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순항제어기에 의한 안전도 향상 효과 분석

        이태영,이경수,이찬규,이재완,Lee, Taeyoung,Yi, Kyongsu,Lee, Chankyu,Lee, Jaewan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2 자동차안전학회지 Vol.4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evaluation of the safety impact of the Adaptive Cruise Control (ACC) system in Korea. To evaluate the safety impact, this paper suggests an analysis method by using the test scenario and field operational test data. The test scenario is composed to represent the main component factor of the ACC system and ACC related accident situation such as rear-end collision, lane-change, and road-curvature, etc. Also, from the field operation test data, the system's potential to increase the safety can be measured ideally. Besides, field operational testdata was used to revise the expected safety impact value as Korean road conditions. By using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enhanced safety impact of the ACC system can be estimated scientifically.

      • KCI등재

        종방향 안전도 향상을 위한 자동비상제동 알고리즘 개발

        이태영,이경수,이재완,Lee, Taeyoung,Yi, Kyongsu,Lee, Jaewan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3 자동차안전학회지 Vol.5 No.1

        This paper presents a development of the Advanced Emergency Braking (AEB) Algorithm for passenger vehicles. The AEB is the system to slow the vehicle and mitigate the severity of an impact when a rear end collision probability is increased. To mitigate a rear end collision, the AEB comprises of a millimeter wave radar sensor, CCD camera and vehicle parameters of which are processed to judge the likelihood of a collision occurring. The main controller of the AEB algorithm is composed of the two control stage: upper and lower level controller. By using the collected obstacle information, the upper level controller of the main controller decides the control mode based not only on parametric division, but also on physical collision capability. The lower level controller determines warning level and braking level to maintain the longitudinal safety. To decide the braking level, Last Ponit To Brake and Steer (LPTB/LPTS) are compared with current driving statues. To demonstrat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EBS algorithm's, closed-loop simulation of the AEBS was conducted by using the Matlab simlink and CarSim software.

      • 싱가포르 도시계획체계와 디자인가이드라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이태영,Lee, Taeyoung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22 도시과학 Vol.11 No.1

        Even if Korea has established various legal guidelines as well as plans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urban citycapes, variou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a decrease in operational efficiency because the legal framework is not clearly defined and the guidelines do not fully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midst of this, Singapore is being mention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forming an outstanding urban cityscape through successful urban planning and operating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urban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apore's urban planning system and design guidelin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Singapore's urban planning system was based on the unified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Singapore Urban Design Guidelines provide differentiated guidelines to maintain and strengthen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linkage with higher-level plans as detailed practical guidelines, and were operated as flexible guidelines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needs of members of society. It also provides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urban design system, such as to increase the executionablity of the plan and the efficiency of operation by utilizing various guidance and support policies, rational and simplified deliberation procedures, and allow a platform that enhances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이더리움 블록체인 환경에서 최적 샤딩 방법을 적용한 전력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태영(Taeyoung Lee),박재형(Jaehyung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2

        최근 전력산업에서는 검침원에 의한 수기 검침에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활용한 원격검침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원격검침 인프라에서 발생하는 전력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면 위변조 방지로 무결성이 보장되고, 데이터 공유가 투명해짐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처리속도의 한계로 인해 대량의 트랜잭션 처리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On/Off-Chain 솔루션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전력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데이터 샤드(Shard) 처리를 활용한 연계 인터페이스 서버를 제안한다. 데이터를 샤드 단위로 처리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대량의 트랜잭션을 이더리움에 전송했을 때 데이터 누락률이 0%가 되고, 동시에 처리속도가 대략 9배 향상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In the recent power industry, a change is taking place from manual meter reading to remote meter reading using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If such the power data generated from the AMI is recorded on the blockchain, integrity is guaranteed by preventing forgery and tampering. As data sharing becomes transparent, new business can be created. However, Ethereum blockchain is not suitable for processing large amounts of transactions due to the limitation of processing speed. As a solution to overcome such the limitation, various On/Off-Chain methods are being investig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interface server using data sharding as a solution for storing large amounts of power data in Etherium blockchain environm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ower-data processing system with sharding method lessen the data omission rate to 0% that occurs when the transactions are transmitted to Ethereum and enhance the processing speed approximately 9 times.

      • KCI등재

        한국 저널에 수록된 보완대체의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태영(Lee Taeyoung),차웅석(Wung-Seok Cha),김남일(Nam-Il Kim) 한국의사학회 2009 한국의사학회지 Vol.22 No.1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has been developed in extremely diverse forms reflecting inter-state historical, cultural differences. As Korean Medicine is institutionally accepted to the same status of Western Medicine, the concept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needs to be realigned. Data-basing academic level Web Service DBpia,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was analyzed by focusing on 144 treatises listed in the Korean Journal. As the result, we could subgroup treatises as those of concept, category, current status, institutions, details, and miscellany. The treatises related to the answers to “What is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apply to the category of ‘concept’ Likewise in category are listed the treatises covering range and kinds of medicine. In ‘category’, ‘current status’, the discussions about the direction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pending and treatises dealing with clinical applications are covered. In ‘institutions’, treatises on policy-making are enlisted. In ‘details’ ,treatises applied on specific diseases were sub-grouped. Others not otherwise covered enlisted in the list of “Miscellany”.

      • 확률적 운전자 모델 개발을 위한 운전자 주행 특성 분석

        이태영(Taeyoung Lee),이경수(Kyongsu Yi),정창현(Changhyun Jeong)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5

        본 논문은 확률적 운전자 모델 개발을 위한 운전자의 주행 특성 분석에 대한 논문이다. 실제 운전자를 표현할 수 있는 운전자모델을 개발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인식오차와 실수 요소가 운전자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변수에 적용된다면 실제 운전자의 확률적 분포를 나타내는 운전자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주행상황에서 수집된 실제 운전자의 주행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정적 운전자 모델을 기반으로 한 확률적 운전자 모델을 개발하다. 확률적 운전자 모델의 상태변수는 정적 상태변수와 오차상태변수로 구성되며, 실제 운전자의 주행패턴과 마찬가지로 인식, 판단, 행동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확률적 운전자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로에 대하여 수집된 실제 주행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한다.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driving characteristic for development of a stochastic driver model. If proper human cognition/error mechanisms are included in driver model’s states, it is possible to reproduce real driving behavior. In order to develop the stochastic state for the driver model, driver’s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using the manual driving data. For example, relations between vehicle and preceding vehicle, connection of the time gap and clearance, acceleration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velocity were defined as composition of the mean value term and its distribution term. By using this analysis, states for the stochastic driver model were defined as combination terms of the nominal states and error states which are caused by human perceptual limitation, time delay, and distraction, etc. The stochastic driver model is composed of 3 parts: ‘recognition’, ‘decision’ and ‘action’. Consequently, the stochastic driver model can generate the driver’s stochastic characteristics in longitudinal and lateral dynamics. Finally, to validate the stochastic driver model,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results of the stochastic driver model and manual driving data was conducted.

      • KCI등재

        문화산업시대의 교육이란 무엇인가?-아도르노의 「반쪽교육론」에 따른 비판적 성찰

        이태영 ( Taeyoung Le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6 독일어문학 Vol.73 No.-

        현재 한국의 ``인문학 열풍``과 인문대학 축소 정책은 언뜻 보기에 한 사회에 병립 할 수 없는 상호 모순적인 현상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이 두가지는 모두 19세기말 이후 실용주의를 표방하는 ``교육의 사회화`` 과정에 수렴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1990년대부터 회자되어온 ``인문학의 위기`` 현상을 들여다보면,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인문학은 위기를 극복했다기보다 오히려 만성적 위기 현실 속에서 자기보존 Selbsterhaltung을 위한 사회적 적응력을 키워온 것처럼 보인다.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나 지식정보 전달에 초점을 맞춘 일부 대학 교양수업(홍은영 2015, 194)과 백화점 문화센터 등에서 열리는 인문강좌 프로그램을 볼 때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제 현상은 후기산업사회의 ``수요``에 맞추어 고등교육 ``사업``의 판을 새로 짜려는 교육정책이 인문학에 합리적 자기보존으로서의 자기부인 Selbstverleugnung을 강요해온 교육현실에 다름 아니다. 다시 말해, 이것은 교육이 19세기 이후 자본주의적 사회화 메커니즘에 적응해온 결과로서의 교육현실이자, 교육과 사회의 관계에 내재된 교육의 이중성에 기인하는 인문 교육의 위기 현실이다. 필자는 아도르노의 「반쪽교육론」을 통해 현대교육의 존재방식이 되어버린 이러한 강제적 사회화 메커니즘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그는 교육이 후기자본주의 시대의 ``관리되는 사회``에 팽배한 동질화의 강요와 문화산업의 조작 속에서 획일화, 물신화되었음을 비판한다. 기술의 발전과 대중문화의 대두로 절대적 영향력을 갖게 된 대중매체가 평준화, 객관화, 추상화된 교양 Bildung을 조장함으로써 인간의 상상력과 이성적 주체의 성찰적 경험이 제한되고, 교육은 이른바 주류문화 Leitkultur와 함께 지배이데올로기를 확대재생산하는 권력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로써 교육은 인간을 사회정치적 지배구조에 타율적으로 복종시키는 기능적 차원으로 축소되어 반토막 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간화``라는 교육의 철학적 성격은 갈수록 퇴색하고, 현실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선전과 구호를 남발하는 교육정책과 지배이데올로기에 따라 대중의 의식을 조장하는 대중매체가 교육을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현실에서는 고등교육이 직업교육 Ausbildung으로 왜곡되고, 교양과 인문학이 문화산업 안에서 ``소비``되는 모순적 결과가 초래된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모순적 현실 속에서 형성된 ``반쪽교육 Halbbildung``을 교육의 미완성 형태가 아닌, 야만상태 Barbarei의 새로운 교육형식으로 규정한다. ``반쪽교육``은 주체의 자율적 경험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인간소외 현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소위 전문가를 자처하며 떠벌리기 좋아하는 니체적 의미의 ``교양속물들 Bildungsphilister``을 양산하기 때문에 오히려 ``무교육 Unbildung``보다 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무교육에서는 아직 순진하고 무지한 주체가 대상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아도르노의 이러한 교육 개념을 오늘날 후기문화산업사회의 교육현실에 비추어 보고, 그의 교육론에 함축된 이성적 개별주체의 해방과 부단한 비판적 자기성찰이라는 부정변증법적 계몽의 필요성이 거듭 확인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