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의 빈곤

        이항우(Hangwoo Lee)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1

        이 논문은 급진 민주주의 정치 관념에 비추어 최근 한국의 정치권력 이행 과정에서 드러난 진보개혁 사회정치 담론 실천의 성격을 분석한다. 그리고 그러한 정치 과정이 과연 근본주의적 적대를 넘어선 민주적 대립 전선의 작동 과정으로 평가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5년 5월, 2006년 5월, 2008년 5월, 2009년 5월에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에 실린 사설과 칼럼 중 총 255개를 추출하여 그것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수행하였다. 진보개혁 사회정치 담론은 반대파에 대한 비판의 초점을 개인을 넘어선 ‘그들’ 집단 전체에 맞추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우리’와 ‘그들’ 사이의 대립을 ‘그들’ 내부의 대립으로 대체하여 ‘우리’를 대립 전선에서 배제하는 모습을 드러내 보이기도 한다. 나아가, ‘우리’를 ‘그들’의 집합 정체성에 통합시키는 자기부정의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정치의 빈곤은 ‘우리/그들’ 사이의 모든 대립을 ‘친구/적’ 사이의 적대적이고 파괴적인 대립으로 간주하는 모습으로도 종종 나타나는데, 이는 ‘선의의 적’ 혹은 ‘대립자들’ 사이의 경합적 대결로서의 정치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유주의적 한계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권력의 위계적 상/하 관념을 극복하지 못하고, 보수세력의 권위주의를 오만과 독선이라는 통치 스타일의 문제로 접근하며, 색깔론의 전체주의 적대 논리를 체계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반박하지 못하는 한계 속에서, 한국 진보개혁 담론의 민주적 대결 정치에 대한 전망 부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democratic frontiers have been successfully established enough to suppress fundamentalist antagonism during recent Korean political regime change from liberalist to conservatives. In so doing, it conduct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255 newspaper editorials and columns published on May of 2005, 2006, 2008, 2009 from Kyunghyang Newspaper and Hankyeore Newspaper. Progressive-Reformative socio-political discourse tends not to focus its criticism to conservatives on ‘them’ beyond individuals. And it often excludes itself from confrontation with ‘them’, by replacing the conflictual frontier between ‘us’ and ‘them’ with one between ‘them’. Furthermore, Progressive-Reformative discourse shows the form of self-denial by integrating the collective identity of ‘us’ into that of ‘them’. This missing of ‘the political’ results from its liberalist recognition of all the antagonism between ‘us’ and ‘them’ as a destructive confrontation. Korean Progressive-Reformative socio-political discourse is lacking insights into the democratic confrontational politics.

      • KCI등재

        구글의 정동 경제(Affective Economy)

        이항우(Lee, Hangwoo)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인지 자본주의 정동 경제는 디지털 네트워크 속 행위자들의 정동 노동을 사적으로 전용한다. 구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이 논문은 인지 자본주의가 어떻게 소비자의 관심과 정동을 이윤 창출 메커니즘에 통합시키는지를 분석한다. 정동의 산물이자 가시화 기술인 ‘페이지랭크’는 사용자의 경험, 감정, 태도, 생활양식, 믿음 등과 같은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동을 구글 브랜드와 결합시키는 특허 재산이다. 구글의 정동 경제에서, 광고와 정보의 간격은 좁아지지만 개인 데이터와 프라이버시의 거리는 멀어진다. ‘무료’의 ‘더 나은’ 검색을 위해 더 많은 정동 데이터가 수집 활용되어야 한다는 논리는 이메일과 같이 매우 사적인 영역조차도 구글의 통제권 아래 두는 공세적인 프라이버시 방침으로 이어진다. 구글 검색은 웹에서는 모든 것이 복제될 수 있다는 것을 하나의 원칙으로 만들었지만, 지적재산의 ‘공정 이용’이 정동 노동에 미치는 효력은 균등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일반 콘텐츠 생산자들이 만든 지적 재산은 플랫폼에서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에, ‘안전 피난처’는 가능한 한 많은 정동 노동을 플랫폼에 모음으로써 벡터 계급의 수익 분점을 뒷받침 해주는 장치 이상의 의의를 갖지 못한다. 정동 경제의 착취 문제는 지불 노동의 회복보다는 공유 체제의 강화 속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By conducting a case study on Google, this paper explores how cognitive capitalism integrates consumer/user’s attention and affection into its profit-generating processes. Affective economy appropriates the value of both massive personal data and intellectual property. PageRank, a product and visualizing technology of affection, is a patent which connects users’ all the possible affection including experience, emotion, way of life, and belief to Google brand. In Google’s affective economy, a useful advertisement becomes good information. While the boundary between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gets blurred, the distance between personal data and privacy is extended. The logic that a lot of affective data should b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free’ and ‘better’ search results in the provocative privacy policy that puts a very private realm such as email under Goolge’s control. Although Goolge search made it a kind of principle to copy everything on the web, the effect of ‘fair use’ does not evenly apply to all the producers of web contents. In addition, since most users’ creative works are not protected as an intellectual property, ‘safe harbor’ just plays a role to collect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the platform and to ensure vectoral classes to share profits generated by them.

      • KCI등재
      • KCI등재

        자유/무료 노동의 화폐적 보상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7

        이 연구는 ‘자유/무료’ 노동의 화폐적 보상 방안을 소액 결제(Micropayment) 시스템과 보편적 기본 소득(Universal Basic Income) 관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네트워크 속 인구들의 자원적(自願的)·자발적인 활동과 상호작용으로 구성되는 자유/무료 노동은 현대 경제의 물질재와 비물질재 생산 모두를 포괄한다. 자율적 조직화라는 기본 작업 논리에서 수행되는 자유/무료 노동은 자본 기능의 생산과정 외부화 혹은 자본의 지대되기 경향을 가속시킨다. 부불(Unpaid) 노동이 창출한 사회적·공통적 생산물에 대한 자본의 사적 전유는 인지 자본주의 착취의 핵심 요소가 되며, 플랫폼 제공 기업이 요구하는 약관에 대한 동의는 사회관계 속에 배태된 강제성의 표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콘텐츠 벡터 계급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의 도입으로 디지털 공유지의 엔클로저를 심화시키고 있는 반면, 소액 결제 시스템이라는 시장주의적 접근을 통해 인지 자본주의 부와 가치의 불공정 분배 문제를 다루려는 다양한 흐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 기본 소득 제도야말로 자유/무료 노동의 사회적·공통적 가치 생산 특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화폐적 보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ree labor’ constitutes a major resource of value creation in cognitive capitalism. Composed of voluntary and spontaneous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networked brains, free labor covers material and immaterial productions of contemporary economy. Based on the working principle of autonomous organization, it facilitates the externalization of capital function and the becoming rent of capital. Private appropriation of social and common products of unpaid labor becomes a key object of exploitation in cognitive capitalism, agreements of users on the terms of use required by platform providers may be interpreted as a form of enforcement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 Content vectors extend the digital enclosure by introducing Digital Right Management technologies. Platform vectors and some libertarian comsumer sectors seek to approach to the issue of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by employing the market-oriented ‘Micropayment System. Yet, basic income alternative c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guarantee the social and common compensation of free labor and the management of the inherent instability of today’s cognitive capitalism.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사회운동의 개인화, 그리고 집합 정체성 구성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5

        이 연구는 최근 월가점령 운동(occupy wall street)에서 나타난 네트워크 사회운동의 특징을 분석한다. 지난 십 수 년간 지구적 저항운동의 문법이 된 ‘비위계성’, ‘개별성’, ‘다양성’ 등과 같은 원리들이 어피너티 그룹들(affinity groups)의 점령운동에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탐구한다. 또한 점령운동에서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전통적인 대중매체와 어떤 관계를 보였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개인화된 집합행동으로서의 월가점령 운동에서 참여자들의 집합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11년 9월 23일부터 11월 27일까지 페이스북 그룹 ‘함께 점령(occupy together)’에 올라온 총 377개의 게시글과 그에 대한 댓글을 분석하였다. 월가점령 운동에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네트워크 사회운동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개별 지도부의 부재 속에서도 운동 지도력은 필요하다는 역설은 네트워크 사회운동 이론이 해결해야만 하는 주요 딜레마라 할 수 있다. 또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대중매체를 우회하고 포위하는 담론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소통의 두 번째 단계로서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대중매체에서 대중으로’ 와 ‘대중에서 대중매체로’라는 순환 과정에서 탈각된 독립적 여론 형성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께 점령’ 페이스북 그룹은 ‘상향적 집합 정체성 형성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네트워크 사회운동 이론은 사회운동의 개인화를 강조하고 집합 정체성의 유효성을 의문시하지만, 집합 정체성의 새로운 동학인 상향적 집합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념을 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network social movement expressed in ‘Occupy Wallstreet’ demonstrations. Specially, it deals with how some elements of the grammars of global protest have bee shown in the occupy movements of affinity groups. This paper also explores how social media have been adopted in the movements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conventional mass media has been unfolded. In addition, it inquires into how the collective identity has been constructed in the highly personalized collective actions of occupy movement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focusing on a total of 337 postings and their replies posted on ‘Occupy Together’, a Facebook group, from September 23 to November 27, 2011. The group has carried out the role of ‘the hub of occupy movements’. Yet, for network social movement theory, it remains as a dilemma to be solved that the leadership of movements is still crucial in the leaderless movement. In addition, The Facebook group has shown that it would be able to bypass and sieg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It can serve as independent social space which involves neither in the flow form mass media to mass nor in the flow from mass to mass media. Lastly, the Facebook group became discursive space where the bottom-up construction of the collective identity was made. Although the theory of network social movements tends to disregard the significance of collective identity, it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new dynamics of a bottom-up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y.

      • KCI등재

        신자유주의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와 정당성 문제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7

        이 논문은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의 진화 과정을 민영화, 기업 친화주의, 다수이해당사자주의, 엘리트 집행력 중심주의, 투명성과 책무성 담론 등과 같은 문제들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신자유주의 규범과 가치가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에 어떻게 관철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인터넷의 상업 잠재력에 주목한 자본의 요구에서 초래된 인터넷 도메인 명칭 시스템의 민영화는 자유로운 경쟁과 선택을 최대한 보장하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전개되었다. 인터넷 명칭 시스템 관리가 전 세계 네트워크의 상호의존성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주장은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 정당화의 주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엘리트에 의한 효율적 집행력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원리는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대표성 문제에서 특히 취약한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구는 투명성과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지만, 대다수 일반 이용자 집단의 의사를 실질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작업이 주요 의제로 설정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어디까지나 정당성 문제에 대한 신자유 주의적 대처 전략에 다름 아니라는 비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글로벌 거버넌스에는 특히 사적 권위의 발전이 두드러진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대개 경제 엘리트의 막강한 권력을 염두에 둔 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시민사회단체를 초국적 자본과 동등한 하나의 비정부 부문으로 간주하고 국가 개입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율 규제와 다수이해당사자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너무나 순진한 태도일지도 모른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oliberal development of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represented by privatization, business-friendly, multi-stakeholderism, and elitism in conjunction with theories of neoliberalism, globalization, global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regime theory. The privatization of Internet domain name system was facilitated by capital’s awareness of commercial potential of the Internet and based upon market mechanism fully guaranteeing free competition and choice. It constitutes key element of legitimacy of neoliberal governance that the management of Internet name system supports interdependence of networks in the world. However, the neoliberal emphasis on the principles of effectiveness and elites’ executive power reveals vulnerability of representation in global Internet governance. Currents efforts to enhance it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might be considered nothing more than a neoliberal coping strategy to the criticism of its democratic legitimacy. The reason is that it does not constitute a major legitimacy-related agenda of ICANN to construct a representation mechanism in which the voice of general Internet users of the world could be heard. If the development of private authority is a prominent phenomenon of global governance, it is the very overwhelming power of economic elites that makes it possible. Here, it would be too naive to argue tha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constitute another part of non-governmental agencies along with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to advocate self-regulation and multistakerholderism free from state regulation.

      • KCI우수등재

        알고리즘과 분자적 횡단의 정동 정치 :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사례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1

        이 연구는 관계론적 존재론에서 발전한 협력과 공조의 정동 정치 관념과 정동의 가상성과 잠재성에 관한 논의에서 강조되는 생성과 창조의 정동 정치 관념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동 정치론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것을 알고리즘을 둘러싼 저작권과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사이의 대결에 관한 분석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분자적 횡단의 정동 정치 관점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그누 일반공개라이선스’, ‘디지털 저작권 관리’, ‘웹 디아르엠(Web DRM)’, ‘백 도어’, ‘안전 시동’, 그리고 ‘자바스크립트’ 등과 같은 자유알고리즘 운동의 주요 실천 영역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자유 알고리즘의 정동 정치가 어떻게 인구의 일상적 생명 활동을 지속해서 조율하고 통제하는 저작권과 독점 소프트웨어의 위로부터의 생명 권력에 맞서는 아래로부터의 생명 정치를 열어가는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밝힌다. 아울러 이 연구는 저작권과 독점 알고리즘의 컴퓨팅과 네트워킹의 기본 환경에 대한 비-의식적이고 선-언어적인 조율에 맞서는 자유 알고리즘의 분자적 실천이 어떻게 독점 알고리즘의 몰적 단층을 교란하고 횡단하며 다른 형태의 사회적 삶의 가능성을 창조하는 소수적 생성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olecular politics,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of political confrontations between copyright and free software movements over algorithms emerging as a key source of economic wealth and value in contemporary society In so doing,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political affect of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developed from relational ontology and that of political affect of becoming and creation emphasized in discussions on the virtuality and potentiality of affect. Specifically, we look at the main areas of practice in the free software movement including ‘the concept of free software’, ‘GNU General Public License’, ‘Digital Right Management’, ‘Web DRM’, ‘Back Door’, ‘Secure Boot’, and ‘JavaScript’. This paper shows how affective politics of free algorithm can be understood as a leading practice of bio-politics from the below against copyrights and proprietary software’s bio-power from the above that continuously modulate and control the everyday activities of the population. In addition, it shows how the molecular-level engagement of affective politics of free algorithms in the copyright and proprietary software’s nonconscious, pre-verbal coordination of basic computing and networking environment can be understood as a form of minority politics disrupting and traversing the molar segmentarity and creating other possible forms of social life.

      • KCI등재

        동료 생산(peer production)과 시장

        이항우(Lee, Hangwoo)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9

        이 논문은 최근 많은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는 ‘동료 생산’에 관한 문헌 리뷰를 통해, 동료 생산이 현대 사회생활의 조직 방식 변화에 어떤 의의와 한계를 갖는지 탐구한다. ‘인지 자본주의’, ‘네트지배 자본주의’, ‘벡터 자본주의’, ‘네트워크화된 정보경제’ 등과 같은 관념들은 동료 생산 모델이 현대 자본주의 생산에 갖는 급진적 의미를 강조한다. 모듈화와 미세화에 바탕을 둔 동료 생산의 분산성은 다양한 기술적, 법적, 문화적, 조직적 통합 메커니즘에 의해 뒷받침된다. 비독점, 비시장, 공유 원리가 확산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등장하고 있지만, 동료생산이 오히려 시장 생산을 강화한다는 비관론도 적지 않다. 시장 친화성을 분명하게 밝힌 오픈 소스 운동의 분기, 동료 생산을 압도하는 웹 2.0 사업의 팽창, 지적 재산권 기한 연장 등과 같은 흐름이 비관론의 주요 근거이다. 임금 관계, 기업 위계, 시장 논리로부터 자유로운 생산 방식을 지향하는 동료 생산이 영리기업들의 강력한 ‘공유 경제’ 구축의 지렛대로 활용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역설이다. By reviewing literatures on peer-produ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peer-production in reorganizing contemporary social life. The modularization and granularity are two key elements that make possible distributed peer-productions. Integrating mechanism of peer-production consists of motivation, peer-review, instant correction, sanction, legal measure, meritocracy, formal governance institute, and leadership. Although many optimist argue that the principles of non-proprietary, non-market, and sharing will be prevalent in today’s networked information economy, many pessimists warn against the commercialization of peer-production and the resultant strengthening of capitalist system. The reason for the pessimism comprises such elements as the forking of open source movement that showed its market-friendliness, the dispersal of web 2.0 business model that overwhelmed peer-production, and the extension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It has not been empirically supported that new social relationship based on the principles of non-market, non-proprietary, and sharing will grow beyond market logic.

      • KCI등재

        이념의 과잉 - 한국 보수세력의 사회정치 담론 전략(2005~2006년, 2008~2009년)

        이항우(Hangwoo Lee)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논문은 정치적인 것의 본질에 관한 칼 슈미트의 이론에 비추어 최근 한국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의 성격을 분석한다. 정치의 핵심을 ‘그들’과 대립하는 ‘우리’의 집합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슈미트의 정치사상이 보수세력의 담론 실천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또한 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이 슈미트의 반(反)다원주의와 전체주의 정치 관념과의 연관성 속에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총 281건의 사설과 칼럼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수세력의 담론적 실천은 정치적인 것의 본질이 ‘적’에 맞선 ‘친구’의 집합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음을 매우 잘 보여주고 있다. ‘선진화’ 담론, ‘삼성’ 담론, ‘친기업’ 담론, ‘포퓰리즘’ 담론 등은 자유주의 세력을 압도하는 보수세력의 사회 지배 담론이 되었으며, ‘그들’을 ‘개인을 넘어선 집단’, ‘주변부적 별종’, ‘이율배반적 권력집단’, ‘편가르기 집단’, ‘반(反)대한민국 세력’으로 규정하는 담론 전략은 진보개혁 진영을 포위하고 무력화하기 위한 유효한 전략이 되었다. 자신과는 다른 입장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을 ‘친북좌파’ 혹은 ‘대한민국 정통성 부정 세력’으로 규정하는 보수세력의 행태 속에는 모든 사회적 논란에 반공주의라는 이념을 덧씌우는 권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이념과잉의 성향이 자리 잡고 있다. Adopting Schmitt’s concept of the political,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Korean conservatives’ discursive practice. It explores how conservative discourses incorporate Schmitt’s political thought that considers the essence of political to construct the collective identity of ‘us’ opposed to ‘them’. In addition, this paper inquires into how conservative discursive practice could be evaluated in relation to Schmitt’s anti-pluralist and totalitarian political conceptions.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a critical discursive analysis of a total of 281 newspaper editorials and columns from two right-wing Korean daily newspapers of Chosen and Dong-A. Conservative political discourse show well that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lies in the shaping of the identity of ‘friend’ in opposition to ‘enemy’. Discourses of ‘national advancement’, ‘Samsung republic’, ‘business-friendly’, and ‘populism’ have become dominant social discourses overwhelming a liberal socio-political camp. In addition, the discursive strategies of constraining ‘them’ to ‘a group over individuals’, ‘peripheral oddities’, ‘a hypocritical power group’, ‘an ever-splitting group’, and ‘anti-Korean group’ have become influential strategies to beseige and disempower political progressive-reformist groups. There is an overly authoritarian and totalitarian tendency in Korean conservatives who regard all the differing opinions from them as a ‘pro-North Korean, left wing’ and a ‘group of denying the political legitimacy of South Korea’.

      • KCI등재

        미니홈피와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조건

        이항우(Hangwoo Lee)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3

        ‘싸이월드’(cyworld)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문화현상을 특징짓는 사회생활의 중요한 영역이 되고 있다. 최근의 이른바 ‘싸이 열풍’은,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싸이월드에 빠져들며, 그 속에서 자아표현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어떤 성격을 띠고 있으며, 공/사 경계의 조율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중요한 사회학적 연구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싸이월드 현상을 주로 ‘노출증’과 ‘관음증’의 차원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사용자의 활동을 마치 정상적인 것에서 일탈한 병리적인 현상인 양 인식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자아표현과 상호작용이 지닌 사회문화적 의의를 협소하게 파악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감각주의적 접근법 대신에, 본 연구는 싸이월드를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장으로 파악하고, 그것의 성격을 사용자들의 공/사 경계 조율행위와의 관련성 속에서 탐구한다. 싸이월드의 메인페이지에 소개된 미니홈피들 중에서 수집한 총 23개의 개인 사이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그 사용자들에게 가정과 직장과는 분리된 독립된 제 3의 장소로 인식되며, 미니홈피의 주된 청중은 오랜 지인이나 새로이 사귀게 된 친구 등과 같은 ‘준거타자’로 설정되고, 개방성과 협력성 그리고 즐거운 분위기 등 전통적인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특징들이 대체로 확인되는 공간임을 밝힌다. 미니홈피는 모든 인터넷 사용자들이 원하기만 하면 접근할 수 있는 개방된 곳이라는 점에서 공적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지만, 마치 공원과 같은 공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친구들 사이의 모임이 흔히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사용자들은 그것의 사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행위규범들을 만들어내고 있음을 밝힌다. ‘Cyworld’ has been constituting a crucial cultural domain for numerous Koreans’ everyday social life in recent years. The explosion of interest in cyworld raises such important sociological questions as ‘why are such a number of people are attracted to it?’ ‘how do they make self-presentation on it?’ ‘what a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how do they negotiate the boundary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Some researchers, mainly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newspapers, popular magazines, and television, explain the ’cyworld phenomenon’ in terms of ‘exhibitionism’ and ‘voyeurism’. Notwithstanding all the hermeneutic merits, this perspective tends to treat social behaviors of cyworld basically as a somewhat psychologically pathological one and, thus, narrowly defines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users’ self-present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 cyberspace. In stead of this sensational approach, this paper considers cyworld as social space for users’ ‘informal public life’ and explore its nature in conjunction with users’ behavioral strategies to negotiate the boundary between the private and the public.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f 23 mini hompies collected from the main page of cyworld, this study shows that users regard the mini hompy as an distinctive ‘third place’ separated from both home and work. It also shows that the main audience of mini hompy is ‘referent others’ composed of off-line friends and newly acquainted online friends.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firms that cyworld shows general features of traditional informal public life including openness, cooperation, festive mood, and so on. Although cyworld is public space open to anybody who wants to visit on the Internet, users emphasize on its private nature in a similar manner that a party between intimate friends happening in a park is usually considered priv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