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돼지에서 난자의 체외발육 배양액 내 첨가된 거대분자물질이 작은 난포 유래 미성숙 난자의 성장, 성숙 및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

        이한나,이용진,이주형,이근식,이승태,이은송,Lee, Hanna,Lee, Yongjin,Lee, Joohyeong,Lee, Geun-Shik,Lee, Seung Tae,Lee, Eunsong 대한수의학회 2019 大韓獸醫學會誌 Vol.59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macromolecules in in vitro growth (IVG) media on the growth, maturation, and parthenogenesis (PA) of pig oocytes derived from small antral follicles (SAF).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for two days in IVG medium supplemented with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10% (v/v) pig follicular fluid (PFF), 0.4% (w/v) bovine serum albumin (BSA), or 0.1% (w/v) polyvinyl alcohol (PVA) and then maintained for 44 h for maturation. After IVG, the mean diameters of the SAF treated with FBS, PVA, and no IVG-MAF ($113.0-114.8{\mu}m$)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o IVG-SAF ($111.8{\mu}m$). The proportion of metaphase II oocytes was higher in PFF (73.6%) than in BSA (43.5%) and PVA (53.7%) but similar to that in the FBS treatment (61.5%). FBS and PFF increased cumulus expansion significantly compared to PVA and BSA while the intraoocyte glutathione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the macromolecules. Blastocyst formation of PA oocytes treated with FBS (51.8%), PFF (50.4%), and PVA (45.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SA-treated oocytes (20.6%).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FF and FBS treatments during IVG improved the growth,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SAF.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한나 ( Lee¸ Hann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이 연구에서는 제5차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이후 일관적으로 지향해 온 통합교과의 탈교과적 접근에 비추어 볼 때,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두 가지 점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교육의 내용을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조직하는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해 온 것과 차이가 있었다.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다룰 때 사용해 온 ‘주제(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를 ‘영역, 개념, 지식, 내용’ 등의 용어로 대체한 점, 둘째, 통합교과를 분과교과와 연계하도록 안내하는 점이었다. 이런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과가 통합교육과정으로서 특수한 지향점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하나의 교과교육과정으로서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해야 하는 딜레마를 논의할 수 있었다. 하나는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하면서도 이를 다시 교과라는 틀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다른 하나는 타 교과들과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고 통합교과만의 독자적인 내용을 다루면서, 그것이 종국에는 학생들이 통합교과 이후에 학습하게 될 교과들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쟁점은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정에서도 숙고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which reflected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light of the consistent direc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differ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formed. In particular, it replaces the ‘topics’ that have been used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ith ‘concepts, knowledge, and contents’ and guides each integrated subject to be linked to specific subjects. This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aiming for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organizes the curriculum around the lives of learners. Through this, I discussed the dilemma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overcome. The dilemma is that while the integrated curriculum aims for trans-subject integration, it should be presented in the framework of the subject again and while dealing with the unique contents of integrated subjects that distinguish them from other subjects, it should eventually be linked to other subjects.

      • KCI등재

        Hydrocolloids혼합첨가 쌀면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연구

        이한나,장은희,이진실,홍완수,김영식,한정아,Lee, Hanna,Jang, Eun-Hee,Lee, Jin-Sil,Hong, Wan-Soo,Kim, Young-Shik,Han, Jung-Ah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6

        Using market-selling rice flour, four rice wet noodles were prepared with three hydrocolloids: wheat flour,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and potato starch at different levels based on pre-test, and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nood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rice noodle with hydrocolloids showed much higher peak and final viscosity than wheat flour noodle (control). Rice noodle also showed higher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than control in textural properties, however, the noodle with the highest hydrocolloids (wheat flour 15%, HPMC 12.5%, potato starch 17,5%) showed lowest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values among samples. By sensory evaluation, the rice noodle with 15% wheat flour, 8.5% HPMC, 17.5% potato st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HPMC in noodles seemed to influence on the noodle quality than potato starch or wheat flour. For making rice noodle, adequate level of hydrocolloids could improve noodle quality such as viscoelasticity, however, excess addition made the noodle coarse.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 탐구를 위한 제안

        이한나 ( Hanna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2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 탐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연구 절차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교사가 내러티브적 지식을 생성하는 것은 자신의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적으로 사고할때 가능한 것이기에 교사가 자신의 경험에서 지식을 생성해내는 일은 내러티브 탐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자가 하는 일과 비슷한 일이라는 점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교사가 하는 일이 내러티브 탐구자가 하는 일과 같은 일임을 전제하는 연구자의 관점에 맞게 연구자와 참여자의 역할을 설정하고, 연구 과정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낼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연구자가 구상한 연구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에게 수집할 교육과정 이야기, 즉 연구 참여자가 구성할 현장 텍스트는 시간성, 사회성, 장소성이 드러나는 내러티브여야 한다. 둘째, 연구자는 참여자의 이야기를 다시 말하는(retelling)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사례 연 구를 통해 읽어낸 이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의식화 → 시각화 → 형식화/생성)은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사고 과정 탐구를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e a procedure for research to explore the narrative thinking process of teachers creating a curriculum knowledge. Teachers can create narrative knowledge thought narrative thinking about their experiences. So I selected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in terms of teachers and narrative inquirer perform similar role. And I reset the role of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and developed a research procedure in terms of my standpoint based on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inquiry. Finally, I conducted a pilot study to see if this process can reveal what I want to explore, and to refine the research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pilot study, I ensured that the research procedure can work and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study. First, the curriculum story which I gather, that is, the field text which participants make, is narratives that are reveal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Second, the researcher perform retelling serves the story of the participants. Third, Lee’s narrative thinking processes (Mental planning→Visualization→ Formalization/Generation) that I found through a pilot study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framework of the next inquiry.

      • KCI우수등재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설사 발생과 영향요인: 후향적 조사

        이한나(Lee, Hanna),송라윤(Song, Rhayun) 기본간호학회 2019 기본간호학회지 Vol.26 No.4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incidence of diarrhea and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ccurrence of diarrhea in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CU).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research, data based on inclusion criteria were collec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for 142 pati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ICU from September 2014 to August 2015.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Incidence of diarrhea was 53.5% during the 12-month study period. Diarrhea occurred at 4.54 days and continued for 1.79 days on average. Average total frequency of diarrhea was 5.56 times. Increased ICU stay, enteral nutrition, and infection stat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occurrence of diarrhea. Infection increased risk of diarrhea 3.4 times and enteral nutrition increased risk of diarrhea to 2.2 times greater than patients not receivng enteral nutrition. Conclusion: Diarrhea in ICU patients is associated with multipl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mplement preventive strategies. Infection control should be emphasized, and close monitoring of diarrhea should be provided for those with enteral nutrition.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determine standardized clinical definition of diarrhea and diarrhea risk factors in ICU pati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severity and comorbidity.

      • KCI등재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한나(Hanna Lee),한정원(Jeong-Won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인지하는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에 대한 상호작용 형태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아동패널(2015) 8차 년도의 본 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총 1462쌍의 부모 중 맞벌이를 하는 부모 630쌍이었으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행복감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은 어머니의 행복감에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중재와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맞벌이 부모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모를 한 단위로 구성하여 중재와 교육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행복감은 자녀가 성장하거나 시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변화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dual-income parents` happiness by confirming the effect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recognized by dual-income parents on parenta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30 pairs of dual-income parents out of 1462 pair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main questionnaire and in the mother and father questionnaires in the 8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5),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ain and strain of parents`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n actor effect on parents` happiness, and the gain and strain of fat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 partner effect on mother`s happines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interven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could increase the happiness of dual-income par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dual-income par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vention and education. In the future, we propose a study to confirm changes in influencing factors of parents` happiness according to time.

      • KCI등재

        교사의 실행에 기반한 융합수업 모형 개발

        이한나 ( Hanna Lee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백성혜 ( Seounghey Pai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교사에게 융합교육을 실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융합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Schwab의 실제적 접근을 연구 방법으로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융합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타당화하였다. 먼저,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이해하는 융합교육에 기반하여 융합수업의 설계 원칙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 수업설계 원칙에 기초하여 융합수업 모형(초안)을 구안하였다. 셋째, 이 초안은 연구자 집단 숙의를 통해 융합교육의 철학과 목적에 비추어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넷째, 교사 집단숙의를 통해서 수정모형을 적용하여 융합수업을 실제로 설계하여 실행해보면서 이 모형의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융합수업은 자신의 사고를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이런 융합수업은 ‘주제정하기→자신의 생각 세우기↔다른 생활과 만나기→자신의 생각 정리하기→새로운 생각 평가하기’ 절차를 따른다. 이 모형은 직접적으로는 융합적 사고 및 역량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고, 간접적으로는 교과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instructional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o this end, we derive the design principle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formed by teachers in convergence classes. And based on this design principle, we develop a convergence instruction model. And then the draft model was modified by reviewing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rough primary researcher collective deliberation. After deliberation with the secondary teacher group, the model was reviewed and revised once again. The procedures of this final model is as follows; ‘setting topics', ‘establishing one's own thoughts ⇄ meeting other thoughts', ‘clearing up new ideas' and ‘evaluating new ideas'. This model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effect of developing convergent thinking and capabilities. And indirectly, it expec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subjects).

      • Eye tracker를 활용한 인간 안구 운동 매커니즘 분석 및 가상 안구 시뮬레이션

        이한나(Hanna Lee),파반 쿠말 비엔(Pavan Kumar B N),아디쓰야 비(Adithya B),체타나 바사바라이(Chethana Basavaraj),채영호(Youngho Chai)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While the actual eye of a person is doing eye movement, the visual field is stable by the motion of the head and the body shake. In the environment such as FPS(First Person Shooting) computer game and FPV(First Person View)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 the head and eyes of the viewer are fixed and the field of view is usually shaken all the time. The view would be more stable if we apply the actual eye’s movement to the viewing camera of UAV and computer game. In this paper, the human eyes are tracked by the Pupil Eye Tracker and the eye mechanism is analyzed through the data obtained. Then, the virtual eye movements are simula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human eye experiment.

      • 흥미도 향상을 위해 ChatGPT를 활용한 수학 교수 학습 방법 제안 및 적용 : 미적분을 중심으로

        이한나(Hanna Lee),강신천(Shin-Cheon Kang),김의정(Eui-Jeong Kim),김창석(Chang-Suk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미적분 수업의 문제점은 문제를 제시하고 기계적으로 공식을 이용하여 문항을 해결하는 정답을 맞추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생각보다는 문항 해결을 위한 공부에 집중하고 있다. 학생들이 스스로 동기가 부여되고 흥미 유발과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적분 교과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ChatGPT를 활용한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았다. ChatGPT와 수학 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해 분석하고, ChatGPT를 활용하여 미적분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가치 인식이 높아질 수 있도록 교수 학습 설계를 제작한다.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으로 본 국정도서로서 교과용도서의 역할과 한계

        이한나 ( Hanna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이 연구에서는 국정도서의 검정전환을 앞두고, 지금까지 국정도서로서의 교과용도서가 교사가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실행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였고 어떤 한계가 있었는지를 탐구하여 차기 교과용도서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 교사(연구 참여자)가 국정도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해석한 사례를 기술 하였다. 그리고 여기서 국정도서로서의 교과용도서가 어떤 역할을 하였고 어떤 한계가 드러날 수 있는지 논의 하였다. 연구 결과, 국정도서로서 교과용도서는 교사에게 교육과정 내용을 확인할 때 국가교육과정 문서 대신 활용하는 자료이자, 수업 내용 구상에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역할은 때로는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교사의 내용 선정권을 제한하는 한계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용도서가 교육과정 자료로서 순기능을 하는 방향에서 이후 교과용도서 개선 방안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교과용도서’,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자율성을 담보하는 교과용도서’, ‘다양한 형태의 교과용도서’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roles and limits of national textbooks as curriculum materials in teachers’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order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xtbooks. This case study examines a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at teacher’s experienc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roles and limits of textbooks are discussed. The study finds that the textbook can be used in pla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when checking standard of national curriculum. It also provides ideas for the content of the class. However, sometimes this role of the textbook limits teachers’ ability to interpret the curriculum or their right to select content, as textbooks may completely replace curriculum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