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물인터넷환경에서 바라 본 인도와 서양의 융합: 무갈 회화와 기독교 성화(聖畫)의 만남

        이춘호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2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8 No.2

        Connectivity and knowledge are the main keywords of the IoT. In this paper, I analyzed how the two civilizations, Christianity and Islam, were connected through Mughal paintings and what result they have brought in the spread of knowledge. For that, I analyzed literature as well as paintings of those days. In terms of theme matter, Western painting was used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of the Mughal Emperor. In terms of style, perspective and shading from the Western Paintings began to be used in Mughal painting. Later, Christian symbols and themes were linked to absolute power of kingship, and further utilized them to develop into the concept of kingship = spirituality = divinity, creating an original art style that wa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world painting. By analyzing the two disparate cultures in terms of 'connectivity' and 'knowledge' of the Internet of Things, such research could serve as a platform for future humanities research on the Internet of Things. ‘연결’과 ‘지식’은 사물인터넷의 주요 키워드이다. 본 논문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이라는 두 문명이 무갈 회화를매개체로 하여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었고, 지식의 전파를 낳았는지 무갈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문헌과 그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서양 회화는 주제적 측면에서, 기독교 이미지와 상징은 무갈 황제의 왕권을 강화하는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양식적 측면에서, 서양 르네상스 시대 원근법과 명암법 등이 무갈 회화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서양 기법의 단순한 활용에서 시작된 융합은 후에 서양 기독교 아이콘이나 상징을 무갈 회화에 채용하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기독교 상징이나 주제를 절대 권력 왕권과 연결시켰고, 이를 더 활용하여 왕권=영성=신성의 개념으로 발전시켜세계회화사에 유래없는 독창적인 예술 양식을 창조했다. 사물인터넷에서 ‘연결’과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이질적인 두문화의 연결과 지식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연구가 향후 사물인터넷에 대한 인문학 연구를 위한 하나의 플랫폼의 역할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자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MgO 박막의 증착 및 특성

        이춘호,김선일,신호식,Lee, Choon-Ho,Kim, Sun-Il,Shin, Ho-Shik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12

        MgO 박막은 성장용 기판 또는 완충층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AC PDP의 유전체 보호막으로써 그 활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증착법에 의해 MgO 박막을 증착시켜 증착변수에 따른 MgO 박막의 성장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은 증착기판, 증착속도, 기판온도 등의 변화에 따른 MgO 박막의 우선배향성, 표면형상을 통하여 MgO 박막의 물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Si 기판에서는 증착속도가 빠를수록 (111)우선배향된 박막을 얻을 수 있었고, 기판온도가 상온일때는 (200)에서 기판온도가 증가할수록 (220)의 peak이 관찰되었다. 비정질인 slide galss 기판일 경우에는 상온에서 MgO 박막의 (200)면의 우선배향을 얻을수 있었고, 온도에 의해 배향성이 (200)면에서 (111)면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gO 박막의 배향성과 특성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다. The growth characteristics on the MgO thin films prepared by the e-beam evaporation method have been investigated. We observed the film of preferred orientation and surface morphology with various parameters such as substrate temperature, deposition rate on Si(100) and slide glass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shown that MgO(111) preferred orientation films can be obtained as the deposition rate was increased on Si(100) substrate. MgO(220) peak was found as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increased. Whereas, in case of slide glass the orientation is changed from (200) to (111) by substrate temperature. Al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 characteristics and the orientation of MgO thin films.

      • KCI등재

        바부르가 본 16세기 인도: 『바부르나마(Baburnama)』를 중심으로

        이춘호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바부르가 남긴 자서전을 통해 그가 어떤 시각으로 16세기 인도를 바라보았는지를 문명교류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부르가 저술한 『바부르나마』를 기저로 삼아 텍스트 분석을 연구 방법의 근간으로 설정했다. 인도에 대한 『바부르나마』의 서술은 사실적이고, 역사적이며, 당시 사회제도나 풍습 등에 대해 기록했기 때문에 언어·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다. 이에 그가 남긴 텍스트와 당대 문헌을 참고하여, 그의 주관적 서술을 객관적으로 서술하고자 하였다. 인도에 관한 바부르의 인식은 긍정과 부정이 혼재되어 있었다. 그는 때로는 종교의 관점으로 가지고, 때로는 정복자의 관점에서 서술했다. 그 서술에는 인도의 장점을 칭찬하기도, 때로는 인도의 단점을 서술하기도 하였다.

      • 도시회복력 민감요소 선정 및 도시설계분야 BIM 적용방안

        이춘호,심규성,문치국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본 논문에서는 국내 도시 설계 관련지침2건(‘도시 ․ 군 기본계획수립지침’, ‘도시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및 활용에관한 지침’ 등), 국내 ․ 외 도시설계 관련 가이드라인(국내1건, 국외5건) 등을 활용하여 설문용 9개 대분류를 선정하였다. 이를 활용 하여 쇠퇴지역 도시회복력 민감요소 도출을 위한 설문을 도시설계분야 실무자 및 도시계획 연구자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결과 9개 분야 대분류 하위요소별 상위 3개 항목을 민감요소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민감요소의 도시재생사업 및 도시 설계 분야 BIM 설계(기본설계, 실시설계)적용을 위하여 BIM 기본 및 실시설계 사례 분석 및 도시재생사업 우수지역 현장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 및 현장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선정된 민감요소 9개 대분야 상위 3개 항목을 크게 도시기반시설, 도시환경 분야, 도시 경제 및 공동체 분야로 분류하여 민감요소별 BIM 설계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 중국에서의 한국 인문지식교육 현황 및 향후과제

        이춘호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13 No.1

        중국에서의 한국 인문지식교육,특히 1990년대 이후에 새로 개설된 중국 대학교 한국 어 학과에서의 대상국 인문지식 교육은 미래 지향적 인재양성의 시대적 요구와 함께 새로운 연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한국 인문지식 체계와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또한 어떻게 한국어 교육에 접목시켜 좋은 효과를 얻어내겠는가 하는 문제는 한국어 학과들에서 시급히 해결 해야 할 문제이다.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중국내 한국어 학과에서의 한국 인문지식 교육 실태를 토대로 존재하는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분석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코비드19 시대가 온라인 고등 교육에 미치는 영향: 인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춘호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1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ovid-19 era on online higher education in India through a survey. METHOD I asked students five questions using Google Form to collect primary data for analysi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belonging to famou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India. The students' majors were management and economy, art, social science, and science. As for the survey areas, Haryana and Punjab, the fastest development areas in India, were selected. RESULT First, during lockdown, more than 95% of the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various online media. Second, among various online media for classes, the most using medium for the classes was Whats App. Third, I have check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online education. Fourth, the types of difficulties students face through E-learning were collected. The last question was conducted by directly listening to what students wanted. CONCLUSION Covid-19 will continue to cause changes in educational methods or virtual training in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means that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also need to upgrade service platforms that can accommodate the needs of students.

      • KCI등재후보

        사회적 인프라구축을 통한 청소년 전자게임 중독 예방교육

        이춘호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08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14 No.-

        최근 우리 사회의 많은 관심 대상인 청소년 전자게임 중독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런 게임 중독으로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 시켰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거의 모든 청소년들은 게임을 즐기고 있다. (97.8%.게임백서 2006) 특히 한국 사회에서 게임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부족으로 ‘청소년 게임 중독’에 대하여 학교나 가정에서 ‘억제’ 중심으로 접근하 여 많은 갈등을 초래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청소년 게임중독을 단순한 ‘차단’, ‘억제’ 중심인 ‘수동적’이고 ‘일 방적’인 방법을 탈피하여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을 통하여 우리의 미래인 청소년들에게 게임 중독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부모님과 선생님의 ‘상호작용’인 방법을 제안한다. 더욱이 우리사회의 전자게임 대한 인식이 ‘산업적’인 관점에서 탈피 하여 ‘문화적’인 매개로 접근을 제안한다. 전자게임 중독에 대한 예방 교육은 기존의 우리사회에서 전 자게임에 교육은 단순히 ‘게임인력 양성’중심에서 ‘게임 홍익인간 양성’으로 전자게임 에 대한 문화 교육의 제도화를 제안하여, 청소년 게임 중독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다. This paper aims to youth game addict preventive education should be Social-infra structure construct the Korean game culture education. Therefore, youth game addict preventive tries to seek out the more productive ways in which game culture education can be institutionalized in school. Game education became much more popular and well-known to general public in Korea over the past few years, beyond specific interests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eople who are personally committed to it. The infra-structural changes in game culture education and youth policy certainly contributed to bring about wider interests in game culture education particularly amongst teachers and parent. Based on the recent changes as such, I critically examine how the government's funds allocated to promote game culture have played important roles for the complex scene of game culture education. Considering this, I argue that it is the time to start dialogue between diverse interest groups in this area for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五胡王朝의 胡人 지배방식과 그 성격 - 大單于의 任職과 單于臺의 설치를 중심으로 -

        이춘호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1

        일찍이 漢人王朝와 자웅을 겨뤘던 匈奴族은 東漢 초기에 이르면 南・北匈奴로 분열되어 약소한 부락으로 쇠퇴하였으며 동시에 한인왕조의 '天子'에 버금가는 권위를 가졌던 그들의 首長 單于는 漢帝에 의해 塞外 胡人君長에게 수여되는 칭호로 변질되었다. 주지하듯 이후 五胡시기에 이르러서도 이러한 현상에 큰 변화가 없었는데, 그러나 한 가지 특이한 변화로 五胡王朝 대부분의 개국 군주들이 왕조의 건국을 선언하면서 大單于를 자칭하고 있지만, 이후 왕조의 통치가 안정을 찾아가고 그 기반이 공고화되어가면서 儲君을 포함한 親信의 자제를 대선우에 임명하여 그로 하여금 호인들의 통치를 전담하게 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대선우는 非漢人을 통치하기 위해 임명된 관리였으며 동시에 그 구체적인 정책을 실시하는 통치기구로서 單于臺가 설치되었다. 필자는 오호시기 大單于・單于臺에 대한 이상의 인식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대선우의 임직과 그 유관문제와 관련해서, ① 儲君이 일반적으로 대선우를 역임한다는 혹자의 주장은 꼭 사실과 부합하지 않았으며, ② 儲君이 대선우의 직위를 가지고 이를 자신의 의지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帝位에 보다 쉽게 오를 수 있었고, ③ 劉乂와 石虎를 제외하면, 대선우에 모두 오호왕조 군주의 아들들이 임명되고 있다. 그리고 ④ 漢人王朝 冉魏에서 대선우의 직능은 여타 오호왕조의 그것과 동일하며, ⑤ 前秦 苻健의 언급을 통해 대선우의 '鎭撫百蠻'이란 본래의 직능은 보다 더 분명해질 수 있었다. 게다가 필자는 匈奴漢의 劉粲이 317년에 대선우에 임명된 것으로 보아야 하며, 그리고 後趙시기 石勒의 儲君 石弘은 石宏의 후임으로 대선우에 임명되었는데, 이는 석홍의 권한을 강화하려고 한 석륵의 의도가 느껴지고, 또한 後燕이 건국되고 얼마 후 都城 中山 주위로 적지 않은 호인들이 천사되면서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통치의 필요성 때문에 388년에 이르러 慕容寶가 대선우에 임명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현존하는 사료의 부족으로 대선우의 任職과 선우대의 설치 史實을 모든 오호왕조 내에서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필자는 만약 선우대의 설치기록이 보인다면 그 長官 대선우의 임직은 이루어졌을 것이지만, 그러나 반대로 대선우의 임직만 보인다면 선우대의 설치 가능성도 혹은 다른 통치기구가 그 기능을 대신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오호왕조에서 반 이상의 儲君이 대선우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그가 거주한 '東宮'이 선우대의 기능을 대신하지 않았을까 추측하면서 두 가지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즉 匈奴漢 劉聰시기 대선우이면서 儲君이었던 劉乂의 東宮과 後趙 石虎시기 역시 대선우이면서 儲君이었던 石宣의 동궁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외에 필자는 匈奴漢・前趙・後趙 그리고 後燕을 대상으로 선우대의 설치사실을 분석하였는데, 특히 318년 長安을 수도로 前趙를 건국한 劉曜는 326년에 이르러 비로소 대선우의 임직과 선우대의 설치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石氏 後趙와 가졌던 전쟁에서 패하면서 장안 주위로 천사된 호인들이 동요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이들을 효과적으로 통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측면 외에, 동시에 劉曜의 原世子였던 劉胤이 이때 生還하고 있는데, 그에 대한 정치적인 배려 차원에서 그를 대선우에 ... DaChanYu is a military commander, controlling Hu nationality. Its control of the organization is the ChanYuTai. I will try to explain DaChanYu for holding a post and the questions concerned. I will make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the founding of the ChanYuTai and the area being ruled by it. The aim of this explanation i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institution of Hu Kingdoms. First, there is the appointment of DaChanYu and the questions concerning it. Someone say the crown prince was appointed as DaChanYu in general, but the opinion isn’t necessarily accurate. The crown prince has the post of DaChanYu, according to its ability; to be able to ascend as Emperor easily. In addition, except for LiuYi and ShiHu, DaChanYu is appointed by the Emperor’s son during the period of the Sixteen Kingdoms. As a Han Kingdom, RanWei, its Emperor RanMin appointed RanYin his son to be DaChanYu, the same as Hu kingdoms’s. Through FuJian’s language, we have known DaChanYu must control the Hu nationality, and the Emperor cannot work from it. At the same time, three facts follow: ① After LiuCan killed LiuYi in 317years, he appointed DaChanYu. ② In HouZhao, after ShiLe ascend as Emperor, appointed ShiGuing his son to be DaChanYu. After ShiGuing became the local official, ShiLe appointed ShiHong the crown prince DaChanYu. ③ In HouYan, at 388 years, MuRongChui didn’t appoint DaChanYu. At that time, he appointed MuRongBao his son to be DaChanYu. This matt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ule of Hu nationality and increased to MuRongBao’s power. Secondly,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data, we aren’t able to find out more about the appointment of DaChanYu and the founding of the ChanYuTai in all of Hu Kingdoms. Limited to the lack of historical data, if the ChanYuTai was founded, DaChanYu as a military commander should have been appointed. On the contrary, if we only found that DaChanYu was appointed, the ChanYuTai maybe was founded, or another organization maybe replaced the functions of the ChanYuTai. In such circumstances, ‘Eastern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lives, replaces the functions of the ChanYuTai. To illustrate this problem, I will present two examples. ① In XiongNuHan, during LiuYi as the crown prince, served as DaChanYu. ‘Eastern Palace’ maybe replaced the functions of the ChanYuTai. ② In HouZhao, ShiXuan as the crown prince, served as DaChanYu. He would strengthen ‘Eastern Palace’. However, we know the Emperor of HouZhao, ShiHu should also strengthened ‘Eastern Palace’. So in HouZhao, ShiXuan as DaChanYu,‘Eastern Palace’ maybe replaced the functions of the ChanYuTai. Also, I have analyzed XiongNuHan, QianZhao, HouZhao and HouYan, they have been founded the ChanYuTai. ① In QianZhao, from 318 years to 326 years LiuYao had not founded the ChanYuTai. We know to 326years, QianZhao defeated HouZhao. This matter closely relates how to rule Hu nationality in the GuanZhong area. However, at this time,LiuYin as the original prince of LiuYao, came back to the QianZhao. So,LiuYao had to make LiuYin prince in the face of such a problem. In such circumstances, LiuYao considered what to do. There he founded the ChanYuTai and appointed LiuYin DaChanYu. ② In HouZhao, the organization of ruling Hu nationality is not called the ChanYuTai, be called the ChanYuTing. But, after ShiHu moved the capital to Ye city,the organization was founded. ③ In HouYan, to 400 years MuRong-Sheng founded the YanTai that its name was different from other organizations, but the same as the functions of the ChanYuTai. Third, about the ChanYuTai and its area controlled, DaChanYu was appointed by the Emperor. it was also the official Hu nationality commander. The so-called the ChanYuTai is an organization controlled Hu nationality. Therefore, in general, the ChanYuTai was founded in the capital or the vicinity of the capital. On the ChanYuTai of XiongNuHan, QianZhao, HouZhao, QianQin, HouYan, and BeiYan, I made 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