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기주식물 다양성 및 부착특성

        최병기 ( Byoung-ki Choi ),양주은 ( Ju-eun Yang ),박민지 ( Min-ji Park ),이채빈 ( Chae-bin Lee ),서연옥 ( Yeon-ok Seo ),임은영 ( Eun-young Yim ),최형순 ( Hyung-s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겨우살이(Mistletoe)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항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 우리나라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Kom.) Ohwi),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13). 겨우살이는 항암, 항염증, 항HIV 및 면역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engoni et al., 2002; Ovesnaet al., 2004; Safayhi and Sailer, 1997; Weissenstein et al.,2011). 이 중 참나무겨우살이는 난대·아열대성 상록의 부착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 지역이 유일한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KBIS 2021). 동백나무를 포함해 상록성 수종에 부착하여 기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수종에까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Choi et al. 2009, e-Flora 2020, Fukunaga et al. 1989, Lee et al. 2013). 참나무겨우살이는 기주식물의 다양성에 따라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성분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삼나무, 녹나무, 참식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수종 간 성분비교에서 참식나무에 기주한 참나무겨우살이가 가지 및 잎 추출물에서 항염증 및 항암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et al., 2018a; Park et al.,2018b). 그러나 최근 자생지에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종 이외의 다양한 기주식물에서 기생현상이 확인되어 참나무겨우살이의 한국 내 기주식물 다양성 및 기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기주식물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및 난대·아열대산림의 지속적인 관리에 있어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대상지는 제주도 전역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생물자원관,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등의 공공기관 표본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다. 현장조사는 참나무겨우살이의 분포 위치정보와 함께 기주식물의 수종, 수고, 부착부위(3단계), 부착가지구분(3단계)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참나무겨우살이의 기주식물 다양성은 23속 30종 1변종 3품종 등 39분류군(동정보류 5분류군 포함)으로 확인되었다. 참나무겨우살이 분포가 확인된 지역은 서귀포지역 저지대(해발 200m이하)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347그루에서 참나무겨우살이 기생을 확인하였다. 기주식물 중 자생종이 18분류군으로 전체의 52.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종도 9분류군, 재배종 12분류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교목 및 아교목성이 82.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보리수나무, 까마귀쪽나무 5079>등의 관목성인 종에도 기생하였다. 나자식물은 삼나무와 은행나무 2분류군의 5.9%였으며, 상록 활엽수는 참식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등 16분류군의 47.1%, 팽나무, 목련, 감나무 등 하록활엽수도 16분류군의 47.10%를 차지하였다. 부착특성은 수형 중 상부 89개체, 중부 255개체, 하부 20개체였으며, 가지부착은 주 줄기 46개체, 부 가지 225개체, 잔가지 104개체가 확인되었다. 특정 수종의 경우 참나무겨우살이 부착에 있어 배타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차광 처리가 빌레나무(Maesa japonica)의 개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박민지(Min Ji Park),서연옥(Yeon Ok Seo),최형순(Hyung Soon Choi),최병기(Byoung Ki Choi),임은영(Eun Young Im),양주은(Ju Eun Yang),이채빈(Chae bi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5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is a rare evergreen shrub that occurs in west Gotjawal, Jeju island,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n artificial shading on flower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 japonica seedlings. The level of shading had been set to be 35%, 55% and 75% using shading net. The stage of flowering and flowering ratio, seedling h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leaf area were measured. Flowering timings were delayed by shading. The number of flowering seedlings per plot and inflorescences per seedling were the most in 55% shading level. Tendency of decreased seedling height with increased shading level was shown. The number of leaves and stems were the fewest values in 75% shading level. The increased biomass with decreased shading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ground and underground biomass were 2.1 and 1.7 times higher in shading 35% than in shading 75%, respectively. Meanwhile, all seedlings in non-shading plots were dead in winter. Such might be speculated as results of the light stress.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M. japonica vitally demands the shading for growth and the optimal shading levels for growth and flowering are 35% and 55%,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