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붇다와 오비구와의 관계 고찰 - 고행림과 녹야원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

        이필원 ( Lee Pilwon )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09 天台學硏究 Vol.12 No.-

        초기 불교가 북부 인도에서 세력을 확장하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 가운데 우리는 다섯 비구를 빼놓을 수 없다. 다섯 비구는 붇다의 최초의 제자이자, 가장 먼저 붇다와 같은 정신적 경지에 오른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관한 경전의 기술은 극히 제한적이다. 이것은 출가 순서에 따라 위계질서를 세운다고 하는 불교적 전통을 비추어 보아도 납득하기 힘들며, 또한 이들이 갖는 상징성에 비추어 보아도 이해하기 힘든 면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고행림과 초전법륜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섯 비구와 관련된 내용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고행림에서 닦은 고행의 내용에 관련된 것이고, 둘째는 초전법륜의 재회를 통해서 붇다와 다섯 비구의 관계 설정의 문제였다. 그 결과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고행림에서 닦은 고행의 내용은 극단적인 단식 수행과 호흡을 멈추는 수행이었다. 이들 수행은 당시 유행하던 고행주의 전통-특히 자이나와 아위지까-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었던 수행의 내용이었다. 따라서 붇다는 수행자 시절 고행주의 전통에 따라 혹독한 고행을 실천했음을 보았다. 둘째, 다섯 비구와 붇다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불교 문헌에 따라 그 전하는 바가 다르다. 그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첫째는 다섯 비구가 부왕이 파견한 사람들이라고 하는 전승이며, 둘째는 붇다와는 특별히 관련성을 갖지 않은 인물들로 우연히 고행림에서 같이 만나 수행한 사람들이란 전승이다. 이러한 내용을 나는 초전법륜의 에피소드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섯 비구와 붇다는 어떤 관련도 없는 사이이며, 우연히 고행림에서 만나 수행을 같이 한 수행동료였다는 결론을 얻었다. We can`t imagine early buddhism without five-bhikkhus who were trying to expand Gotama Buddha`s teaching. They were the first disciples and the first men who reached the same spiritual stage with Gotama Buddha. Nevertheless, the descriptions about them are very rare in Buddhist canons. It is hard to understand in the light of buddhist tradition which is based on in order of becoming a monk and also in a respect of their symbolism in the Buddhist Order. This paper, on this background, considered five-bhikkhus at two points which center on the forest for ascetic and the first sermon. The first is about the practice in the forest for ascetic, the second is about the problem of relation between Gotama Buddha and five-bhikkhus through the meeting again at the deer park(migaday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practices which had been followed by Gotama were the reduced intake of food extremely and the meditation without breath. These were asceticism practice method which was adopted by Jaina and Ajivikas currently. So we can understand that Gotama Buddha had performed rigorous ascetic practice by himself according to asceticism tradition when he was wanderer. Secondly, it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tama Buddha and five-bhikkhus is totally different in agreement with textual tradition. The story is distinguished by two viewpoint which they are people who sent by the Suddhodhana king and have met by chance at the forest for ascetic. So, I researched above two different view. As a result, I think that Gotama Buddha and five-bhikkhus didn`t know each other before. They were just colleague at the forest for ascetic.

      • KCI우수등재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이필원(Lee, Pilwon)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7 No.-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진 명상법은 대단히 다양하다. 그 가운데 무엇이 더 좋은가는 개인적 기질이나 성향에 달린 문제이기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그 많은 명상법 가운데 누구나 접근하기 쉽고, 종교적 성향에 관계없이 할 수있는 명상법이 있다면, 아마도 그것은 호흡명상일 것이다. 호흡명상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불교 전통의 호흡명상, 둘째는 뇌 호흡명상, 셋째는 요가의 호흡수행, 넷째는 도가적 전통의 호흡명상(복식호흡)이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 이루어진 불교 전통의 호흡명상 관 련 선행연구는 크게 3가지 관점에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호흡명상에 대한 문헌연구, 둘째는 호흡명상의 의학적 효과 검증, 셋째는 심리학적 효과성 검증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국내 연구의 배경 속에서 어찌 보면, 가장 대중적인 연구주제 가운데 하나인 초기불교의 호흡명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경전 니까야 속에서 호흡명상과 관련된 가능한 자료를 모두 찾 아 이들 내용을 분류했다. 호흡명상의 유래부터 시작해서 구체적인 방법과 수행론적 특징, 그리고 호흡명상을 통해 얻게 되는 이익과 심리치료적 효과에 대한 내용을 포괄해서 기술하고자 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호흡명상법이 지닌 다양한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불교 호흡명상이 다른 호흡전통과 구별되는 점은 호흡에 대한 사띠, 즉 알아차림에 있다. 2. 호흡명상은 부정관과는 관련없이 붓다가 정각 이전부터 수행해 온 명상법이다. 3. 호흡명상은 초보자부터 아라한, 심지어 붓다도 즐겨했던 명상법이다. 4. 호흡명상은 삼매를 획득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5. 호흡명상은 단순하게는 산란한 마음을 가라앉혀 수행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이지만, 다른 한편 지혜를 계발하여 번뇌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것으로 이어져 성인의 과위를 성취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명상법이기도 하다. There are many types of meditation methods. It is hard to say which is superior since it depends on the practitioner’s personal temperament and disposition. Even so, one method stands out as easily accessible and acceptable regardless of a practitioner’s religious leaning: breathing meditation. Previous studies on breathing medit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A traditional Buddhist method, a brain breathing method, breathing practice in yoga, and traditional Taoist breathing meditation (abdominal breathing). Among these, studies on traditional Buddhist breathing meditation may be examined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literature research, test of medical effects, and test of psychological effect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breathing meditation methods of early Buddhism, which is among the most popular research subjects in this field. To set it apart from earlier studies, we collected all the data on breathing meditation found in an early Buddhist script, Nikāya, and classified them. Our research covers topics ranging from the origin of breathing meditation, to specific methods, practical characteristics, benefits of breathing meditation, and psychological therapeutic effects. Some of the key findings on characteristics of breathing meditation are: What sets Buddhist breathing meditation apart from other breathing meditation is ‘sati’ or mindfulness. Breathing meditation is a method that Buddha practiced even before enlightenment, apart from meditation on impurity. Breathing meditation is a method that was widely practiced by novices and Arahat alike, even by Buddha. Breathing meditation is a useful method of attaining Samādhi. Simply put, breathing meditation is a method of calming down a distracted mind to enable immersion in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effective meditation method that helps to achieve a stage of realization by developing one’s wisdom.

      • KCI등재

        간화선과 심리치료__연구 현황을 중심으로__

        이필원 ( Pilwon Lee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4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 분노 등의 부정적 정서들로 인해 고통받고 있고, 그 고통은 가족을 넘어 사회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수행’, ‘명상’은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명상에 기반을 둔 MBSR이나 MBCT와 같은 프로그램은 현대인들의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한편 동북아시아에서는 ‘간화선’이라는 독특한 수행방법을 발전시켜 계승해 오고 있다. 근래에 들어 심리치료적 관점에서의 간화선 연구도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위빠사나와 비교할 만한 양적 연구가 성숙된 단계는 아니다. 필자는 2015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간화선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고, 333편의 논문 목록을 작성했다. 결과 심리치료와 관련된 연구는 6편에 불과했다. 6편 중에서도 실제 심리학적 방법을 통한 심리치료적 효과성을 검증한 논문은 3편뿐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은 국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1979년 MBSR프로그램이 개발된 이래 명상연구는 남방 위빠사나 일변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국내외에서 심리치료적 측면에서의 간화선 연구가 지지부진 한 이유는 간화선이 갖는 내적 한계 때문일 것이다. 간화선은 화두를 명확하게 타파한 스승의 지도가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심리 프로그 램이 되기에는 여러 제약이 따른다. 하지만 간화선은 다른 수행과 비교해도 손색없을 만큼 심리치료적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한 점은 국내의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해 볼수 있었다. 간화선이 갖고 있는 특징을 잘 살리면서, 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의 지평을 넓혀 갈 때, 간화선은 우리에게 매우 의미있는 심리치료 방법으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Today, we are faced with a variety of problems. The most severe one might be the psychological unhealthiness. Diseases due to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affect not only the individual’s life, but also people around including family members, which eventually develop into a social problem. In this social atmosphere, ‘practice’ or ‘meditation’ began to receive unprecedented amount of social interest. Not only Vipassana which is the traditional southern practice method, but also popularized programs such as MBSR or MBCT that applied Vipassana are currently contributing to solving diverse psychological problems of modern people. Meanwhile, a unique practice method called ‘Ganhwaseon’ has been early developed in Northeast Asia to be succeeded to this day. Recently, research on Ganhwaseon from an aspect of psychotherapy is budding in Korea. However, quantitative research on Ganhwaseon(看話禪) is not yet comparable to other practice method such as Vipassana. This paper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that contemplated on the psycho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 and confirmed the inherence of such characteristics in the tradition of Ganhwaseon. For this purpose, research papers related to Ganhwaseon that wereever published in Korea before February in 2015 were searched, which gave out a list of 333 papers. However, there were only six papers that involved psychotherapy. Among these six, only three were the papers that verifi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iveness using psychological method. Meanwhile, there are very few papers regarding the psychotherapeutic effectiveness of Ganhwaseon in overseas as well. Ever since Doctor Jon Kabat-Zinn developed MBSR program in 1979,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Buddhist contemplation has been proceeded merely focused on the practice in southern Vipassana. The reason that there are scarce domestic researches on Ganhwaseon from an aspect of psychotherapy can be attributed to the inherent limits of Ganhwaseon. The biggest challenge of Ganhwaseon is that practice is impossible unless there is a teacher who had precisely cleared Hwadu. Moreover, Ganhwaseon requires a one-on-one approach for solving Hwadu(話頭) and checking between teacher and pupil. In that sense,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for Ganhwaseon to become a public program. Nevertheless, Ganhwaseon has outstanding psychotherapeutic effects that stand comparison to any other performances.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revious domestic studies. If we properly give life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 and broaden a new level of understanding from a psychological aspect, Ganhwaseon can be reborn as a psychotherapeutic method that possesses a very significant meaning to us in these days.

      • KCI등재

        사띠의 심신치유적 기능에 대한 고찰

        이필원(Lee, Pil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If we take one of the words that characterize modern society, what can we say? It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but I want to take the word ‘healing’. The concept of ‘healing’ would mean ‘returning a state of unhealthy mind and body to a healthy state’. This implies that the original function is recovered. Returning to the state before the unhealthy of mind and body, it is ‘healing’. This paper focuses on ‘meditation’ and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mind and body of the healing mechanism. Among them, we want to deal with the spiritual and healing mechanisms of sati, an indispensable factor in referring to early Buddhist practice. Although sati is a core element of early Buddhist practice, it does not deal with the problem only in the frame work of early Buddhist doctrines,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ati, and thus discussing the points of mind and healing function that modern man needs I want to proceed. To this end, the text first examin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sati are presented and explained in the early Buddhist practice, and discusses the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day.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단어 가운데 하나를 든다면, 무엇을 들 수 있을까.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필자는 ‘치유’라는 단어를 들고 싶다. ‘치유’란 개념이 지시하는 것은 ‘불건전한 심신의 상태를 건전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이는 본래적 기능을 회복한다는 의미를 함축한다고 할 수 있다. 심신의 불건강함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 그것이 ‘치유’이다. 본 논문은 ‘명상’에 주목하여, 심신의 치유적 기제에 대한 내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초기불교의 수행론을 언급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인 ‘사띠(sati)’가 지닌 심신치유적 기제를 다루고자 한다. 비록 사띠가 초기불교 수행론의 핵심요소이긴 하지만, 초기불교적 수행론의 틀 속에서만 한정해서 문제를 다루지 않고, 사띠의 특성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현대인이 필요로 하는 심신치유적 기능에 포인트를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먼저 초기불교 수행론에서 사띠의 특성이 어떻게 제시되고 설명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살펴보는 순서로 논의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