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낭송을 통한 화술훈련의 실제 -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СИСТЕМА К.С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연기용어를 중심으로 -

        이항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0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speech training acquired by the researcher from 1993 to 1996 while attending the Russian Shevkin (М.С Щепкин) University of Theater and provides a summary of the speech training teaching method of the researcher’s speech teacher, Yevgeny Alexandrovna Larionova (Евгеия Алксандрова Ларионва), that was developed through their work together. In addition, it contains the search for the Korean acceptance of this training method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gain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in Korean theater, film, and television. Through his system, Stanislavski separates the actor's process of reaching the ‘art of experiencing’ largely into two parts: ‘working on the self’ and ‘working on the role.’ This study is a demonstration of a speech training method designed to help actors transition from ‘working on themselves’ to ‘working on their roles’ during the speech training process and explore the script presented by the writer without losing the spontaneity and freedom acquired by ‘beginning as themselves.’ In that sense, the speech training presented in this study allows for a freer interpretation compared to a script, thus actively encouraging the premise of ‘beginning as oneself’, and introduces poems that can inject various descriptions and emotions into the text. By substituting into the text of the poem various Stanislavski system acting techniques (Stanislavski acting terms) such as ‘presented situation,’ ‘if I,’ ‘mutual exchange,’ ‘language behavior,’ and ‘events’ that the actor goes through during the process of working with oneself and having a chance to interpret them, the actor can naturally read his impulses and intended emotions in a given text before tackling plays and scenarios that consist of lines that seem like cryptic codes. This practical training process is also designed to further utilize and acquire the actingtechniques (acting terms) that form the basis of the Stanislavski system, and experiencing this process will serve to be very useful as the first step in breaking down the typical and formal framework and approaching the role creation process with a unique interpretation. 본 연구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본 연구자가 러시아 쉐프킨(М.С Щепкин)연극대학에 재학하며 체득한 화술훈련의 실제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화술 스승인 예브게니 알렉산드로브나 라리오노바(Евгеия Алксандрова Ларионва) 선생님과의 작업을 통해 그녀의 화술훈련 교수법을 함께 정리한 내용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 연극무대와 영화, 드라마 등의 활동을 통하여 얻은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훈련법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모색을 담고 있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시스템을 통해 ‘체험의 연기 예술’로 가는 연기자의 작업 과정을 크게 ‘자기 자신에 대한 작업’과 ‘역할에 대한 작업’ 두 과정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술훈련 과정에서 연기자가 ‘자기 자신에 대한 작업’에서 ‘역할에 대한 작업’으로 전이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돕고, ‘자신으로부터 출발하여’ 획득한 자발성과 자유로움을 상실하지 않고 작가에 의해 주어진 대본으로 유연하게 진입하기 위해 설계된 화술 훈련법 대한 실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화술훈련은 대본에 비해 자유로운 해석이 가능하여 ‘나 자신으로 출발한다.’ 라는 전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묘사와 정서 표현이 가능한 시를 그 텍스트로 가져온다. 자기 자신과의 작업 과정에 다룬 ‘제시된 상황’, ‘만일 내가’, ‘상호 교류’, ‘언어 행동’, ‘사건’ 등의 다양한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연기술(스타니슬랍스키 연기용어)을 시의 텍스트에 대입하여 해석하는 기회를 얻음으로써, 암호 같은 대사들로만 구성된 희곡과 시나리오를 대면하기 전 연기자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충동을 읽어내며 생성된 정서를 주어진 텍스트로 발화하게 이끄는 능력을 갖추게 유도한다. 또한 그 실제적 훈련 과정을 통해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연기술(연기용어)을 더욱 깊이 있게 활용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으며, 이 과정의 경험을 통해 전형적이고 형식적인 틀을 부수고 자신만의 고유한 해석으로 역할 창조에 다가서는 첫 걸음으로 무척이나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잠재의식을 이끄는 심리·신체적 훈련 도구로서 ‘호흡 에쭈드(ЭТЮД)’ - ‘호흡 에쭈드’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

        이항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따라잡기 어려울 정도로 급변하는 연기 환경과 치열해진 진입 장벽 속에서 더욱 철저하고 강고 높은 배우 훈 련 과정이 요구되어지고,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고 적응 할 수 있는 배우 양성을 위한 진화된 훈련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할 수 있다. 본고는 호흡 훈련의 목적을 강력한 음성 기관을 이용한 호흡 테크닉을 체득하는 과정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적극적 정서자극의 통로로서 목소리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배우로서 새로운 천성을 만드는 과 정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에쭈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스타니슬랍스끼 ‘신체 행위법’의 유기적 실행 도구로 서 즉흥극과는 달리 잘 짜여진 극 구조 안에서 심리·신체적 행동을 의식적으로 유발하여 잠재의식을 자극하고 진실한 체험을 통해 즉흥을 만들어 내도록 설계되어진 훈련 모델이다. 본고는 에쭈드 창조 과정 중 제시된 극적 상황 속에서 자연스런 정서적 도발을 통해 불러 일으켜진, 진실한 체험의 순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는 성장하면서 많은 사회적 규범과 제약을 익히도록 교육받으며 자연스런 감정들을 숨기도록 훈련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연기자가 천성적 자유로움에서 벗어나 긴장이나 형식적인 태도를 선택하게 한다. 이렇듯 의식적이지 않 은 생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창조하여 허구에 세계에서 안전하게 존재하여야 하며, 교육된 많은 규율과 규범에 서 자유로워져 배우로서의 새로운 천성을 우리의 신체에 재탄생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배우의 신체에 새로운 천성을 만드는 과정의 첫걸음으로서 호흡 훈련을 제안하고 그 방법론으로 ‘호흡 에쭈드’의 훈련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호흡 에쭈드의 훈련 모형을 1.선행 훈련 - 인간 기계만들기, 불뿜는 용, 2. 동물 에쭈드, 3. 사물 에쭈드, 4. 호흡 에쭈드 4가지 유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훈련 모델을 통해 배우는 충동과 정서 를 예민하게 읽어낼 수 있도록 자신의 신체를 조율하여 진실한 정서를 이끄는 과정을 견인함으로써, 배우의 자 아를 확장하고 목소리의 잠재력을 일깨워 창조의 세계로 다가 설 수 있도록 안내 하고자 한다. Amid the rapidly changing acting environment and the continued heightening of barriers for entrance into the acting world, more thorough and firm training courses for actors are required.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for evolving training programs that can foster actors who are capable of adapting across various media channels. In response, we seek to study and present the ‘Respiratory Etude’ as a training model based on the principles of etude creation, focusing on the respiratory training proces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of voice acting skill enhancement. The purpose of respiratory training is to go one step further than just using it as a process to learn breathing techniques by using powerful speech organs, instead interpreting it as a means to utilize it as a channel for active emotional stimula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an actor’s voice and create a new nature for him as an actor. In other words,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use of respiratory training as a medium to awaken emotional responses in the actor’s body and to evoke true living, breathing emotions. As is already well known, the etude, unlike improvisation, is an organic implementation tool of the Stanislavski ‘Method of Physical Actions’, a training model designed to consciously trigger psychological and physical behavior in a well-organized theatrical structure in order to stimulate the subconscious and create improvisations through genuine experien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ment of genuine encounter brought about by the provocation of natural emotions in a given dramatic situation during the creation process of an etude. With our findings, the following four types of training models for respiratory etudes are presented: 1, warm up – human machine making, fire-breathing dragon 2, animal etude 3, object etude 4, respiratory etude. Through this training model, the actor will be able to tune his body to read his impulses and emotions in a sensitive manner in order to drive a process provoked by impulses that lead to genuine emotions, thereby expanding the actor’s self and awakening the potential of his voice to the world of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