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a New Liquid Type Rapid Urease Test Kit (Helicotest®): Comparison with Other Commercial Kits

        이한나,황효상,정준원,김경아,김선태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1 No.5

        Background/Aims: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s is vital for effectively managing many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Many diagnos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including invasive and non-invasive methods, but each tool has some limitations. Among the invasive diagnostic methods, the rapid urease test (RUT) is a relatively time-saving and accurate method, but a variation in the reaction time range causes inconvenience and inefficiency in the clinical field. This study developed a liquid-type medium, Helicotest®, to enable faster dete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action time of a new liquid-type RUT kit with other commercial kits. Methods: Two H. pylori strains were cultured (H. pylori ATCC 700392 and 43504), and the urease activity of H. pylori was measured using a urease activity assay kit (MAK120, Sigma Aldrich). Four RUT kits were used to compare the time of H. pylori detection, including Helicotest® (Won Medical, Bucheon, Korea), Hp kit (Chong Kun Dang, Seoul, Korea), CLO kit (Halyard, Alpharetta, GA, USA), and ASAN Helicobacter Test® (ASAN, Seoul, Korea). Results: The detection of H. pylori was possible in bacterial amounts less than 10 μL. The color change was detected from five minutes with bacterial densities of 5 μL and 10 μL for both strains, whereas 30 minutes and one hour were required for 0.5 μL and a 1 μL bacterial density of ATCC 43504 and 700392 strains, respectively. Conclusions: Compared to other RUT kits, Helicotest® showed the fastest reaction. Therefore, faster diagnosis in clinical practice is expected.

      • KCI등재

        경피적 신쇄석술시 발생한 심한 수흉

        이한나,구명신,곽미숙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0 No.2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PCNL) has largely replaced open surgical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renal pelvis calculi as it reduces patient morbidity and shortens hospital stay. However, major complications such as hydrothorax or pneumothorax can be encountered uncommonly. A 64-year-old, 48 kg, female patient underwent PCNL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preoperative chest X-ray showed normal findings. Elevated airway pressure was noted and then breathing sounds were not audible on the right lung field during the procedure. A chest X-ray and chest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taken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showed massive hydrothorax and total collapse in the right lung. After drainage of the pleural effusion via chest tube,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Anesthesiologists should be aware that hydrothorax can occur during the PCNL procedure and must be prepared to intervene quickly. (Korean J Anesthesiol 2006; 50: 224~7)

      •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 대응 실태 및 과제: 임신 및 출산 지원 안건을 중심으로

        이한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보건복지포럼 Vol.277 No.-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의 정책이 포괄하지 못하는 지역 주민의 욕구에 대응하며, 정책 대상의 호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2016~2018년에 신설·변경 사회보장사업 협의지원단에 협의 요청된 저출산 관련 안건을 살펴보고, 그중 임신 및 출산 지원 분야 안건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 대책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 안건에서는 (예비)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임신과 출산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안건이 가장 많았다. 임신·출산 지원 정책에서는 산후 지원인 출산용품 지급,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출산장려금의 건수가 높았다. 특히 변경 안건의 경우 출산장려금 확대 안건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쟁적인 출산장려금 지원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기획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적절한 지지와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 Menthol을 이용한 친환경 가소제 합성 및 가소특성 연구

        이한나,박준성,박용성,우제완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가소화 효율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노출 시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작용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사용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장난감, 의학 장비에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유럽(EU)등 선진각국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유해물질로 지정하여 사용을 제한시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용출성이 낮고 독성을 가지지 않는 바이오 기반의 대체 가소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민트 향과 맛을 내는 박하에서 추출한 바이오 기반의 Menthol을 원료로 대체 가소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합성한 Menthol Diester계 화합물을 1H-NMR, IR로 확인하였고, 가소제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표적인 프탈레이트계 화합물 DEHP와, 가장 상용화 되어 있는 비프탈레이트계 화합물 DINCH의 가소화 효율과 용출성을 비교 분석하여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그레그 린의 디지털건축 개념에 관한 연구

        이한나,박현옥,Lee, Han-Na,Park, Hyun-Ok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2004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Vol.4 No.1

        Greg Lynn has been watched as a future architect that we have known him as a digital architect. As a result,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ing his architectural concept by researching his work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his thirteen projects selected in his website, have been already built, been constructing, their experimental value have been highly evaluated. In conclusion, first, Greg Lynn understood the architecture is animated. Secondly, he actively uses digital technology that creates unexpected new design for his works. Lastly, he intends the consolidation of a design process and building system as a whole.

      • KCI등재

        해금 문화의 변천양상과 음악사적 의의

        이한나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8 No.-

        본고는 한국음악사에서 해금 문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살피고, 그 음악사적 의의를 모색한 글이다. 먼저 해금의 형태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금의 구조는 16세기 음악의 향악화와 더불어 악기 연주법이 경안법(輕按法)에서 역안법(力按法)으로 발전되면서 그에 용이하게 변화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줄을 당겨서 연주하는 역안법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전보다 줄을 느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두 줄을 감잡이에 연결하게 된다. 주아(周兒)의 위치도 이전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윗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줄의 길이를 늘려주어 음역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산성(散聲)의 매듭 위치도 주아 아랫부분에서 주아 윗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줄을 한껏 조여 매줌으로써 두 줄의 간격을 좁혀 연주에 더 용이하고 줄을 긴장시켜 소리가 잘 날 수 있도록 해준 변화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해금 연주법의 발달은 운궁법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활대에 가죽을 사용함으로써 손의 장력을 이용하여 음악에 강약의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해금 연주법의 변화와 악기의 구조 변화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악기 형태의 변화를 통해 점차 발전된 해금은 조선시대 궁중음악에서 민간음악에 이르기까지 각 음악문화에 두루 사용되며 그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해금이 그 역할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그 음악적 가능성은 근대에 비로소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해금 악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팔음(八音)론이 음악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고, 해금 악보가 편찬되었으며, 해금 산조라는 새로운 음악 레퍼토리의 기악독주곡이 창작됨으로써 해금 음악은 진정한 예술음악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해금 문화의 이러한 위상 변화는 음악사의 흐름 안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으며, 그 전통은 오늘날의 해금 음악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이와 같이 해금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더욱 그 가치를 빛내며 꾸준히 우리 음악 전반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우리 음악문화의 레퍼토리를 더욱 풍부하고 새롭게 발전시켰으며, 아직도 그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how haegŭm 奚琴 (Korean fiddle) culture has developed and changed in Korean music history depending on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groped for the musical significance. To begin with, the form of haegŭm has been researched and it is as follows. The structure of haegŭm has changed with ease according to the fact that music became hyangak 鄕樂 (native Korean music) in the 16th century and the instrumental techniques changed from kyŏnganbŏp 輕按法 (light touching method of string) to yŏganbŏp 力按法 (heavy touching method of string). By using yŏganbŏp, heavy touching method, two strings are connected to kamjabi 甘自非 (a part of connecting string) in order to be loose compared to previous times. As the position of chua 周兒 (peg) moved into relative upper part,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string playing makes it possible for the range of notes to be broaden and for musical expression to be various. The knot position of sansŏng 散聲 (sound of open string) changed from the lower part than chua to the upper part and this makes it easy to play by more tightening a string so that it can narrow the space between two rings and play with ease and make the strings tense; these are the changes for playing well. This development of haegŭm techniques influenced un'gungbŏp 運弓法 (bowing technique) and music dynamics could change with hand tension by making a bow rack of leather. Based on this, it turns out that the change of haegŭm techniques and structure are closely related. Gradually advanced haegŭm came to be widely used in every music culture from court music to folk music in the Chosŏn 朝鮮 dynasty and played its own role through the change of instrument form. However, haegŭm received attention less than its role in the Chosŏn dynasty and the musical potential did not distinguish itself until the modern times. The theory of 8 notes were discussed among musicologists that gives meaning to haegŭm and haegŭm score published and haegŭm music advanced to genuine art music by creating new musical repertoire musical instrumental solo, haegŭm sanjo 奚琴散調 (solo instrumental music for haegŭm). This status of haegŭm culture changed naturally with the current of musical history and this tradition remains intact in present haegŭm music. Haegŭm is worthy of note in that it has not become useless in the changing times and has continuously stood out and has been used usefully all over Korean music. Also, it makes the repertoire of Korean music culture more abundant and newly advanced and it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potential to develop is still infin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