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근대 인도철학의 성립과 하라 탄잔(原坦山)의 역할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일본에서 초창기의 인도철학은 불교학 내지 불교철학의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진행된 것으로, 이렇게 불교학으로서 인도철학의 전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하라 탄잔이었다. 최초로 불교강좌를 담당한 이래 인도철학이란 이름으로서 학문적 지속이 이루어진 것에는 탄잔의 불교에 대한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동종의 승려로서 메이지 유신의 폐불훼석의 시련 속에서도 불교를 위한 열정을 불태우고, 도쿄대학에 최초로 불교학 강사가 된 뒤에도 불교학과 인도철학의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쿄대학에서 거의 생애의 마지막까지 강의를 담당하고, 대학의 강의를 그만둔 뒤에도 조동종의 승려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그와 같은 탄잔의 불교에 대한 정열과 열정이 있었기에 일본 근대 폐불훼석의 불교탄압 분위기 속에서도 불교가 새롭게 인식되어 서양의 종교와 우열을 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불교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탄잔에 의해 정착된 인도철학은 이후 불교학의 색채를 벗어나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 이어져 간다. 이러한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서는 1906년 다카쿠스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의 개설이 꼽혀지며, 이 강좌의 개설이 실제 일본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인도철학의 출범이라고 간주되는 것이다. Notwithstanding the hard times of Buddhism in early modern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Buddhism was made as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t Tokyo University in 1889. The person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Indian Philosophy in early times was Tanzan Hara, a monk of Soto-sect of Japanese Buddhism. He was the first lecturer of the course of Buddhism and a person that chose and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firstly instead of the name of Buddhist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 works,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an the belief of Buddhism.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viewpoint of philosophy, Tanzan Hara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nd since the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was used for a long time in Japan. In early times, the Indian philosophy was one of the lectures of Departe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with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e departement of Indian Philosophy was estabilished independ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contributors, Zenjiro Yasuda and Shaku Soen etc.. Generally speaking, the beginning of Indian Philosophy in real meaning was made by Zunjiro Takakusu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India at 1906. During the times of Meiji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the Indian philosophy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근대불교계의 전쟁에 대한 인식 연구

        이태승(Lee, Tae-seung)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6 No.-

        With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the new government adopted a strong anti-Buddhist attitude, and a movement to eradicate Buddhism and bring Shinto to ascendancy arose throughout the country due to the strong connections of Buddhism to the Shoguns. During the Edo Period of Tokugawa (1600-1868) Buddhism was supported by the state. The new Meiji government established a government bureau, the ShintōWorship Bureau(神祇事務局) to oversee religious affairs and to administer the government-ordered separation of Buddhism from Shintō. Through this process, the Meiji Restoration restored the power of the Imperial Household, which had been under the shadow of successive military governments in previous years. The haibutsu kishaku (廢佛毁釋; literally “abolish Buddhism and destroy Shākyamuni”)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most famous instance of the phenomenon, was an event triggered by the official policy of separation of Shinto and Buddhism and caused great damage to Buddhism in Japan. It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mages and texts, and Buddhist monks were forced return to secular life. The Buddhist traditions, however, fought hard to overcome national suppression, eventually earning equal status with Shinto by the mid-Meiji Period. Meanwhile, Japan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and encountered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forging a modern nation. Together with a series of wars, a militaristic ideology developed in the Empire of Japan: that the military should dominate the political and social life of the nation,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military is equal to the strength of the nation. This militarism came to a climax in the Second World War and eventually to defeat in 1945.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Japanese Buddhism overcame the haibutsu kishaku and what kinds of roles it played to support Japanese militarism by focusing on the matter of war. Zen at War focuses o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and Japanese militarism from the time of the Meiji Restoration through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ostwar period. It describes the influence of state policy on Japanese Buddhism, and particularly the influence of Zen philosophy on the Japanese military. Brian Daizen Victoria, an American-born Sōtō priest, draws from his own study of original Japanese documents, but also uses the publications of Ichikawa Hakugen (市川白弦, 1920-1986), a Rinzai-monk and a scholar. In The War Responsibility of Buddhists (Bukkyosha no Senso Sekinin, 1970), Hakugen himself had been “a strong advocate of Japan's ‘holy war’”. to which he later confessed, “I should not forget to include myself as one of those modern Japanese Buddhists who did these things.” Victoria's book exploded onto the Western Zen scene in 1997 and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ever since. Statements of some of Western Zen's most revered teachers and masters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and nationalism. A re-evaluation of Zen Buddhism's role in the Japanese w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s long overdue and Victoria's book is but a first step in a long and ultimately painful process of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Zen. The book's great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cceeded, where others scholars have not, in bringing to public attention the largely unquestioning support of Japanese Buddhists for their nation's militarism. In response to “Zen at War” Japanese Buddhism started a campaign to receive apologies from leading parties within the Japanese Buddhist schools since 2001. This involvement was not limited to the Zen schools, as all orthodox Japanese schools of Buddhism confessed on supporting the militarist state. In the process, Japanese Buddhist academia demonstrated their 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on the matter, while Japanese scholars traditionally refused to face the existence of their social issues. It is also important for Koreans because it gives u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f 메이지유신으로부터 시작되는 일본의 근대에 있어 불교는 역사상 초유의 탄압을 받는다. 곧 메이지유신 이전 도쿠카와 막부의 에도시대에 國敎의 지위를 가지고 있던 불교가 근대의 初頭부터 국가에 의한 탄압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압의 배경에는 권력의 중심을 천황에 두고 그 천황에 대한 이론적 근거 를 제공하는 神道에 국교적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메이지정부의 방침이 있었던 것이지만, 국가에 의한 불교탄압은 역사상 초유의 일로서 불교계는 큰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탄압이 發佛毁釋이라 불리어 진행되지만 불교계 또한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모습이 폐불훼석 초기 결성된 諸宗同德會盟의 모임이며, 그와 같은 불교계의 노력이 결실을 거두어 메이지 중기이후에 불교계는 신도와 동등한 종교적 지위를 갖게 된다. 이렇게 불교계는 메이지유신 이후 국가적 탄압을 극복하는 과정을 갖게 되는 반면, 일본 국가는 근대초기의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한 체제정비 이후 천황중심의 강력한 국가체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국가적 체제는 근대 중기이후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군국주의의 형태를 띄게 되고, 그러한 군국주의 체제는 태평양전쟁까지 이어져 결국 1945년 패전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본고는 근대 폐불훼석을 극복한 불교계가 이러한 군국주의 일본의 사회체제와 어떻게 관계하고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으로 특히 전쟁과 관련된 불교계의 입장을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近年 근대 일본불교계와 전쟁의 관계를 다루어 전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브라이언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Zen At War)』을 근거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빅토리아에게 큰 영향을 끼쳤던 이치카와 하쿠겐(市川白弦, 1902-1986) 에 대해 살펴보았다, 빅토리아는 미국인으로 일본에 와 曹洞宗의 禪僧으로서 수행을 하는 일면 불교와 전쟁에 대해 오랫동안 고뇌와 사색을 바탕으로 그 자료를 모아 이와 같은 저서를 공간하였지만, 그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된 데에는 이치카와 하쿠겐의 영향이 컸다고 밝히고 있다. 이치카와는 臨濟宗의 승려로서 전후 불교계의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을 촉구한 『佛敎者의 戰爭責任』(春秋社, 1970)을 출간한 불교계의 양심적인 인물로 간주되지만, 실제 그의 저술들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이 출간된 이후의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치카와를 비롯한 불교계의 전쟁책임 규명을 위한 노력에 의거해 일본의 불교계는 終戰이후 거의 4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전쟁에 대한 반성을 교단별로 밝혔지만, 빅토리아의 저술이 일본어 번역판으로 출간된 2001년 이후 보다 많은 불교교단이 전쟁에 대한 반성을 표명하였고 더불어 일본의 불교학계에서도 전쟁과 사회의 책임에 대해 학술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간 사회적인 문제에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하던 불교학계의 자세에 대해서도 반성과 책임을 촉구하는 입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본불교학계의 전쟁책임이나 사회윤리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은 단순히 일본불교계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에 의해 식민지를 경험한 우리에게도 중요한 현실인식을 가져다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불교계의 윤리의식을 넘어 우리사회의 역사적, 정치적 의식과도 관련되는 폭넓고 중요한 문제제기로, 여전히 불편하게 지속되는 한일관계에 새로운 사회인식과 도덕의식을 제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후기 중관사상에서 본 불성과 영성 -『불성론』과 스즈키 다이세츠의 영성관과 비교하여-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본고는 불성과 영성의 개념을 심층의식의 단계적 설명과 관련시켜 고찰한 방식에 의거하여 후기 중관사상에 나타나는 공성의 개념을 살펴 본 것이다. 불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불성론』에, 영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스즈키 다이세츠의 견해에 의거해 살펴보았으며, 그것은 『불성론』과 스즈키가 각각의 개념에 대해 불교적 입장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불성론』에서의 불성은 궁극적인 유적 존재, 수행을 통해 얻어지는 존재, 공덕을 지닌 존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스즈키의 영성에는 무차별·무분별의 의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불성과 영성의 개념은 의식의 내면적 단계와 관계를 가지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의식의 단계로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식의 단계적 설명은 후기 중관사상에서 공성에 대한 논증의 과정에 나타나는 일련의 개념 즉 외경-형상-유식-무아 개념의 심층적 전개와도 상통하고 있다. 이 후기 중관사상의 인식론적 논의는 나가르주나의 근본중송에 나타나는 이제설과 후기불교의 인식론적 고찰이 어우러져 제법의 무자성 논증이 인식론상에서 상세하게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그와같이 『불성론』의 불성 개념이나 스즈키의 영성 개념, 그리고 후기 중관의 공성의 개념이 모두 인식론상의 고찰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개념을 인식론상의 구조와 관련하여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 고찰의 결과 각각의 개념들에 대한 인식론상의 이해가 분명해졌고 아울러 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심리적ㆍ인식론적 연구의 필요성도 느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많은 논의가 되고 있는 불성·영성·공성 등의 개념이 보다 선명하게 이해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자한다.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are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concepts from the aspects of society and religion in contemporary tim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Before entering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Suzuki`s works and Bul-sung-ron(佛性論) respectively.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we confirmed that the notion of Spirituality of Suzuki have the relationship with the very deep and indiscernible consciousness which are said to be ``indifferent`` and ``indiscriminate`` in Suzuki`s work and the notion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is something that are Ultimate-being in deep consciousness and obtainable from the training and full of the merit and virtue. Considering the notion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in Suzuki`s works and Bul-sung-ron, the aspect of consciousness are remarkable and noticeable. Therefore we can understood that this aspect of the consciousness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According to the Madhyamakalamkara-vrtti of Santaraksita, the representive work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we can find that the concept of Sunyata as the Ultimate-being are presented in the deep aspect of our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he Sunyata with the Logical method is an ultimate work which functions in inside our consciousness. Pursuing the deeping process of the consciousness for the concept of Sunyata, we can find th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sphere of Outer-world, the sphere of Idea, the sphere of Mind-only, the sphere of Non-mind. Considering thes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in Madhyamakalamakara-vrtti, we can undestand that the Mind-only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and the Non-mind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in the Suzuki`s works. Besides these spectrums relative to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there is another sphere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Ultimate-state that is indescribable with our word. In concluding, we can easily understand the difficult concepts of Buddhism such as Sunyat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and Suzuki`s works or Bul-sung-ron.

      • KCI등재

        투고 논문 : 『진언집』 범자(梵字)한글음역 대응 한자음의 연원과 그 해석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동아시아에 전래된 불교경전은 대다수 인도의 범어원전을 번역한 것으로, 초기의 역경가에는 범어에 조예가 깊은 인도인 혹은 서역인이 많았다. 중국인에 의한 본격적이고 대표적인 역경은 현장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에 의해 번역용어도 새롭게 정리되었다. 그렇지만 이렇게 번역된 불교전적 가운데 정작 범어에 관한 저술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렇게 소수의 전적 가운데 현존 대장경에 수록된 범자에 관한 체계적인 저술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이 『실담자기』이다. 지광에 의해 저술된 『실담자기』는 범어 자모음의 결합법칙과 발음 등을 상세히 기록한 책으로, 특히 일본에 점해져 `실담학`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실담자기』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지만, 이 『실담자기』에 나타나는 실담문자에 대한 설명은 우리나라 『진언집』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조선시대 최초로 간행된 안심사본 『진언집』은 그러한 실담문자에 대한 설명과 이해를 보여주는 중요한 전적으로, 그러한 내용을 전하는 <실담장>은 후대 간행된 모든 『진언집』에 전승되고 있다. 본논문은 <실담장>에 나타나는 범어 자모음의 한자음의 연원과 범자에 대한 <실담장> 해석의 기원을 살펴본 것으로,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선조의 범자 이해를 고찰하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실담장>에 나타나는 범자의 한자음 표기는 중국에서 활약한 역경가인 不空의 범어 한자음 표기와 상당히 유사한 점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실담장>에서의 범자에 대한 해석도 밀교전적인 『대일경소』의 내용과 상당한 유사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좀더 다양한 문헌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선조들의 범자 이해에 대해 살펴보고 싶다. Despite of many Buddhist works translated into Chinese from Sanskrit, there are very few on the Sanskrit language in Chinese Tripitaka. Among the works on Sanskrit language, "Sil-dam-ja-gi(悉曇字記)" is very important to study Sanskrit letters and makes an effect on the late foundation of Sanskrit study, Sil-dam-hak(悉曇學), in Eastern Asia. There are no traces of "Sil-dam-ja-gi" in Korea but we have the similar contents of Sanskrit language in the Korean traditional work. That is a "Sil-dam-jang(悉曇章)" in Korean "Jin-eon-jip". Since the first "Jin-eon-jip" was made in Cho-sun period, the contents of "Sil-dam-jang" are common to the later all "Jin-eon-jip".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the origin and explanation of the Chinese Transliteration of Sanskrit letters in "Sil-dam-ja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are common to the rules of the Chinese transliteration between Korean "Jin-eon-jip" and the works of Amoghavajra(不空金 剛), the great translater in China. The representative works translated by Amoghavajra are the "Mun-su-mun-kyung-ja -mo-pum(文殊問經子母品)"and"Yu-ga-kum-kang-jung-kyung -suk-ja-mo-pum(瑜伽金剛頂經釋子母品)". Also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Sanskrit letters, the explanation of "Dae-il-kyung-so" by Il-heng(一行) make an effect to the explanation of the Sil-dam-jang. In "Dae-il-kyung-so", the five vowels of Sanskrit letters(a, a, am, ah, ah) are representing the meaning of the Bodhi-citta, the great practice, the accomplishment of Bodhi, the Nirvana and the Skillful Means respectively. These explanations of "Dae-il-kyung-so" are very similar to that of "Sil-dam-jang". About the consonants, there are common explanations between the two. Furthermore, we need more investigation to the resources of the explanation and the meaning of "Sil-dam-jang" in "Jin-eon-jip".

      • KCI등재
      • KCI등재
      • 패턴인식에서 온라인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의 학습속도 향상방법

        이태승(Tae-Seung Lee),황병원(Syong Wo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MLP(multilayer perceptron)는 다른 패턴인식 방법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이 있어 다양한 문제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LP의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BP(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은 학습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실시간 처리를 요구하는 문제나 대규모 데이터 및 MLP 구조로 인해 학습시간이 상당히 긴 문제에서 제약으로 작용한다. 패턴인식에 사용되는 학습데이터는 풍부한 중복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MLP의 내부변수를 갱신하는 온라인 계열의 학습방식이 속도의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EBP 알고리즘에서는 내부 가중치 갱신시 고정된 학습률을 적용한다. 고정 학습률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패턴인식 응용에서 상당한 속도개선을 얻을 수 있지만, 학습률을 고정함으로써 온라인 방식에서 패턴별 갱신의 특성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또한, 학습도중 패턴군이 학습된 패턴과 그렇지 못한 패턴으로 나뉘고 이 가운데 학습된 패턴은 학습을 위한 계산에 포함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온라인 EBP에서는 에폭에 할당된 모든 패턴을 일률적으로 계산에 포함시킨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패턴마다 적절한 학습률을 적용하고 필요한 패턴만을 학습에 반영하는 패턴별 가변학습률 및 학습생략(COIL)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COIL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화자증명과 음성인식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 KCI등재

        통합모델 연극치료 MEET-4c

        이태승(Lee, Tae Seu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드라마(행위)와 극(보기)의 수평축과 실제 이야기와 허구 이야기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사분 모형을 구조화하여 연극치료의 모델을 통합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분 모형은 내적 관계와 외적 관계, 의식과 무의식의 형태로 구분되며 필 존스의 9가지 핵심요소는 각각의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심리극, EPR, DvT, 역할이론, Sesame approach, 제의 연극, 5 stages, 감정 모델 연극치료의 지향성을 군집화하여 MEET-4c의 연극치료 통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첫째, 극적 만남(Meeting)은 어려움을 고백(confess) 하는 관계적 공간으로 안전함을 제공하고 치료적 관계를 맺으며 참여자의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하는 준비 단계이다. 둘째, 극적 표현(Expression)은 감정을 담아(containment) 내는 정서적 공간으로 감정을 공감하게 하며, 참여자를 있는 그대로 비추는 거울의 역할과 담아주기의 역할을 하여 참여자가 자신을 스스로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탐색 단계이다. 셋째, 극적 발견(Exploration)은 극적 몸으로 대면(confrontation) 하는 역할의 공간으로 신체를 조율하게 하며, 극적 발견은 고정된 관념을 몸으로 새롭게 자각하게 하는 통찰 단계이다. 넷째, 극적 변형(Transformation)은 신념이 창조(creation) 되는 공간으로 치료적 공명을 만들게 하며, 창조된 신념으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시도하여 삶에 반영하는 실행 단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ive models of Dramatherapy by structuring quadrants based on the horizontal axis of drama(doing) and theatre(seeing), the vertical axis of real and fictional stories. The quadrant model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conscious and unconscious forms, and Phil Jones nine core elements have their own orientation. In this context, the integrated Dramatherapy model of MEET-4c s was derived by clustering the direction of psychodrama, EPR, DvT, Role theory, Sesame approach, Ritual theatre, 5 stages, and the emotional model. Firstly, dramatic meeting is a preparatory step that provides safety, establishes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allows participants to talk about their stories as a confession of difficulties. Secondly, dramatic expression is an emotional space that empathizes with emotions and serves as a mirror that reflects clients as they are, allowing clients to open themselves up. Thirdly, dramatic exploration is a space for the role of confronting the body with a dramatic body, and dramatic exploration is an insight step that makes the body newly aware of fixed ideas. Finally, dramatic transformation is an implementation step that creates therapeutic resonance in a space where beliefs are created, and suggests new directions, attempts, and reflects them into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