PLMA) was inserted, and mechanical ventilation was performed without a muscle relaxant. The time from the end of anaesthesia to the patient-awakening was approximately 8 minutes. The rapid offset of the action of remifentanil and low-dose propofol facilitated early recovery without respiratory complications. The total intravenous anaesthesia using the BIS and the PLMA without a muscle relaxant is a useful anaesthetic technique in myotonic dystrophy patients. (Korean J Anesthesiol 2007; 53: 238~41)

      • SCOPUSKCI등재

        임상연구 :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강 내 Ropivacaine 주입의 효용성

        이해진 ( Hae Jin Lee ),우영균 ( Young Kyun Woo ) 대한마취과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3 No.4

        Background: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may not provide complete postoperative analgesia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addition of local, intra-articular ropivacaine improves the quality of the analgesia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ethods: In the prospective, double-blind trial, 17 patients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of both knees with a standard general anesthetic technique had a infusion catheter placed at each knee joint at the end of surgery. The first knee joi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a bolus of 20 ml 0.75% ropivacaine or saline followed by continuous infusion at 2 ml/h for 48 hours. The later knee joints received saline or ropivacaine that was not administered in the first knee joints in same manner. All patients received IV PCA. The difference in pain for each knee was assessed before surgery and at 2, 4, 6, 12, 24, 36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The use of a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each knee was also assessed at 2, 4, 6, 12, 24, 36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difference in pain between each knee significantly increased at 4, 6, 12, 24, 36, 48 hours. However, the VAS in the ropivacaine-infused kne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saline-infused knee at 12 and 24 hour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ra-articular infusion of a bolus of 20 ml followed by continuous infusion at 2 ml/h with 0.75%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has only a marginal analgesic effect. (Korean J Anesthesiol 2007; 53: 486∼90)

      • KCI등재

        농촌지역개발사업 성과의 차이와 농촌사회 발전에 대한 함의

        이해진(Hae Jin Lee) 한국농촌사회학회 2012 農村社會 Vol.22 No.2

        이 논문은 농촌개발사업 성과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농촌개발사업 및 농촌발전의 방향을 모색하는 목적을 가진다. 농촌개발사업에서 경제적 성과와 더불어 시민공동체적 발전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농촌개발사업 성과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권역 마을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참여한 4개 마을 권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자본, 참여도, 리더십, 민주적 운영, 호혜성 등 사회적 관계 차원에서 권역 마을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농촌개발사업의 성과에 대한 주민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은 경제적 이익, 리더십, 호혜성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농촌개발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동기부여와 그것을 호혜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지역주체들의 역량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해준다. 끝으로 농촌사회발전을 위한 농촌정책의 방향, 귀농귀촌인의 역할, 사회적 포섭 및 마을민주주의, 농촌사회의 시민공동체적 발전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utcome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to explore alternative ways to develop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Based on a perspective that civil community development needs to be paired with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is paper examin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focusing on the variables which are considered to affect those diverse outcomes.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on the residents living in four village-level rural communities which took part in "the Rural Village Integrated Development Program" launch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05 to 20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our communities reveal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ose "social relationship factor" s such as social capital, participation, leadership,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reciprocity. In particular, economic gains, leadership, and reciprocity a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s` evaluations for the success of the rural development programs. These findings are valuable since they can be taken to confirm an implication that the rural people`s subjective capacities and efforts to achieve economic mobilization and reciprocal gain-shar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rural development. The article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a redesign of public policies for rural development, roles of those who are returning from urban to rural areas, social inclusion, and civic community development in rural areas are important themes to be pursued for the future of the rural development.

      • KCI등재

        4대강사업과 지역개발의 정치

        이해진(Hae-Jin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이 논문은 4대강사업의 기원과 추진과정을 지역개발의 정치의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했다. 토건국가론과 제솝(Bob Jessop)의 전략관계론적 접근 및 사회공간적 관계 이론에 바탕을 두고 4대강사업에 내포되어 있는 국가의 지역개발정치의 구조와 동학을 분석하였다. 먼저, 4대강사업의 기원을 토건국가의 정치경제적 변동과 토건세력과의 전략적 동맹이라는 지역개발정치의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4대강사업이라는 국가의 공간적 선택성이 출현하게 된 배경은 토건자본 축적의 위기와 토건세력의 이해가 결합된 국가의 공간 프로젝트이자, 시민사회세력의 저항에 따른 조절위기를 우회하는 지배헤게모니 프로젝트 전략임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4대강사업을 둘러싼 지역개발정치의 과정을 영역(Territory), 장소(Place), 스케일(Scale), 네트워크(Network)의 4가지 사회 공간적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먼저 지역정치와 지역주민들이 개발이익을 중심으로 지역 내부와 외부를 구분짓는 지역개발정치의 영역화 논리를 살펴보았다. 친수구역활용특별법의 사례에서 4대강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이 4대강 유역을 개발지역으로 장소화하는 지역개발정치의 사회공간적 전략의 하나였음을 확인하였다. 4대강사업을 실행한 건설대기업들의 담합의 사례에서는 지역개발정치가 토건동맹 세력들의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국가와 지역의 스케일에서 상호작용하는 지역개발정치의 국가화와 지역화의 동학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4대강사업에서 드러난 토건국가와 토건동맹세력의 지역개발정치를 민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시민사회세력의 반개발연합의 연대와 대항헤게모니의 구축이 요구된다는 논지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origins and processes of the Four-River Project from the politics of regional development perspective. The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and the dynamics of developmental politics. In doing so, I have relied on the discourses of the construction-oriented state, the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and the theory of socio-spatial relations suggested by Bob Jessop. I argue that the origins of the Four-River Project lie in the political economic changes in construction-oriented state and the strategic alliance among construction-friendly social forces. The context in which the Four-River Project, as the state-led spatial selectivity, emerged can be explained by the crisis of construction-based accumulation and the collective interest of developmentalist social forces. In addition, the Project is interpreted as a hegemonic project to detour the regulation crisis caused by civil society resistanc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politics of development centered around the Four-River Project by analyzing four elements of socio-spatial relations such as territory, place, scale, and network. Territorialization is confirmed by demonstrating how the local politics and the residents, involved in development interests, demarcate the interior and the outside in the anticipated development area. Place-making is found in the ‘Special Act for Development,’ which encourages development of areas within 2 km boundary of the river. The collusion among the construction conglomerates confirms that the developmental networking is operating. Lastly, scaling dynamics was found between the nation level and local interest.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formation of anti-developmental alliance and counter-hegemonic movement is necessary to democratically control the politics of construction.

      • KCI등재

        ‘여성’에서 ‘인간’으로, 주체를 향한 열망

        이해진(Lee, Hae-Jin)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2

        이 연구는 조선시대 여성 성리학자인 임윤지당과 울스턴크래프트의 주체 인식과 여성에 대한 시각을 상호 비교하여 윤지당의 주장에 내포된 여성주의적 함의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두 사람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8세기 후반 강력한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 우위의 시대적 모순을 읽어내고 여성 또한 남성과 동일한 ‘주체’로 구성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지리적, 문화적 간극을 뛰어 넘어 서로 만나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여성에게는 허용되지 않은 학문세계로 진입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명한 저술을 남긴 매우 이례적인 삶을 살았다. 두 사람의 저술에는 여성도 남성과 동일한 본성을 가진 ‘인간’임을 선언하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윤지당은 범인과 성인은 그 본질에 있어 동일하다는 인간의 보편성을 통해 남녀는 질적으로 다르거나 우열의 차이를 가진 존재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주장한다. 울스턴크래프트 또한 여성도 남성과 동일한 정신을 소유하고 동일한 능력을 가지며 따라서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역설한다. 이와 같이 두 사람은 당대의 핵심 철학인 성리학과 계몽주의가 토대하고 있던 보편성을 무기로 여성과 남성은 차별적인 주체가 아니라 동일한 주체임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ideas of Im-yun-gi-dang who was female Neo-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and Mary Wollstonecraft of the United Kingdom. The reason Yun-gi-dang and Wollstonecraft were chosen is that these two people lived in same period when the strong patriarchal society, sex discrimination was in common, but they resisted to that kind of unfair common notion and prejudice even though they lived two different cultures. These two women insisted that women and man have the same original nature and equality. They also declared that the woman are the ‘subjects’ same as man. Yun-gi-dang and Wollstonecraft left writings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gender equality. yun-gi-dang wrote 『Yunggidangyugo』(允??稿堂) including her own opinion on the issue of Neo-confucianism. Wollstonecraft also wrote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recognized as a classic in the history of western feminism. yun-gi-dang and Wollstonecraft criticized the narrow vision based on gender differences and mad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gender equality by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men and women. yun-gi-dang"s opinion that women has the same nature as men was surprisingly corresponding with the liberal feminist"s claim, the departure of western feminism, beyond the sexist interpretation of the male neo-confucian scholar of Joseon Dynasty. Western feminist started from the discourse that questioned to the men"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universal values which was ‘men and women the same humans". They claimed women exist as an independent existence and forced to men to acknowledge the women as subjects. In the history of western feminism, independent subjectivity was very important, because women could claim on the same legal rights as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