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 개정 방향

        이해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3

        영상저작물 저작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이 다수 국회에서 발의되어 심의 중에 있는 상황 속에서, 이 논문은 우리나라 저작권법상의 영상저작물 특례규정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하고 타당한 방안이 무엇일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판단이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일반 저작자와 실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보상청구권 제도에 의하여 영상저작물 저작자와 시청각실연자도 보호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지만, 그보다는 영상저작물에 특화된 보상청구권 규정을 도입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하지만, 일반 저작자를 위한 추가보상청구권 제도의 도입도 창작자와 실연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입법과제이고 영상저작물 제작에 참여하는 각본가의 권리와도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도입을 영상저작물에 특화된 보상청구권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병행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보상청구권 제도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권리자에 대한 쟁점, 의무자에 대한 쟁점, 그리고 권리의 내용 및 행사 방법에 대한 쟁점 등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상저작물의 저작자와 함께 시청각실연자도 보상청구권 제도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형평성 등의 측면에서 타당하다. 둘째, 저작자의 결정과 관련하여 사례방법을 취하고 있는 우리 법제 하에서 보상청구권을 가지는 저작자들을 한정적으로 열거하여 규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저작자의 결정은 기존의 해석론에 맡겨야 한다. 셋째, 보상청구권의 상대방, 즉 보상의무자는 최종이용자가 아니라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권리를 양수받아 이용허락 등의 방법으로 행사하는 영상제작자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현실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저작자 등과의 계약 상대방만이 아니라 재양수인 등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며, 보상청구권의 잔여권(residual right)으로서의 성격에 비추어 그러한 대항력 인정에 법리적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넷째, 저작자 및 실연자가 연출료, 출연료 등으로 받는 대가와 관련하여 영상저작물의 이른바 ‘최초이용’에 대하여는 이미 대가를 지급받은 것으로 보아 보상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안이다. 최초이용의 범위는 보상금 요율 등의 결정과 함께 일차적으로 지정단체와 영상제작자등 사이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하도록 하고, 그것이 안 될 경우 2차적으로 조정에 의한 결정을 시도해 보고 그것도 잘 성립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으로 법원에 제소하여 판단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의 기준 등을 모두 시행령에 위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다섯째, 보상청구권의 행사는 권리자 단체 중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하는 단체에 의하여 하도록 하는 의무적 집중관리 제도를 취하여 창구단일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영상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권리자들의 권리보호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좋은 방안이다. In a situation where many bills for the revision of Copyright Act have been proposed and are being considered in the National Assembly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special provisions for audiovisual works and protect audiovisual work authors and audiovisual performers, this paper examines what i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rights of audiovisual authors and audiovisual performe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 plan is being discussed to ensure that authors of audiovisual works and audiovisual performers are also protected through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general authors and performers, but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roduce remuneration regulations specific to audiovisual works.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an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 for general authors is an important legislative task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reators and performers and is also related to the rights of screenwrit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audiovisual works, its introduction must proceed simultaneously and in parallel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emuneration system specialized for audiovisual works.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remuneration syste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reviewing issues regarding rights holders, issues regarding obligors, and issues regarding the content and exercise method of rights. First, it is reasonable in terms of equity to provide that audiovisual performers, along with authors of video works, can receive protection under the new remuneration system. Second, under our legal system that adopts a case-by-case method with respect to the author's decision, it is not appropriate to provide a limited list of authors who have the right to claim remuneration, and the author's decision must be left to the existing interpretation theory and practice. Third,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it is desirable to define the other party of the right to remuneration, that is, the person liable for remuneration, not as the end user, but as a audiovisual work producer, etc., who inherited the rights of the author or performer and exercises them through methods such as licensing for use. In that case, it is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effect not only against the other party to the contract with the author, etc., but also against third parties, such as the person to whom the rights have been transferred,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remuneration as a residual right, there is no legal problem with recognizing such effect. Fourth, in relation to the remuneration received by authors and performers in directing fees, actors' fees, etc., it is reasonable to exclude remuneration for the so-called ‘first use’ of audiovisual works as remuneration has already been paid. The scope of initial use should be determined primarily through negotiation between the designated organization and the audiovisual works producer, etc. along with the decision on the remuneration rate, etc., and if that is not effective, a solution through mediation should be attempted secondarily, and if that does not work out well, the final decision will be made by the court. It is not appropriate to delegate all remuneration standards, etc. to the enforcement ordinance. Fifth,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muneration must be carried out by an organization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mong rights holder organizations, and a 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is in place to enjoy the effect of unifying the window. This is a good way to ensure the balance betwee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video industry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uthors and performers.

      • KCI등재

        확대된 저작권 집중관리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이해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3

        In recent years, the extended collective licensing(ECL) system for copyright has been drawing extensive attention from scholars, officials and legislators of Korea from the viewpoint that its introduction can promote the effective use of copyrightable works. After examining the necessity of its introduction, the compatibility with the international treaties including Berne convention and WPPT, and the various concerns that people against this system raise, this article explores the specific areas where ECL system can be introduced. It is based on a positive perspective toward ECL system. The introduction of ECL system is necessary for following four reasons. Firstly, it will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olving the problem that people can not use enough works to meet the needs that has increased exponentially through digital revolution, due to too high transaction cost related to the exclusivity of copyright. Secondly, it will help users use almost all the works of certain genre under the contract with a representative collecting society without concern for being illegal. Thirdly, it can benefit copyright holders in substance while it does not harm the economic and moral rights of them. Lastly, it can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copyright collective system. And,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s that ECL system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pyright treaties including Berne Convention and WPPT because it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copyright management system that respect the exclusivity of copyright holders by giving them veto rights and benefit them by decreasing the transaction cost. Also in my view, the conclusion above has been being approved generally in international society after the adoption of EU copyright directive of the year 2001.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applicable areas of ECL should include i) photocopying literary works(including illustration) with public copier for private use, ii) the mechanical reproduction and public performance or communication of musical works, iii) digitalization and public transmission of academic these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research iv) digital reproduction or public communication of performance and phonogram of musical works when the system is introduced in a new legislation.

      • KCI등재

        창작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저작권법 개정 방안 연구

        이해완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5

        Currently, the government is pushing for complete revision of the copyright law in about 14 years. One of the thing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is full revision is the revision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individual creators. It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divisions: the revision of the regulations about works for hir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rovisions about copyright contracts as mandatory regulations. If these two revisions are made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that has not been in the history of copyright law revision until now, an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 new milestone in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reato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basic direction based on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levant legislative cases and further to derive a specific regulation on the above two revision issues to improve creator rights and interests. In conclusion, even when all the requirements as works for hire are met, in accordance with “creator principle”, the status of the author must be given to the individual creator while all the copyrights of the author, including the right to create derivative works, are presumed to have been transferred to employers such as corporations. It should be provided that the moral rights of authors are also partially limi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employers such as corporations. Next, regarding the copyright contract law, in the case of "Cloud Bread" case, which has been a social concern, the author has been bound by the original contract and has been completely alienated from the ongoing profits from his work, even if the work he created became a world known bestseller. To ensure that there is no such problem, the author can exercise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compensation if there is a significant imbalance between the profits from the work after the contract and the compensation received through the contract. But when the contract was made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 compensation from the beginning It should be treated exceptionally. If these revisions are made, it is expected tha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creators will be greatly enhanc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will be further driven by the increased motivation of individual creators. 현재 정부는 약 14년 만에 저작권법의 전부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전부개정에 꼭 포함되어야 할 것 중의 하나가 자연인 창작자의 권익을 향상하기 위한 개정이다. 그것은 업무상저작물 규정의 개정과 강행규정으로서의 저작권계약법 조항 도입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번에 만약 이 두 가지의 개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지금까지의 저작권법 개정의 역사에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고 창작자 권익 보호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창작자 권익의 향상을 위한 위 두 가지의 개정 이슈에 대하여 관련 입법례 등의 상세한 분석을 토대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정립하고, 나아가 구체적인 규정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결론적으로, 업무상저작물의 관한 규정은 창작자원칙에 따라 업무상저작물로서의 요건을 모두 같은 경우에도 자연인 창작자에게 저작자의 지위를 인정하고, 그 대신 법인등 사용자에게 2차적저작물작성권을 포함한 모든 저작재산권이 양도된 것으로 추정하며, 저작인격권에 대하여도 법인등 사용자의 이익을 고려하여 일부 제한하는 규정을 두는 것을 기본적인 개정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음으로 저작권계약법과 관련하여서는, 무엇보다 그 동안 문제가 되어 온 구름빵 사건과 같은 경우에 저작자가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이 베스트셀러가 된 경우에도 원래의 계약에 얽매여 자신의 저작물로부터 나오는 수익에서 완전히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계약 이후 저작물로 인한 수익과 계약을 통해 저작자가 받은 보상 사이에 현저한 불균형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저작자가 추가보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만 처음부터 비례보상의 원칙을 적용하여 계약한 경우는 예외사유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위와 같은 개정이 이루어지면, 창작자들의 권익이 크게 신장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창작의욕을 높임으로써 문화산업의 발전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음악저작물의 창작성과 ‘관용구’ 주장에 대한 판단기준 -‘Someday 사건’에 대한 대법원 2015. 8. 13. 선고 2013다14828 판결의 평석-

        이해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성균관법학 Vol.34 No.2

        대중음악과 관련된 표절 분쟁이 실제로 소송화된 사례들을 들여다보면, 피고 측에서 거의 예외 없이 하는 주장 중의 하나가 바로 피고가 작곡한 음악저작물의 특정 부분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는 원고의 음악저작물 부분("원고 대비 부분")은 일종의 '관용구'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창작성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피고는 원, 피고 당사자들이 아닌 제3자가 작곡한 곡들을 사례로 제시하면서 그것이 원고 측 음악저작물의 해당 부분과 유사하다고 주장하곤 한다. 이러한 사안에 대하여 법원이 어떤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의문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판결(대법원 2015. 8. 13. 선고 2013다14828 판결)은 바로 위와 같은 쟁점을 가진 사건에 대하여 최초로 그 판단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한 중요한 판례이다. 대상판결이 위와 같은 사안에 대하여 제시한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저작물에 대한 침해소송에서 원고의 음악저작물 전체가 아니라 그 중 특정 부분(‘원고 대비 부분’)이 피고에 의하여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먼저 그 특정부분에 한정하여 그 부분이 창작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둘째, 피고가 ‘원고 대비 부분’과 유사한 다른 선행저작물들을 제시하면서 그것이 관용구(관용적 표현)에 불과하므로 창작성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지의 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이 직접적 언급을 하지는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유용하고 명료한 해결지침을 제공하였다. 즉, 대법원은 그러한 경우에 비교대상 저작물들 하나하나와의 개별적인 비교 판단을 통해, 비교대상이 된 음악저작물의 특정 부분과 사이에, 원고 대비 부분이 복제물에 해당하는지를 따지는 방식으로 결론을 내림으로써 그러한 경우에 ‘관용구’라는 애매하고 불확실한 개념을 중심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일부 유사한 선행저작물이 있다는 것만으로 ‘관용구’라고 단정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관용구’가 아니라는 이유로 그 부분을 포함한 원고 음악저작물의 전체적 창작성을 인정한 다음 피고의 침해 여부에 대한 판단으로 넘어가는 태도도 옳지 않다. 대법원은 그러한 전제 하에, 오로지 '원고 대비 부분'이 하나하나의 '비교 대상 저작물'과 사이에 복제물이라고 볼 수 있는 요건을 갖추었는지 여부를 엄밀하게 따짐으로써 그 창작성의 유무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상 판결이 제시한 이러한 판단기준은 창작성에 대한 기존의 법리와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 할 수 있고, 동일한 쟁점을 내포한 이후의 음악저작물 저작권침해 소송에서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창의성과 가치 — 결과에서 덕성으로

        이해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4

        Creativity is often defined as ability to produce novel and valuable outcomes. It is also claimed that the product, not the process, should be the focus when analyzing this concept. One flaw that has been identified in these positions is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cannot be properly analyzed without including conditions concerning the agent. However, it is my contention that we also need to rethink the value condition for creativity. Surely our intuition supports that creativity is related with value, but despite the general acknowledgment, what we should be considering as the conceptual element of creativity may not be the value of what it produces. I argue for showing that the consequentialist view concerning the value of creativity generates counter-intuitive results. As an alternative, I show my support for a kind of virtue theoretic understanding on creativity. I think this is a right perspective to accommodate both the agency requirement and our intuitive beliefs of how the nature of value in creativity should be understood. 창의성은 새롭고 가치 있는 것을 생산하는 능력이며, 창의성의 설명을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과정이 아니라 산물이라는 입장이있다. 하지만 창의성 개념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어떤 식이건 산물의 생산에 관련된 행위자의 내적 과정을 분석에포함함으로써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내적 과정을 추가적으로고려한다고 해도 가치 조건이 ‘창의적 과정의 결과물이 가지는 가치’로 이해되는 한(이것을 결과주의로 부를 수 있다) 반직관적이고작위적인 귀결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 글의 논변이다. 결과물의가치가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라는 견해는 비록 일반적인 듯 보여도과학적 창의성의 실용적 측면에 경도된 시각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의심이다. 따라서 필자는 몇 가지 방식으로 창의성에 관한우리의 직관이 결과주의를 지지하지 않음을 보이려 한다. 나아가 대안으로 필자는 창의성을 인간이 가진 좋은 품성(덕성)으로 보자는 제안을 소개한다. 이는 행위자 조건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정신에서비롯된 것이지만, 덕성이 가진 도구적이거나 본유적인 가치를 창의성의 가치로 볼 수 있다면 창의성의 개념에 가치 있음이 포함된다는우리의 직관을 존중하면서도 결과주의의 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해 방식이 아닐까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중매체의 발전과 대중예술 정의의 문제

        이해완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5 No.-

        It is all too well known that there is a group of artworks-by some people, though, their "art" stat us is denied-called "popular art," which typically includes movies like Matrix, novels of pulp fiction variety, music of Beatles, Michael Jackson and Nirvana, etc. We coustomarily distinguish them from, for example, a painting by Picasso, a sy mphony composed by Beethoven, and a novel written by James Joyce. These are ca lled "high art." Then, what is, if any, a justification for this distinction? Is this dis tinction based on any aesthetically and philosophically legitimate reason? Is it a co nceptual distinc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high vs. popular art disti nction and subsequently, how to define popular art. As for the plausible criteria for this distinction, I first consider some seemingly obvious characterization of popu lar art; popular art's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consumed by mass audien ce, or being commercialized.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se characteristics, altho ugh they can explain a good deal of phenomena concerning popular art, fall shor t for providing a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this distinction. The same goes for other possible characteristics of popular art such as not being autonomous, not be ing an art for art's sake, not being pure and not being avant-garde. Failing to f ind help from our ordinary ways of talking about popular art, I the move on to find any purely aesthetic or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artworks of high art and those of popular art. If we can find any difference in aesthetic properties, tha t could be used in the definition of popular art. Here, I first review Abraham Kaplan 's famous study, in which popular art is defined as artworks that pursue aesthe tic disvalue. He names, among others, stereotyping, superficiality, passivit y in appreciation, sentimentalism and escapism as the examples of disvalue fou nd in popular art. However, depending on Noel Carroll's study as well as R ichard Shusterman's defense of popular art, I reject Kaplan's view as not a viable characterization of the true and general nature of popular art. Kaplan's p osition, although interesting, informative and enlightening, faces the difficulty of using evaluative concept in a definition. I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efini ng popular art on the basis of purely social factors. Again, using an argument bo rrowed from Carroll, I point out some difficulties of this position. Finally, I criti cally review Carroll's position, showing that he, too has several problems in his the ory. There is no doubt that Carroll's approach is new and insightful. I acknowledge the need of a value-neutral(or a classificatory) definition, and for this, I think tha t his approach, rejecting the term "popular art" and rather focusing on "mass art," has some merit. In his view, mass art is defined in terms of its very sp ecial ontological characteristic(namely, being a multiple instance artwork), wh ich is due to mass technology by which mass ar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Moreo ver, the claims the easy accessibility is the key feature of mass art. Howeve r, my critical point concerns whether mass art if it cuts variety of artworks (an d "popular artworks") as Carroll suggests. I discuss some of possible counter e xamples that may cause some difficulties in Carroll's theory. I further suggest that being based on the evidence and arguments considered so far, it might be reas onable to conclude that, in a classificatory sense, the distinction betwee n high and popular art is unsupported. However, the term popular ant might still be used in a significant way because if car positively identify a group of artworks in terms of evaluation rather than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