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사방법 선호 변화에 따른 고령사회의 장사(葬事)정책 방향

        이필도,남상권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장사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 한 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전국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장사방법 및 장사시설 선호’에 대한 조사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사방법 선호는 매장 15.1%, 화장 79.3%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적 특성별 화장선호율이 상 대적으로 높은 그룹은 성별로는 여성, 연령별로는 젊은층, 학력수준은 고학력, 소득수준은 고소득층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장선호자의 장사시설 선호는 자연장 40.0%, 봉안시설 32.7%, 산골 27.3% 순으로 나타 났으며, 자연장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그룹은 성별로는 여성, 연령층은 40-50대, 종교별로는 기독교와 천주교, 학력별로는 고학력, 소득수준은 400-500만원 미만 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사시설 수급진단 결과, 자연장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추 계되었다. 고령사회의 진입으로 장사수요가 다양화됨예 따라 국민적 욕구 및 수준에 맞는 장사문화 환경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장문화의 확산에 따라 자연장을 포함한 다양한 장사시설의 개발 및 확충 이 필수적이다. 더구나 장사시설은 고인을 위한 시설인 동시에 이를 이용하는 유족 및 지역 주민 등 살아있는 자들을 위 한 공동시설이므로, 장사문화시설은 고인의 경건성과 엄숙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품격을 갖춘 시설이어 야 한다.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장사정책의 방향은 수요에 맞는 장사시설을 우선 확충하고, 자연친 화적이고, 사회친화적인 장사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아가야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irection of funeral policy in aging society. We used national survey data ‘funeral methods and facilities preference’ of KIHASA(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ail Affairs), which was collected 3,000 people above 30 years old. in 2011.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uneral method preference ‘after death’ is ‘cemetry’ 15.1% and ‘cremation’ 79.3%. The cremation preference are relative higher of female by sex, of younger group by age, of higher education and of higher incom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preferred facilities ‘after cremation’ are natural burial 40.0%, charnel facilities 32.7% and scatter 27.3%. The natural burial preference are relative higher of female by sex, 40-50 age group, christian and catholic, education ‘above high school’, and income level ‘400-500 million won’,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demand-supply diagnostic results show that the natural burial facilities are absolute short supply.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neral policy in aging society are ‘expansion of demand-oriented funeral facilities’ and funeral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nature-friendly and socio-friendly.

      • KCI등재후보

        장례문화 인식과 웰엔딩의 실천과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이필도,김혁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We should step forward from the cremation-centered funeral and consider the well-ending of the diseased from a welfare persp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highlight our funeral culture from a welfare perspective and to explore developmental policies in association with the well-ending of the deceas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history of funeral culture, to identify problems arising in the funeral culture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d finally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funeral culture. We conducted the survey on awareness of funeral culture with recruiting 500 citizens in Seoul City. Well-ending culture is the process which secures human dignity until the last moment of the death and improves the quality of death culture. Systematic approach to well-ending culture will gain the objectives of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death. Therefore, the funeral culture paradigm should be shifted for the settlement of funeral culture applicable to aging society. Education for well-ending preparation will give a meaning of life for both the persons waiting for the death as well as the family members. We also should establish funeral facilities as culture welfare facilities where all the generations share. 장례문화는 화장위주의 장례방법 개선에서 죽은 자의 복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장례문화는 미래지향적으로 재조명해 보고, 웰엔딩(well-ending)과 연계한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장례문화 변화과정과 서울시 장례문화의 문제점 진단을 통해 웰엔딩의 실천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장례문화 의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웰엔딩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해 주고 죽음문화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웰엔딩 문화의 체계적인 접근은 죽음의 질적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사회에 부응하는 장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장례문화에 대한패라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웰엔딩 준비 교육은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 뿐 만 아니라 살아있는 가족들에도 삶의 의미를 깨달을수 있다. 그리고 장사시설은 모든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 복지시설로 확충될 수 있도록 우리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

      • 화장장 및 납골시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이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보건복지포럼 Vol.34 No.-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 자연훼손, 묘지공간의 부족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고, 이러한 묘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장문화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화장·납골시설은 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하여, 질적인 측면에서도 시설상태가 노후화되거나 불량하여 장묘문화에 대한 국민의식 전환을 유도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화장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인식변화와 함께 필수적으로 화장 및 납골시설의 서비스를 개선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화장·납골시설의 운영현황 및 서비스실태를 통해 이들의 공급확대를 유도하고, 나아가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서비스중심논리의 장례서비스 개념과 역할 고찰

        이필도,이정선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0 서비스연구 Vol.10 No.3

        서비스는 수요자(고객)와 제공자(서비스 종사자)의 인간적인 상호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무형경제시대 서비스는 관계재화로서 인적자본을 행사하는 창조활동으로 이해한다. 대부분의 서비스 활동은 사물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인간적 활동이기 때문에 이용자와 서비스종사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존하게 되며, 장례서비스는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 대상자(고인, 유가족, 조문객)에게 제공하는 인간적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장례서비스는 죽음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고인과 유족, 조문객을 위한 서비스로 서비스 종사자와 유가족 및 조문객들의 상호작용이 통합됨으로써 발휘되는 인간적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장례서비스는 고인을 계기로 엄숙한 장례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례용품의 원활한 제공과 복잡 다양한 대인서비스로 소비자들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중심논리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유가족)와 조문객을 중심의 장례서비스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장례서비스의 개념과 역할을 연구하였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서비스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동태적 자원 관점에서 장례서비스와 장례용품을 구분하고, 소비자에게 폭넓은 선택권의 자유를 보장하고, 고객의 불만족과 개선요구가 투명하게 처리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제 우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죽음 질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장례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장사시설 수급추계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필도 ( Phi Do Lee ),박복순 ( Bok Soon Park ),김혁우 ( Hyu Gwoo Kim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1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3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use the estimation of supply and demand on burial and cremation for planning the long-term strategies of funeral facilities. Method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directions. First,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eaths were estimated, and how to estimate future population and the future number of deaths for potential users was explained. Second, the burial rate and cremation rate were estimated respectively, and how to use the Gompertz curve, to estimate potential users was explained. Third, us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ast, the supply and demand on funeral facilities were estimated. This includes the annual estimation of supply and demand on burial facilities and private enshrinement facilities. Results: The funeral facilitie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installation were presented. In this in- depth research, most of all, the space for cemetery is relatively limited in Gyeonggi-do. There are sufficient urn facilities compared with the cemetery facilities in 2008. Conclusions: The solution to reduce inconvenience due to the lack of cemetery facilities needs to be found, and the natural ways to minimize damage and how to install green burial should be considered. The utilization of the Gompertz Curve has proved effective on the estimation of funeral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