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른김에 대한 열처리 효과와 제조 공정 개선 시험

        이태식,이희정,변한석,김지회,박미정,박희연,정규진,Lee, Tae-Seek,Lee, Hee-Jung,Byun, Han-Seok,Kim, Ji-Hoe,Park, Mi-Jung,Park, Hi-Yun,Jung, Kyoo-Jin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시중 유통김에 대한 세균학적 위생 안전 확보 방안 구축을 위하여, 제품 중의 세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열처리 효과와, 가공 공정 중 외부로부터의 오염이 유입되는 건조 공정 개선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기 보관 또는 유통을 목적으로 제품의 수분 감소를 위하여 채택되고 있는 상법의 열처리 (화입) 공정 전후 제품의 세균학적 품질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마른김을 가스불로 직접 또는 간접 가열할 경우, 제품 중의 세균수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최초 균 수 $10^8CFU/g$에서 $10^5CFU/g$로 약 $1{\~}3$ 1og cycle 감소하였다. 조미 열처리 가공 김 가공에 상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소기를 사용하여 열처리 할 경우 제품 중의 생균수는 $2.2{\times}10^5{\~}5.2{\times}10^7$ CFU/g 에서 $7.0{\times}10^2{\~}5.0{\times}10^5 CFU/g$로 감소하였다. 마른김 표면에 20 W의 자외선을 단면과 양면에 20분간 조사한 경우, 생균수는 $2.2{\times}10^6 CFU/g$에서 $8.0{\times}10^5$ CFU/g and $2.0{\times}10^5$ CFU/g로 각각 감소하였다. 외부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정치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마른 김의 생균수는 $10^3 CFU/g$로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기존의 상품에 비하여 $4{\~}5$ log cycle 정도 낮았다. To establish a food safety of dried layer, heat treatment effect on the bacterial density of dried layers was investigated. And a modified process developing experiment for dried layer products using closing type drying oven was carried out. tittle bacterial density difference on the dried layer products were found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at $90^{\circ}C$ for 6 hrs called Hwaip treatment having been used for long term storage. Direct or indirect heat treatment of dried lavers using gas burner and frying pan reduced about 1 to 3 log cycle of viable cell count from $10^8\;CFU/g\;to\;10^5\;CFU/g$. Heat treatment by direct surface contact type cooking machine being used in the market place for cooked dried layer products could reduce the viable cell count on the layer product from $2.2{\times}10^5{\~}5.2{\times}10^7\;CFU/g\;to\;7.0{\times}10^2{\~}5.0{\times}10^5\;CFU/g$, Ultraviolet irradiation (20 W, 30 cm) to one or both side of the dried laver products reduced the viable cell count from $2.2{\times}10^6\;CFU/g\;to\;8.0{\times}10^5\;CFU/g\;and\;2.0{\times}10^5\;CFU/g$,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 of the dried layer products produced by modified process using a closing type dryer was about $10^3\;CFU/g$ and lower 3 log cycle than that in the products collected in market place and made by open type dryer.

      • KCI등재

        식품 첨가물이 Listeria monocytogenes H-12의 내열성에 미치는 영향 및 오염된 조리기구 제균

        이희정,이태식,손광태,변한석,김지회,박정흠,박미정,LEE Hee Jung,LEE Tae Seek,SON Kwang Tae,BYUN Han Seok,KIM Ji Hoe,PARK Jeong Heum,PARK Mi Jung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식품중에 오염된 Listeria monocytogenes의 열감수성에 미치는 각종 첨가물의 영향과 식품의 처리 가공시에 수반되는 조리기구 수세나 염소, 자외선, 열탕 등 각종 소독처리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솔빈산칼륨 둥은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의 열 감수성 증대에 유의할 만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명태 연육에 중합인산염을 $1{\%}$ 첨가할 경우 시험균주의 열감수성은 뚜렷히 증가되었다.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가 $약 10^4{\~}10^5/cm^2$ 되도록 오염시킨 나무,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재질의 도마를 흐르는 수도수로 세척하였을 때 스테인레스 도마나 플라스틱 도마의 경우 각각 10초 및 1분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나무 도마에서는 거의 제균효과가 없었다.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재질의 도마를 $5{\~}50 ppm$의 염소용액에 10초간 침지하고 수세할 경우 오염균의 제거가 가능하였으나, 나무 도마의 경우 100ppm 염소용액으로 처리하여도 균 수의 감소는 거의 없었다. 15W의 자외선을 30cm 거리에서 시험균주로 오염된 각 재질의 도마에 조사할 경우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도마의 경우 5분간 조사 후에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나무 도마에서는 60분 처리 후에도 균이 검출되었다. 각종재질의 조리용 도마에 오염된 시험균주 L. monocytogenes H-12의 열탕처리에 의한 제균조건은 $70^{\circ}C$, 10초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Effect of food additives on the heat sensitiv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H-12 inoculated into Pollack surimi was investigated and also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decontamination method such as tap water washing, chlorination, ultraviolet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haying been applied on cooking utensils. Food additives such as polyphosphate, chitosan, and potassium sorbate increased heat sensitivity of t monocytogenes H-12 and polyphosphate showed the strongest synergistic effect. The tested strain was not detected from stainless steel and plastic cutting board contaminated with $10^4{\~}10^5/cm^2$ of L monocytogenes H-12 after tap water washing for 10 seconds or 1 minute, but washing effect was not found in wooden cutting board. The chlorination of stainless steel and plastic cutting board for 10 seconds with $5{\~}50 ppm$ solution eliminated all cells of the contaminated strain, however any change of the viable cell count was not observed in the chlorination of wooden cutting board, W irradiation on stainless steel and plastic cutting board for 5 minutes with 15 W above 30 cm eliminated the contaminated strain, but the tested strain was still found after 60 seconds of irradiation on wooden cutting board. The treatment of hot water on all used cutting boards for 10 seconds at $70^{\circ}C$ resulted in complete loss of viability of the contaminated strain.

      • KCI등재

        참굴 채묘 부진 원인 구명에 관한 연구 -병리 발생학적 조사를 통한 참굴 모패의 건강도와 난 및 유생의 생존율과의 상관관계 구명 -

        박미선,류호영,이태식,PARK Mi Seon,LYU Ho Young,LEE Tae Seek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1

        1992, 1993년에 경남 통영, 거제 및 전남 여수 등 남해안 주요 굴 채묘 어장에서 참굴, Crassostrea gigas의 극심한 채묘 부진 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원인 구명의 일환으로 각 시험 어장 서식 모패 중의 난소기생충 감염율을 조사하고 감염난 및 비감염난에 대한 발생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패 중 난의 건강도 판정 및 발생 가능성 추정을 위하여 난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채묘 부진 해역에서 채집한 굴 유생 중의 세균의 오염정도와 오염균의 세균상 등을 조사하였다. 1992년 8월에서 1993년 9월 사이 경남 통영 저산, 거제 오수 및 전남 여수 경도, 굴전 지역 굴 암컷 모패의 난소기생충, Marteiliodes chungmuensis 감염 율은 각각 $11.8\~100\%,\;14.3\~100\%,\;$15.4\~93.3\%,\;12.5\~91.7\%$였으나, 충남 대천의 자연산 굴 암컷 모패에서는 난소기생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난소기생충에 감염된 난의 세포질 내에서는 직경 78$\~$80nm의 바이러스성 입자 (virus-like particle)가 관찰되었다. 난소기생충에 감염된 난을 사용한 인공 발생 실험에서 기생충에 감염된 난은 수정이 불가능하였으며, 동일 생식소에 감염난과 함께 있었던 정상난도 수정은 가능하였으나, $80\%$ 이상이 형태적으로 비정상적인 발생을 하였고, 정상적으로 발생하여 D형 및 초기각정기까지 도달한 유생도 외부 각부터 녹기 시작하여 연체부까지 파괴되는 세포 괴사 현상을 나타내며 전량 폐사하였다. 채묘 부진 현상이 발생한 통영 저산 양식산 참굴의 난지질 함량은 3.8ng/egg이었으나, 충남 대천 자연산의 난지질은 6.2ng/egg였다. 한편, 발생 전 낮은 난 지질 함량을 나타내었던 통영 저산 산의 난은 정상적인 수정, 발생 단계를 거쳐 수정 7일째 초기각정기까지는 발달하였으나, 이후 발생이 진전되지 못한 채 수정 10일째 전량 폐사하였다. 각 시험어장에서 채취한 참굴 유생의 단위개체당 생균수는 거제 오수가 8,100으로 가장 높았고, 통영 저산이 98, 여수 굴전이 5.5로 나타났다. 각 시험어장에서 채수한 해수 중의 생균수는 여수 굴전이 14,000/ml으로 가장 높았으며, 거제 오수와 통영 저산이 각각 370, 260/ml으로 비슷하였다. 채묘 부진 해역에서 채집된 패류 유생 중의 세균상은 Pseudomonas속 및 그 유사세균이 $53.3\~87.1\%$로 절대 우점종을 차지하였다. Infection rates of oyster ovarian parasite, Marteiliodes chungmuensis and productivity of the oyster shellstock infected with the parasite were investigated at the main seed collection area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ere the extreme bad seed collection of oyster occurred in 1992 and 1993 to evaluate the cause of the bad seed collection. Additionally, the bacterial flora of the sea water and oyster lana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shellfish larva pathogenic bacteria like Vibrio sp. and Pseueomonas sp. In August 1992 to September 1993, infection rate of oyster ovarian parasite, M. chungmuensis at Tongyong, Kyongsangnam province, and Yosu, Chollanam province where the bad seed collection occurred, were $11.8\~100\%$ and $14.3\~100\%$, respectively. But the parasite was not detected in the shellstock collected at Daechon, Chungchongnam province. While a virus-like particle was identified in the cytoplasm of the egg infected by the parasite. The parasite infected egg was not able to fertilize completely. Uninfected egg in the gonad contaminated by the parasite could be able to fertilize but showed an abnormal development till D-shaped larva and then, died of necrosis after D-shaped lana. And some lana developed from low lipid content egg could not develop to the spat and died after the early umbo stage. The predominant bacteria in the oyster lana collected at bad seed collection areas were Pseudomonas sp. and Pseudomonas like bacteria and the occupancy rates were $53.3\~87.1\%$.

      • KCI등재

        마비성패류독의 생물학적 제독 -2. 해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sp. CW-6를 이용한 마비성패류독의 분해-

        박미정,이희정,이태식,김지회,이태호,PARK Mi Jung,LEE Hee Jung,LEE Tae Seek,KIM Ji Hoe,LEE Tae Ho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해수에서 분리한 마비성패류독 분해 균주 Enterobactersp. CW-6 균주의 마비성 패류독소 최적 분해 온도 및 시험 균주의 독소 분해과정 중의 독소 함량 및 구성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균주는 배양 적온으로 확인된 $30, 35^{\circ}C$에서 배양 5일만에 각각 최초 첨가 독력의 $56.8, 44.1{\%}$, 12일 후에는 $93.0, 79.5{\%}$를 분해하였다. 그러나, 배양 적온에서 벗어날수록 균주의 독소 분해 활성은 감소하여 $20^{\circ}C$에서는 배양 12일 후에도 최초 독력의 $69.0{\%}$가 잔존하였다. 시험 균주 Enterobacter sp. CW-6는 $30^{\circ}C$에서의 조독소를 이용한 분해 활성 측정에서 초기 농도 38.2nmole/g의 마비성패류독을 배양 8일 및 12일째 각각 $88.4, 92.7{\%}$ 분해하였다. 정제 독소를 이용한 분해 시험에서, 조독소 분해과정 중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STX group은 GTX2, 3에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균주 Enterobactersp. CW-6는 정제 독소에 대해서도 강한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초 농도 47 nmole/g 의 GTX1과 37 nmole/g GTX4를 분해 과정 12일 후에 각각 $100, 90.8{\%}$ 분해하였으며, GTX2, 3 혼합물에 대하여는 최초농도 25.6 nmole/g의 독소를 12일 후에 $66.4{\%}$까지 분해하였다. Optimum temperature for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detoxofication of Enterobacter sp. CW-6 isolated from sea water and changes of contents and ingredients composition of PSP during bacterial detoxific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Enterobacter sp. CW-6 detoxicated $61.5{\~}67.7{\%}\;and\;87.4{\~}96.8{\%}$ of initial PSP toxicity ($25.0{\~}28.5\;nmole/g$) after $5{\~}12$ days at 30 and $35^{\circ}C$, identified as optimal growth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detoxification rate of Enterobacter sp. CW-6 for crude PSP with initial concentration of 38.2 nmole/g after 8 and 12 days at $30^{\circ}C$ in the Marine broth was 88.4 and $92.7{\%}$, respectively. During bacterial detoxification process using crude toxin solution, temporary increasement of STX group was detected and identified that was derived from GTX2, 3 group. The detoxification rate of Enterobaoter sp. CW-6 on purified GTX1 and 4 with initial concentration 47 nmole/g and 37 nmole/g were more than $90{\%}$ after 12 days in the marine broth at $30^{\circ}C$. Enterobacter sp. CW-6 also showed a detoxification activity on purified GTX2 and 3, and the detoxification rate for the initial concentration 25.6 nmole/g after 12 days was $66.4{\%}$.

      • KCI등재

        어류 Stromateus stellatus에 의한 설사성 식중독과 지질 특성

        이종수,김지회,이태식,박정흠,LEE Jong Soo,KIM Ji Hoe,LEE Tae Seek,PARK Jeong Heum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2000년 5월 부산에서 수입 냉동어 S. stellatus에 의하여 발생한 설사성 식중독의 원인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중독 환자들의 증상은 $0.5\~2$시간 (평균 1시간)에 증상이 시작되었으며 주된 증상은 소화기계의 설사 ($92\%$), 메스꺼움 ($77\%$), 복통 ($54\%$), 구토 ($46\%$), 두통 ($31\%$), 어지러움 ($23\%$), 발열 ($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육 추출물로부터는 식중독과 관련된 어떠한 자연독 성분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diacyl glycol빌 ethers (DAGEs)를 다량 함유한 특이 지질이 다량 ($23\%$) 함유되어 있었다. 설사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DAGE의 alkyl chain에는 16:0, 18:1이 주성분이었으며 8개의 다른 장쇄 alkyl chain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고, DAGEs의 sn-1,2에 결합된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18:1)이었다. DAGEs를 구성하는 분자종은 O-16:0-18:1-18:1($16.2\%$),O-16:0-18:1-22:1 ($14.7\%$), O-18:0-18:1-22:1 ($11.0\%$)이 주된 구성성분이었다. There was an outbreak of food poisoning due to eating well-cooked imported tropical fish, Stromateus stellatus on May, 2000, in Korea.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diarrhea ($92\%$), nausea ($77\%$), abdominal pain ($54\%$), vomiting ($46\%$) and headache ($23\%$) were experienced within $0.5\~2$ hours (median 1 hour) after eating, Any specific natural toxins were not confirmed concerned to those poisoning, but large amount of abnormal lipid ($23\%$) was found from the muscle such as 1-O-diacyl glyceryl ethers (DAGE), which was consisted of $61.8\%$ of total lipid. The 16:0 ($66.3\%$) and 18:1 ($15.8\%$) alkyl chains were dominant in all alkyl chains of DAGE which were presumed as the causative agent for the diarrheal food poisoning. O1eic acid (18:1) was found as a major fatty acid at the sn-2 or 3 in DAGEs. O-16:0-18:1-18:1 ($16.2\%$),O-16:0-18:1-22:1 ($14.7\%$) and O-18:0-18:1-22:1 ($11.0\%$) were contained as the major molecular species of DAGEs by RI-HPLC.

      • KCI등재

        Vibrio alginolyticus가 Shewanella sp. SR-14의 미세조류 증식저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회,박희연,이태식,김신희,박정흠,장동석,KIM Ji Hoe,PARK Hee Yeon,LEE Tae Seek,KIM Shin-Hee,PARK Jeong Heum,CHANG Dong Suc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5

        미세조류 증식 저해균 Shewanella sp. SR-14와 연안해역에서 우점종으로 분포하는 세균인 Vibrio alginolyticus가 규조, Chaetoceros calcitra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V. ajginolyticus가 Shewanella sp. SR-14의 C. calcitrans 증식저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혼합배양으로 측정하였다. Shewsnella sp. SR-14와 해수에서 분리한 V. alginolyticus는 미세조류 배양용 무기배지에서 단독 또는 혼합 배양하여도 잘 증식하였으며, C. calcitrans와 혼합배양시 Shewanella sp. SR-14는 조류증식을 저해한 반면 V alginolyticus는 이 조류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조류가 첨가된 배지에 Shewanella sp. SR-14의 최초 접종균수가 V. alginolyticus와 거의 같거나 1 log 정도 적게 접종되었을 때에는 C. calcitrans에 대한 Shewanella sp. SR-14의 증식 저해활성이 유지되었으나 V. alginolricus의 최초균수가 Shewanella sp. SR-14보다 3 log 이상 많았을 때에는 조류증식 저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algicidal activity of Shewanella (formerly Alteromonas) sp. SR-14 against diatom, Chaetoceros calcitrans was reported in our previous pape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ibrio alginolyticus on the algicidal activity of Shewanelia sp, SR-14 was examined under the optimum algicidal conditions, i.e., temperature ($21\pm1^{\circ}C$), light intensity (4,000 lux), and light: dark cycle (12 hour: 12 hour). Shewanella sp. SR-14 grew well in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V. alginolyticus in Conwy medium. Algal growth was only inhibited by Shewanella sp. SR-14. V. alginolyticus did not show the algicidal activity, Growth of C. calcitrans increased synergistically with growth of V. alginolyticus. When the initial inoculum of V. alginolyticus was only 1 log cycle higher than that of Shewanella sp. SR-14, the effect of V. alginolyticus on the algicidal activity of Shewanella sp. SR-14 was insignificant during incubation of mixed culture, i.e., two bacterial species and the alga. However, when V. alginolyticus dominated Shewanella sp. SR-14 by 3 log cycles of bacterial counts, it was found that the strain SR-14 could not inhibited growth of C. calcitrans up to 5 days of incubation.

      • KCI등재

        마비성패류독의 생물학적 제독 -1. 마비성패류독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학적 특성-

        박미정,이희정,이태식,박정흠,장동석,PARK Mi Jung,LEE Hee Jung,LEE Tae Seek,PARK Jeong Heum,JANG Dong Suck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For the establishment of biodetoxification method which can be acceptable for live bivalves,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detoxification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ea water and bivalves, and PSP detoxification activity and optimal growth condition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investigated. from the bivalve and sea water samples, 8 strains of PSP detoxification bacteria were isolated. Of the isolated strains, CW-6 isolated from sea water shown strong PSP detoxification activity and decomposed completely 18 nmole/g of GTX2 after 3 days incubation in artificial medium. The selected stain CW-6 shown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terobacter sp. and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CW-6. Optimal growth condition of the Enterobacter sp. CW-6 were $35^{\circ}C$, pH 7 and $NaCl 1{\%}$, respectively. PSP 분해 활성 세균을 이용한 마비성패류독의 생물학적 제독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진주담치 및 해수에서 마비성패류독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 균주의 독소 분해 활성 및 세균학적 특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해안 패류양식장에서 채취한 진주담치 및 해수 중에서 마비성패류독 분해능이 있는 8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균주 중 $GTX 1{\~}4$ 혼합물 전반에 대하여 폭넓은 분해 활성을 나타낸 CW-6를 시험 균주로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 CW-6는 배양 3일만에 18nmole/g의 GTX2를 완전히 분해하는 강한 독소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선발 균주 CW-6는 생화학적 특성 시험 결과, Enterobacter속으로 동정되어 Enterobacter sp. CW-6로 명명하였으며, 이 균주는 $20{\~}40^{\circ}C,\;pH 7{\~}9$에서 왕성하게 증식하는 전형적인 중온세균의 특징과 염분농도 $6{\%}$에서도 최적 증식의 $46.8{\%}$ 정도 증식 가능한 내염성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통영 양식장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간변동

        임월애,이영식,강영실,김성수,김성연,최혜승,허영백,이태식,이재영,Lim, Weol-Ae,Lee, Young-Sik,Kang, Young-Sil,Kim, Seong-Soo,Kim, Seong-Hyun,Choi, Hye-Sung,Hur, Young-Baek,Lee, Tae-Seek,Lee, Jae-Young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4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그 해역의 환경특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해역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년간 변동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해역별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통영연안인 원문만, 한산만, 미륵도, 욕지도, 사량도 및 도산 평림해역의 30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수온, 염분, 영양염 및 chlorophyll a를 조사하였다. 수질환경 중 용존무기질소는 1, 2월과 12월, 용존무기인은 1, 2월, chl-a는 7월~10월이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Chaetoceros spp.와 미동정된 소형 편모조류는 연중 우점하였고, 여름인 6~10월은 Pseudo-nitzschia spp., Dictyocha spp., Nitzschia longissim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그 밖의 계절은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p., Eucamphia zodiacus, Akashiwo sanguinea, Gymnodinium spp., Asterionella japonicus가 우점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한산만, 사량도 북동쪽에서 외편모조 적조가 3회 발생하였으며, chl-a는 한산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성 지수는 원문만, 한산만과 도산평림해역에서 낮게 나타났고, 규조류와 외편모조류의 비율은 미륙도 서측해역에서 높았다. 우점식물플랑크톤의 출현은 각 해역의 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최근 수온상승과 강우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도 예측되었다.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s one of the indicators that can explain the enviromnent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s. In this study,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water quality of aquaculture area were investigated for understanding regional enviromnental characteristics. Thirty stations in aquaculture areas of Tongyeong, south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9. Phytoplankton community, meteorologic dada and enviromnent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salinity, transparency, nutrients and chlorophyll a were also examined. Chaetoceros spp. and unidentified small flagellates were dominant species in all the year round. Pseudo-nitzschia spp., Dictyocha spp., and Nitzschia longissima were dominant in June to October being summer season, and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p., Eucamphia zodiacus, Akashiwo sanguinea, Gymnodinium spp. and Asterionella japonicus appeared as dominant species in the rest of months. Dinoflagellate blooms occurred 3 times in near Hansan Bay and around Saryang-do, and the highest chlorophyll a was found in Hansan Bay. Species diversity of phytoplankton was lower in Hansan and Womnum Bay, and diatom was more abundant than dinoflagellates in Mireuk-do waters. These results showed that phytoplankton community varied by the season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recent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and heavy rain may affect o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 KCI등재

        한국 연안산 해산 무척추동물의 중금속 함량

        목종수(Jong-Soo Mok),이가정(Ka-Jeong Lee),심길보(Kil-Bo Shim),이태식(Tae-Seek Lee),송기철(Ki-Cheol Song),김지회(Ji-Ho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동해, 서해 및 남해연안에서 채취하여 위판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연안산 패류(복족류 및 이매패류), 두족류, 갑각류 등의 해산무척추동물 52종 239개체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을 사용한 각 중금속에 대한 회수율은 평균 86.3~104.6%로 Codex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준에 부합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산 복족류의 중금속 함량은 아연 21.471±10.794 ㎍/g, 구리 4.115±2.565㎍/g, 망간 0.868±0.593 ㎍/g, 니켈 0.254±0.418 ㎍/g, 납 0.238±0.220 ㎍/g, 카드뮴 0.154±0.170 ㎍/g, 크롬 0.110±0.082 ㎍/g 순이었고, 이매패류의 경우는 아연 35.655±46.978㎍, 망간 5.500±9.943 ㎍, 구리 3.129±5.979 ㎍, 카드뮴 0.423±0.345 ㎍/g, 니켈 0.402±0.379 ㎍, 크롬 0.233±0.234 ㎍/g, 납 0.232±0.216 ㎍/g 순이었다. 또한, 두족류는 아연 18.380±5.479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3.594±1.823㎍/g, 망간 0.630㎍0.603 ㎍/g, 크롬 0.150±0.115 ㎍/g, 납 0.068±0.066 ㎍/g, 카드뮴 0.034±0.046 ㎍/g, 니켈 0.030±0.047 ㎍/g 순이었고, 갑각류의 경우 아연 25.333±9.608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리 9.042±8.895 ㎍/g, 망간 0.659±0.412 ㎍/g, 크롬 0.592±2.172 ㎍/g, 카드뮴 0.207±0.204 ㎍/g, 납 0.126±0.094 ㎍/g, 니켈 0.094±0.110 ㎍/g 순이었다. 따라서 카드뮴, 납 등 유해 중금속의 함량은 이매패류>갑각류=복족류>두족류 순으로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수산물을 통한 중금속의 1일 섭취량은 각각 카드뮴 6.88 ㎍, 크롬 19.13 ㎍, 구리 137.02 ㎍, 망간 156.13 ㎍, 니켈 11.39 ㎍, 납 7.01 ㎍ 및 아연 1,025.94 ㎍이었다.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와 비교해 보면, 카드뮴의 11.47%, 구리의 0.46%, 납의 3.27% 및 아연의 1.71%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수산물을 통하여 섭취하는 카드뮴 및 납 등 유해 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To measur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marine invertebrates, we collected 239 individuals representing 52 species from the eastern (Pohang), western (Gunsan), and southern (Tongyeong) coasts of Korea: 34 species of molluscan shellfish (Gastropoda and Bivalvia), 6 species of Cephalopoda, 8 species of Crustacea, and 4 other species. The mean levels of the heavy metals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edible portion of each Gastropod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21.471 ㎍/g), Cu (4.115 ㎍/g), Mn (0.868 ㎍/g), Ni (0.254 ㎍/g), Pb (0.238 ㎍/g), Cd (0.154 ㎍/g), and Cr (0.110 ㎍/g). The heavy metals in the Bivalvi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35.655 ㎍/g), Mn (5.500 ㎍/g), Cu (3.129 ㎍/g), Cd (0.423 ㎍/g), Ni (0.402 ㎍/g), Cr (0.233 ㎍/g), and Pb (0.232 ㎍/g). The heavy metals in the Cephalopod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18.380 ㎍/g), Cu (3.594 ㎍/g), Mn (0.630 ㎍/g), Cr (0.150 ㎍/g), Pb (0.068 ㎍/g), Cd (0.034 ㎍/g), and Ni (0.030 ㎍/g). The heavy metals in the Crustacea were high in the order of Zn (25.333 ㎍/g), Cu (9.042 ㎍/g), Mn (0.659 ㎍/g), Cr (0.592 ㎍/g), Cd (0.207 ㎍/g), Pb (0.126 ㎍/g), and Ni (0.094 ㎍/g). Therefore, the mean levels of the harmful heavy metals (Cd and Pb) in marine invertebrates were high in the order of Bivalvia>Crustacea=Gastropoda>Cephalopoda.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heavy metals from the fisheries products were as follows: Cd (6.88 ㎍), Cr (19.13 ㎍), Cu (137.02 ㎍), Mn (156.13 ㎍), Ni (11.39 ㎍), Pb (7.01 ㎍) and Zn (1,025.94 ㎍). The average weekly intakes of Cd, Cu, Pb and Zn from the fisheries products were 11.47%, 0.46%, 3.27% and 1.71%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established by FAO/WHO Expert Committee for Food Safety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