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기업 규모에 따른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관리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태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2 국제경영리뷰 Vol.16 No.1

        본 연구는 국제적 공급사슬관리의 중요성이 커져가는 가운데 단순한 거래 차원이 아닌 국제적 공급사슬 관점에서 국내 수출기업들의 공급사슬관리 지향성과 공급사슬관리를 기업 규모(firm size)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공급사슬관리 수준과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공급사슬관리를 이행함과 동시에 수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국내 1,061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관리활동 및 수출성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한 후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경로차이를 분석하였다. 공급사슬에 대한 지향성은 조직구성원과 조직 차원에서 분류하여 접근하였으며, 공급사슬관리도 전략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나누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공급사슬관리와 수출을 이행하는 기업들이 공급사슬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은 조직차원의 인지였다. 또한 기업규모에 따라 조직의 공급사슬지향성이 운영적 공급사슬관리와 전략적 공급사슬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차이를 보였다. 성공적인 국제적 공급사슬관리를 통해 수출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급사슬에 대한 지향성의 차이를 좁혀야함과 동시에 공급사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기업의 전략적 공급사슬관리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전체적인 공급사슬 역량을 강화시켜 수출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ccount for the Korea export company's Supply Chain Management structure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pply Chain Orientation(SCO) and Supply Chain Management(SCM) by firm size. According the trends of supply system became global, this study investigate not domestic SCM but international SCM view point. For this study, we use 1,061 individual samples in export-oriented enterprise which implement SCM either. In this study, we try to test two SCO classified a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and SCM also classified as strategical level and operational level. The research results proved that the SCO of organization is significant against SCM and export performance only. And the research also find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rge and medium to small sized company on the SCO of organization against both SCM through t-test.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export companies in SCM try to narrow the gap of large and medium to small sized company's SCO for successful SCM and Export Performance. And the large sized company have to enforce their strategic SCM for enhancing export performance and to lead their Supply Chain parters in upstream and downstream through the strategic SCM.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Achalasia and Distal Esophageal Spasm

        이태희 대한연하장애학회 2015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5 No.2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can be present with various symptoms like dysphagia, chest pain, regurgitation, heartburn, nausea, vomiting, or weight loss. And they show various abnormal manometry findings. Recent development in the diagnostic techniques (e.g. high-resolution esophageal manometry)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esophageal movement and a new classification of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This paper is aimed to review the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and provide its assessment and management strategy to the physicians who encounter these disorders.

      •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방안 : - 마중물사업으로 끝나는 도시재생을 넘어

        이태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0 건설이슈포커스 Vol.2020 No.-

        ● 도시재생 정책은 쇠퇴하는 지역에 공적 재원을 집중적이고 전략적으로 투입하여 민간의 활력을 회복하고, 민간투자를 견인하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하지만, 지금까지의 도시재생사업은 민간투자를 견인하지 못하고 재정사업인 ‘마중물사업’을 중심으로만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 왔음. ●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서 추진 중인 28개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사업에서의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해보고, 이 중 3개 사례의 민간투자 진행 과정을 심층적으로 고찰해보았음. 이를 통해 공적 재원의 ‘민간투자 견인 효과’를 분석했음. - 민간투자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나 서울 인근 도시에서 추진 중인 28개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사업에서의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현황을 파악해 봄. ● 분석 결과, 일각에서 제기되는 비판대로 공적 재원의 민간투자 견인 효과는 매우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음. 전체 지역 중 절반에서 공공 재원‘만’ 가지고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또한, 상당수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집계되어 있는 민간참여사업의 경우,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민간투자를 신규로 견인했다고 보기 힘들었음. ● 민간참여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던 세 사례에 대한 심층 고찰 결과, 공통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성공 요인으로는 ① (규모, 사업성, 용도 등을 고려시) 개발사업에 적절한 국공유지 존재, ② 민간투자 유치에 대한 지자체의 일관된 의지와 이를 위한 적극적 지원, ③ 국토교통부, LH, HUG 등 관련 공공기관의 적극적 지원 등을 꼽을 수 있었음. ● 실증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7가지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 1. 개발사업을 위한 공공 토지 확보 : 개발에 적절한 공공 토지를 확보하는 것은 민간참여사업을 추진하는데 핵심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따라서, 공공이 토지를 확보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음. 2. 민간 토지를 활용한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추진 : 구시가지 내 건축가용 토지 대부분은 민간소유이기에, 사유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추진은 매우 중요함. 본 연구에서는 정비사업과 사전협상제도를 활용한 사업 추진을 통해 공공과 민간이 win-win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음. 3. 사업성 개선을 통한 민간투자 유치 확대 : 다양한 공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업성이 낮아 민간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사업성을 개선하여 민간투자를 유인할 수 있는 7가지 방안을 제시함. 4. 민간참여사업과 연계된 마중물예산 사용 기간 유연화 : 카운터파트너가 존재하는 민간참여사업의 특성상 사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 따라서, 예산 이월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할 필요 있음. 5. 당위론적 사고를 넘어, 실용적 접근의 중요성 : ‘공공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공익’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유연하고 실용적 접근을 통해 공익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함. 6. 시민들의 의견이 균형 있게 반영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성 : 적극적인 참여자와 직접적 이해당사자 외에도, ‘침묵하는 다수’와 간접적 이해당사자의 의견도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7. 민간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공공부문 역할 수행 : 소극적인 관리나 감독 수준을 넘는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요구되는 도시재생에서, 민간부문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의 역할 수행.

      • 상부 위장관 이물의 내시경적 치료

        이태희,이기세,임의혁,허규찬,이창원,최용우,강영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4 Clinical Endoscopy Vol.28 No.2

        Background/Aims: Foreign bodie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re produced chiefly by accidental swallowing, but rarely produce symptoms. Although most foreign bodies pass spontaneously, 10∼20% of those need treatment. We evaluated the role of endoscopy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0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ho had been treated using endoscopy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0 to July 2003. Results: The age ranged from 14 months to 75 years (mean 36.8 years-old). Patients over 60 years, under 10 years were 20 cases and 28 cases, respectively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Common foreign bodies are coin (20 cases), fishbone (12 cases), animal bone (11 cases) and meat stuff (9 cas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the esophagus (68.8%). In most cases (88.8%), foreign bodies were removed using alligator tooth forceps. Fourteen patients had co-morbidities such as esophageal diseases, psychiatric disorders,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stomach cancer, and subtotal gastrectomy Conclusions: Endoscopy is a useful tool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목적: 상부 위장관의 이물은 비교적 흔히 경험하는 질환으로 소아에서는 우발적인 사고에 의해 발생하고, 성인에서는 위장관의 양성 및 악성 협착, 위장관 운동장애, 정신질환자, 의치사용자, 알코올 중독자 등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건양대학교병원에서 내시경으로 제거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임상양상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2월 1일부터 2003년 6월 31일까지 건양대학교병원을 찾은 상부 위장관 이물 환자 중 내시경적 치료를 받은 80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세부터 75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였으며 남녀비는 1.1:1 (42명:38명)이었고, 10세 미만이 28명(35%), 60대 이상이 20명(25%)으로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청소년층은 한 예도 없었다. 이물의 종류로는, 동전이 20예(25%)로 제일 흔하였고, 생선가시 12예(15%), 동물뼈 11예(13.8%), 고기 덩어리 9예(11.3%), 포장된 알약 5예(6.3%), 철사 3예(3.8%), 머리핀 3예(3.8%), 칫솔 2예(2.5%), 조개껍질 2예(2.5%)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유소아(28예)에서는 동전(20예, 71.4%)이, 장년층(23예)에서는 생선가시(6예, 26.1%), 노년층(20예)에서는 고기 덩어리(9예, 31%)가 제일 흔하였다. 이물이 발견된 곳은 식도가 54예(67.5%)를 차지하였고 위가 17예(21.3%), 윤상인두가 7예(8.8%), 식도와 위, 위와 십이지장에 걸쳐 발견된 경우가 각각 1예씩 차지하였다. 제거방법으로는 71예(88.8%)에서 악어턱모양 겸자 또는 파악겸자가 사용되었고, overtube, 콘돔, 올가미, EVL cap 등을 병용한 예도 있었다. 동반질환은 성인에서 14예(17.5%)에서 발견되었는데 식도질환 5예, 정신과 질환 3예, 위암 1예(고혈압과 당뇨 동반), 고혈압과 당뇨병이 각각 2예, 위아전절제술이 1예 있었다. 이물제거시 동반된 특이한 합병증은 식도열상 7예, 식도궤양 3예, 식도천공 1예, 위식도 접합부 열상 1예 있었으나, 모두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론: 상부 위장관 이물은 유소아, 고령층 또는 기저질환이 있는 군에서 흔하며, 내시경적 제거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에서 Nafion 함침량의 영향

        이태희,이승재,조원일,노용우,고영태,최경환 한국화학공학회 199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4 No.2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전극에 Nafion 용액을 함침시켜 고분자막/전극 어셈블리를 만들고 그 성능을 단위전지에서 측정하였다. 또 단위전지의 교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고분자막/전극의 계면저항 및 촉매의 유효비표면적을 계산하고 이를 전지성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1.9㎎/㎠의 Nafion 함침 전극이 가장 높은 단위전지의 성능, 가장 넓은 촉매 유효비표면적 및 가장 작은 고분자막/전극의 계면저항을 보였다. 또한 운전 온도 및 압력 증가는 반응기체의 활성 및 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단위전지 성능을 향상시켰다.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ere prepared by impregnating Nafion solution in the electrodes and their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in a single cell.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membrane/electrodes and the effective specific surface area of catalyst in the single cell were calculated from the AC impedance data and compared with the cell performance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lectrode of 1.9 ㎎/㎠ Nafion loading gave the highest single cell performance, the largest effective specific surface area of catalyst and the lowest interfacial resistance of membrane/electrode. The increase of opera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lso improved the single cell performance due to the increment of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reaction g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