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자료열람실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

        이한준,임호균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4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8

        Public library after 21st century is dramatically increasing its numbers, scale, users. However, universal design concept provided for various users was only applied to common spaces in public library. Therefor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criterion and spatial planning guideline to data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y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method after analyzing the data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ies by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of universal design about various public facilities and libraries and to create universal design checklist after establishing application criterion of universal design for public library.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8 central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yonggi-do. The checklist was composed of six evaluation factors and 40 detailed items. As a result,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law was similar. Because it was planned to meet the legal minimum measurement. Therefor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method to data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y is proposed. First, the passage for the book cart and the person between bookshelf areas should be over 1,100㎜ and the passage behind the desk chairs in the data using area should be over 600㎜. Second, the Information area and entrance area must be easily accessible for the guidance of the handicapped and those who are visually impaired and the information desk must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wheelchair user. Third, the passage for various users should be over 1,500㎜ and the inducement block has to be installed in the data reading room.

      • KCI등재후보

        20주간의 타이치운동이 퇴행성관절염 여성노인의 슬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전찬복,김정훈,전익성,곽현미,김윤태,김경한,박계순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The Effects of 20-weeks tai-chi exercise program on the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elderly women.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 20-week tai-chi exercise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muscle strength of elderly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To this end, 16 elderly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using a senior citizens’ center located in U City who had worked sitting for the past six months were classified into exercise group(n=8) and non-exercise group (n=8). The data in this study was analyzed with a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o gener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tergroup differences with an independent t-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exercis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ending and extension of left knee joint at 60˚/sec and extension of right knee joint at 300˚/sec of exercise group both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In regards to intergroup differences, the exercis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knee joint of both sides at 60˚/sec, left knee joint at 180˚/sec, and left knee joint at 300˚/sec.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20-weeks tai-chi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muscle strength of knee joint of elderly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본 연구의 목적은 20주간의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여성노인의 슬관절의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U시에 소재한 경로당이용자 중 최근 6개월 이상 좌업생활을 한 퇴행성관절염 여성노인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운동군(n=8), 비운동군(n=8)으로 하였다. 운동군은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을 HRR 40~60%의 운동강도, 주 3회, 일일 60분간 20주간 실시하였다. 통제군은 운동 프로그램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전. 후 슬관절의 근력의 측정항목은 굴곡과 신전을 측정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은 사후에서 사전을 뺀 값에 대해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05에서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타이치운동 후 슬관절의 굴곡, 신전시 근력변화를 살펴보면 운동군의 경우 왼쪽 슬관절 60˚/sec 굴곡시, 신전시와 오른쪽 슬관절 300˚/sec 신전시 사전, 사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왼쪽과 오른쪽 슬관절 60˚/sec, 왼쪽 슬관절 180˚/sec, 왼쪽 슬관절 300˚/sec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20주간의 타이치운동이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의 슬관절 근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운동임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의 유형설정에 관한 연구

        이한준,김정현,임종훈 대한교통학회 2000 대한교통학회지 Vol.18 No.3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은 신호교차로와 더불어 도시부 단속류 교통시설의 현황을 평가하거나 계획, 설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92년 건설부에서 발간한 "도로용량편람" 중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편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여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을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 편람의 작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할 당시와는 현재 우리나라의 도로 및 교통여건이 상이하여 기존 편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간선도로의 새로운 유형설정 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편람 상에서는 간선도로 유형을 도심 및 도심외 지역으로 나누어 도로여건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대도시권이 광역화되면서 주변 도시와 연결하는 지방부 도로들이 단속류 형태의 간선도로 유형을 나타내게 되면서, 기존 편람 상의 간선도로 유형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선도로의 지역적 여건과 설계수준 및 기능성을 고려하여 저규격 간선도로(도시부)와 고규격 간선도로(교외부), 중간규격 간선도로(중간부) 등 3단계로 구분하고, 도로여건별로 자유속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도로여건을 구분하는 기준은 현행 편도4차로 이상과 3차로 이하에서 저규격 간선도로와 중간규격 간선도로는 현행 기준을 유지하되 고규격 간선도로의 경우에는 편도3차로 이상과 2차로로 구분하는 기준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편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유속도가 설계속도를 초과하고 있으나, 이는 ”도로용량편람”의 지침으로서의 성격과 조사방법상의 한계를 감안할 때 설계속도 수준으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간선도로의 지역적 구분은 현재와 같이 도로 및 교통 외적인 기준이 아닌 간선도로의 기능과 설계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도록 제안하였다.

      • 현장계측용 변위계의 환경영향 특성연구

        이한준,최만용,박정학,임재학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The sensor and measuring instrument that are used for the infrastructure is discussed the reliability problem from the various environment factors. In the domestic infrastructure, the low reliability products are produced, because of lack of the pertinent test methods and equipments. To improve the practical use and accuracy of the sensor, it raises the measurement reliability about the sensor and measurement instrument. In this study, the variance of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using the LVDT for the infrastructu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 sensor is affected by environment factor such as temp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도서관 자료열람실 길찾기 특성에 관한 연구 - 평면유형과 가구배치유형을 중심으로 -

        이한준,임호균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5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2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pose the plane shape type to a data reading room of public libraries which is useful for way finding and space perception while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a public library is actively pursued nowadays. To do this, the case studies were taken in the data reading room of a library and the existing furniture layout was observed. Also, based on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the furniture layout types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ir width and he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bookshelf layout based on the percentage of the area of the bookshelf area. To invest in the best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according to furniture layout quantitatively,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by using space syntax and depthmap.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the plane shape type and furniture layout type which are easier for way finding and visual accessibility. First of all, way finding according to the plane shape type in a data reading room of a library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st useful plane shape type according to space accessibility was the quadrangle plane type. Second, in an analysis of data accessibility, the average space depth was analyzed from the entrance to the bookshelf area based on the bookshelf layout direction according to each plane shape type. The most useful plane shape types on data accessibility was quadrangle plane type according to the height direction on the bookshelf layout. Third, to analyze space perception on the location, the entrance on the plane shape type and the visibility of the center in topological space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visible plane shape type in the entrance and the center in topological space was quadrangle plan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