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BS 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거동평가를 위한 반복재하 실물대(實物大) 실험

        이철호,김진호,전상우 한국강구조학회 200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4 No.4

        paper summarized the results of a full-scale cyclic seismic testing on four reduced beam section (RBS)steel moment connections. Specifically, these tests addressed a bolted web versus a welded web connection and strong versus medium panel zone (PZ) strength as key test variables. with medium PZ strength were designed to promote balanced energy dissipation from both PZ and RBS regions, in order to reduce the requirement for expensive doubler plates. Both strong and medium PZ specimens with welded web connection were able to provide suficient connection rotation capacity required of special moment-resisting frames. On the other hand, specimens with bolted web connection performed poorly due to premature britle fracture of the beam flange at the weld access hole. Unlike the case of web-welded specimens, specimens with cheaper bolted web connection not transfer the actual plastic moment of the original (or unreduced) beam section to the column. No fracture occurred within the beam groove welds of any connection in this testing program. If fracture within the beam flange groove weld is avoided by using quality welding procedure as in this study, the fracture issue tends to move into the beam flange base metal at the weld access hole. Supporting analytical study was also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observed base metal fracture from the engineering mechanics perspective. 본 논문은 4개의 RBS 철골모멘트 접합부에 대한 반복재하 실물대 (實物大) 실험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주요 실험변수는 기둥과보의 접합방식 (볼트접합 대 용접) 및 패널존의 강도 (강한 패널존 대 중간강도 패널존 )이다. 중간 패널존 강도를 갖는 시험체는 패널존과 RBS 영역 모두에서 균형잡힌 방식으로 에너지가 소산되도록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패널존 보강비용을 줄이고자 시도한 경우 이다. 보웨브가 용접으로 접합된 경우의 시험체들은 특별연성모멘트골조에 요구되는 충분한 접합부 회전성능을 보여 주었지만 , 웨브를 볼트로 접합한 시험체들은 스캘럽을 가로지르는 보플랜지의 조기 취성파괴로 인해 열등한 내진성능을 노출하였다 . 보웨브를 볼트로 접합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원래 보단면의 전소성모멘트를 기둥에 전달하기에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적용된 것과 같이 양질의 용접시공에 의해 일단 그루브 용접부 자체의 취성파괴 문제가 해결되고 나면 , 용접접근공내에 위치한 보플랜지 모재의 파단이 다음의 문제로 대두됨을 알 수 있다 . 용접접근공 내의 보 플랜지 파단문제를 역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해석적 연구도 수행되었다 .

      • KCI등재후보

        리브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접합부의 내진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철호,정종현,이재광,오명호,구은숙 한국강구조학회 200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4 No.4

        simple design method for seismic steel moment connections has been recently proposed basedon the equivalent strut model. An experimental program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proposed design method, as wel as develop the schemes that wil prevent cracking at the rib tip where stress concentration was evident. All specimens designed using the proposed method were able to develop a satisfactory connection plastic rotation of 0.04 radian. In addition to rib reinforcement, slight beam flange trimming pushed the plastic hinging and local buckling of the beam away from the rip tip and effectively reduced cracking potential at the rib tip. Using strain gage readings, the strut action of the rib and resulting reverse shear in the beam web were also experimentally identified. 리브로 보강된 철골 모멘트 내진접합부에 대한 실용적이고 간단한 설계법이 등가스트럿 모델을 바탕으로 최근에 제안된 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설계법을 검증하고 응력집중에 의한 리브 단부의 균열방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기술 하였다. 제안된 설계법에 의해 설계된 모든 실물대 시험체는 접합부의 소성회전각이 0.04 (radian)에 이르는 뛰어난 내진성능을 발휘하였다 . 접합부를 리브로 보강함과 동시에 보의 플랜지 일부를 잘라내어 보의 소성힌지와 국부좌굴의 발생위치를 리브의 끝단으로부터 보 안쪽으로 약간 이동시킴으로서, 리브단부의 균열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또한 리브의 스트럿 작용과 이로 인한 보 웨브에서의 전단역전을 스트레인 게이지 계측을 통하여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

      • KCI등재

        Extrusion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Foods

        이철호,Lee, Cherl-Ho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198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 No.1

        식품 압출 성형공법을 이용한 전통 식품의 가공 및 개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조사 평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Extruder를 이용한 미강안정화공법, 즉석 떡 제조법, 곡류를 기질로한 젖산 발효 음료 및 탁주 제조법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 The recent research results and applications of extrusion cooking in Korean traditional food processing are reviewed. It covers the development of rice bran extrusion stabilizer, instant rice cake production and researches in cereal based lactic beverage and alcohol beverage by using extrusion cooking technology.

      • KCI등재

        당유도체 감미료의 식품기능성에 관한 연구

        이철호,이현덕,김선영,Lee, Cherl-Ho,Souane, Moussa,Lee, Hyun-Duck,Kim, Sun-Young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5 No.4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는 당유도체 감미료 Fructo-oligo 당, Maltitol, Sorbitol 및 High maltose syrup의 수분 활성도 저하능력, 유산균 발효능력, 난우충성 및 상대감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분활성도 저하능력은 Sorbitol이 다른 당보다 우수하였으며 Fructo-oligo 당, Maltitol은 설탕과 유사하였다. 여러 가지 유산균에 대한 발효능력은 glucose(Hydrol), Fructo-oligo 당, HMS 모두 우수하였으나 Maltitol은 Lactobacillus plantarum을 제외한 다른 유산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를 이용한 우충성 시험에서 Maltitol은 다른당에 비하여 뚜렷한 난우충성을 나타내었다. 당유도체들의 상대감미도는 당도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 설탕용액의 당도수준에서 mole 농도기준 상대감미도는 Neosugar 0.60, Sorbitol 0.21, Maltitol 0.50, HMS 0.27로 평가되었다.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novel sugar derivative sweeteners, fructo-oligosaccharide, maltitol, sorbitol and high maltose syrup(HMS) were examined for their humactant effect, lactic acid bacterial growth, Streptococcus mutants growth and relative sweetness compared to sucrose. Sorbitol exhibited remarkably high water activity reducing capacity, whereas fructo-oligosaccharide and maltitol showed the same level as sucrose. Maltitol showed distinct anti-bacterial(bacteriocidic) effect against Stc. mutants and most of lactic acid bacteria tested except for L. plantarum. The molar basis relative sweetness of sugar derivatives in comparison with 1%(w/w) level of sucrose were 0.69 for Neosugar(fructo-oligosaccharide), 0.21 for sorbitol, 0.50 for maltitol and 0.27 for HMS.

      • SCOPUSKCI등재

        Studie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Noodles III.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Model Parameters and Sensory Quality of Noodles

        이철호,김철원,Lee, Cherl-Ho,Kim, Cheol-W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5 No.3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삶음 시간과 삶은후 저장시간에 따른 조직감의 변화를 관능검사에 의하여 평가하고 국수의 굳기(hardness), 씹힘성(chewiness) 및 기호도와 creep test에서 얻은 기계적 모델 상수와의 상관관계를 시험 하였다. 국수의 굳기는 삶음 시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삶은후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연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씹힘성은 삶음 시간과 저장시간에 거의 같은 정도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국수의 기호도는 밀국수의 경우 삶음시간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으나 냉면국수는 삶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호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Creep test에서 측정되는 순간탄성이 크면 클수록 국수는 굳기가 감소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밀국수의 조직감 및 기호도는 Creep test의 탄성요소 및 점성요소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냉면국수는 지연시간과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The changes in the mechanical model parameters during cooking and subsequent storage, were related to the sensory quality of the noodles. The sensory hardness and chewiness were tested by Milestone method and the overall preference was evaluated by hedonic scale test. Hardness was affected primarily by increasing cooking time and in lesser degree by storage time after cooking. Chewiness was diminished by increasing cooking time and subsequent storage. The preference of wheat flour noodl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ooking time, while that of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decreased significantly by excess cooking time. Instantaneous elasticity represented the softness of noodle. The elastic components and viscosity compon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ensory quality of wheat noodle. On the other hand the retardation time was important for the sensory quality of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 二面交雜에 의한 참깨 諸形質의 組合能力 分析

        李喆浩 진주산업대학교 1986 論文集 Vol.24 No.-

        本硏究는 참깨의 組合能力을 評價하기 위하여 形質의 特性이 다른 13個 品種을 選定하여 兩親으로 하고 1985年에 二面交雜에 의한 正逆交雜의 方法으로 모든 組合에서 交雜하여 이들 兩親과 F_1雜種을 1986年에 晋州農林專門大學 實習圃場에서 亂塊法 3回反復으로 配置하여 栽培하고 14개形質을 調査하여 Griffing^8)의 分析方法으로 組合能力을 算出한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水原 11號와 12品種間의 交配組合에서 8個組合의 F_1이 收量에 대해 兩親의 가장 높은 收量보다 높았고 株當朔數에서도 3個의 組合에서 높게 나타났다. (表1) 2. 全體形質의 組合能力分析에서 一般組合能力과 特定組合能力은 共히 高度의 有意差를 나타냈으나 草長이나 着朔節數의 特定組合能力의 有異性은 認定되지 않았고 一般組合能力이 特定組合能力 값보다 높았다.(表2). 3. 水原 11號가 收量과 開花日數, 莖直徑 株當朔數에서 높은 一般組合能力效果를 가졌고 草長, 節間長, 着朔部位長, 着朔節數에서는 小林040006호가 成熟日數, 朔長, 千粒重에서는 UCR182-14가 각각 가장 높은 一般組合能力을 나타냈다(表3) 4. 特定組合能力은 兩親과 形質 및 組合에 따라서 달랐으며 收量에 대한 特定組合能力은 水原 11號×水原 65號, UCR182-14×Calinde, Hybrid25 FAM2 ×水原 11號, 水原 11號× Calinde의 交配組合이 가장 높아(표4), 이들 組合이 多收를 目標로 한 雜種强勢育種에서 가장 期待되는 組合으로 看做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mbining ability of sesame(Sesamumindicum L.) Thirteen varieties selected for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intercrossed in all comb inations by a complete diallel set including reciprocal in 1985. parents and F_1 hybrids were grown in a randomized block with three replications at Experiment Farm of Chin ju Agricultural & Forestry Junior College in 1986. Griffing's method was utilized to analyze combining ability effects and evaluate for fourteen agronomic character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rosses between twelve varieties and Suwon11, eight hybrids showed high yield for seed yield per plant compared to the better parent, three showed high yield for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Table 1) 2. Analysis of variance of all characters revealed a large and highly significant component for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but no SCA effect was observed for plant height and number of nodes with capsule. (Table 2) 3. The parent Suwon11 and the highest GCA effects in four characters, ie., days to flowering, stem diameter, number of capsule and yield per plant.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GCA effects for four characters, that is , plant height, internode length, stem length with capsule and number of nodes with capsule, and three characters, that is , days to maturity, capsule length and 1000 seed weight were evaluated at the parents Solim040006 and UCR182-14, respectively.(Table3). 4. SCA effects were varied by parents, characters and crosses, but crosses Suwon11×Suwon 65, UCR182-14×Calinde, Hybrid25 FAM2×Suwon11 and Suwon11×Calinde had the highest SCA effects for yield(Table 4), and these crosses were considered the most promising on yield for hybrid breeding.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