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춘의 한국회계정보학회 2005 회계정보연구 Vol.23 No.3
This paper has examined the usefulness of economic value added as an alternative performance measure of business enterprise. For verification,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lative information contents of net operating cash flows, accounting income and economic value added in explaining cumulative abnormal returns. To verify the models, we use the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net income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 has the highest explanation power in explaining the abnormal returns in the stock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also reveal that economic value added and operating cash flows have similar information contents. It is considered that accounting income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economic value added for their decision making by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s. But the three measu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lanation of business value.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지표의 측정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제적 부가가치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누적초과수익율을 종속변수로 하고 독립변수로는 당기순이익, 영업활동 현금흐름 및 경제적부가가치로 하여 정보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검증방법은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자본시장내의 투자자로 하여금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결과는 일관되게 기업가치지표를 설명하는 것은 전통적인 성과지표인 당기순손익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경제적부가가치가 상대적인 정보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자본시장이 경제적 부가가치보다 전통적인 회계이익 수치를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 가지 지표는 역시 기업가치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춘의,최동규 朝鮮大學校 經營經濟硏究所 2005 經營經濟硏究 = Management and economics research Vol.28 No.1
회계학상의 이익과 경제학상의 이익을 구분해서 이해하도록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부당한 강요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 공공재인 회계정보는 불확실성하의 경제적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불가결한 정보로서, 많은 재무회계정보의 보고서 중 이익정보는 주요한 정보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손익계산서를 통해 보고되는 이익정보가 개념적인 일관성이 결여되고, 나아가서 경제학적 이윤과는 다른 개념의 이익정보를 제공한다면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과정에 혼란을 야기하거나, 정보비용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며, 기업의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러 문제점들 중에서 자산의 취득원가 결정과 수익에 대응되는 비용 인식에서 개념적인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특히 계속기업으로서 기업이 존속하기 위한 정상이익과 회계이익의 명확한 구분과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익측정의 문제점 중에서 특히 이의개선을 위한 부분적인 접근 방법으로 지분자본원가의 측정을 통해 수익에 대응할 관련 비용의 인식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李春儀 조선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1997 經營經濟硏究 = Management and economics research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model to predict a business failure for small & medium firms by reviewing of previous studies. The predictability of failing firms in advance has long been examined in accounting and finance literature. Extant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failure firm can be assessed a priori by using prediction models (i.e., discriminant analysis, logit, and probit) which utilize various financial variables. However, findings from most of these studies are based on data from large firm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business failures of particularly small & medium firms in the last few years.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ews studies and contemplated failure prediction models that were used by them. Most of previous studies addressed the predictability of business failures using financial ratios(i.e., current ratio, profitability ratio and stability ratio), but smaller firms have been mostly ignored. Further studies need to find the empirical evidence manufacturing costs and financing costs including other financial variables in small & mediem business using Expert System Approach and Neutral Network as well as MDA, LOGIT, PROBIT Multi-Regress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