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노년기 민족귀환이주민의 건강위기: 경기도 A지역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호 ( Changho Lee ),김지희 ( Gee-hee Kim ),정수남 ( Su-nam Joung ),조윤성 ( Yun Sung Jo ),김유미 ( Yu-Mi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는 경기도 A지역을 중심으로 1980년대 중후반부터 한국에 이주하기 시작하여 현재 중노년기에 접어들었거나 2000년대 중반 동포 관련 법 제도 개선 이후 노년기에 국내에 입국한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의 건강상태를 의학적 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이들이 겪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의 생애사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발생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이 이들의 생존과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했다. 94명을 대상으로 한 의학적 조사결과 44.7%가 혈관경직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고령일수록 심한 우울감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21.8%가 불안장애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가구소득이 적을수록 우울감, 불안감, 혈압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중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순으로 9명을 선별하여 심층인터뷰 조사를 한 결과, 이들은 1990년대 이후 젊은 나이에 결혼이민자와 산업연수생 등으로 한국에 민족귀환 이주한 사례로 이주 이후 경제적 빈곤의 지속, 법과 제도의 미비로 인해 건강이 점차 취약해지는 ‘건강한 이주자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독특한 말투나 출신 지역에 대한 차별,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 및 낙인화가 지속되면서 현재까지도 소속감과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한편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재외동포 관련 법 제도가 개선되면서 노년의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으며 ‘병든 이주자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건강 역시 거주국의 편견과 차별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노년기에 들어선 중국조선족 출신 이주민은 향후 종족차별에 더해진 연령차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이 점차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주민의 고령화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health status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in A area who started migrating to Korea in the mid-late 1980s and migrated Korea in the mid-2000s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overseas Koreans-related legal system. Based on this, we tried to analyze how experiential factors that occur in the life course of migrants affect their survival and health by examining the nature of structural oppression and violence inherent in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e medical survey, 44.7% of Korean-Chinese migrants in A area had abnormalities in arterial stiff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ntal health survey, the older the person,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nd 21.8% of them showed the level of anxiety disorder.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depression, anxiety, and blood pressure. In an in-depth interview, the ‘healthy migrant effect’ was found in that Korean-Chinese ethnic returned to Korea as marriage immigrants and industrial trainees at a young age after the 1990s, and their health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the continued low economic status and inadequacies in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psychological pain due to confusion i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is increasing as they continue to be discriminated against according to their unique tone of voice, region of origin, and prejudice and stigma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Meanwhile, since the mid-2000s, as the legal system related to overseas Koreans has been improved, the number of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has been increasing, and the ‘sick migrant effect’ is emerging. However, their health is also likely to deteriorate over time due t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e host country. In conclusion,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Chinese migrants may experience ageism in addition to ethnic discrimination in the future, and this may lead to their health becoming increasingly vulner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 KCI등재

        어린이의 유튜브 및 게임이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중재요인 분석: 미취학아동 및 취학아동(초등저학년) 비교

        이창호(Changho Lee),장석준(Seckjun Ja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중재가 미취학아동 및 취학아동의 유튜브이용 및 게임이용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20년 수행한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의 2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보다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부모의 중재에 잘 순응하는 것이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미취학아동의 경우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제한조치가 유튜브나 게임 이용시간을 감소시킨 반면 취학아동의 경우 전반적 제한 뿐 아니라 부모순응이 미디어이용과 부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취학아동일수록 미디어 이용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제한적 중재가 자녀의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고 있다. 취학아동의 경우 부모의 중재방식을 자녀가 얼마나 잘 따르느냐가 미디어 이용시간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와의 신뢰나 친밀감을 높이는 것이 자녀의 미디어 이용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대체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는 미디어이용과 관련성이 없었다.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parental mediation affected Youtube and gaming use of children among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It analyzed the secondary data of 〈The Survey on Children’s Media Use〉 conducted by Korea Press Foundation in 2020. As a result, parental restrictive mediation had an effect on reducing media using time of children rather than parental active mediation. Especially the extent to which children conformed to parents’ mediation procedures led to the decrease of children’s media using time. Restrictive mediation worked in reducing Youtube and game use of the preschool children while conformity to parents as well as restrictive medi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media use of school children. This result indicates that restrictive mediation can be effective in decreasing media using time in the case of preschool children. As the extent to which school children conform to parental medi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media using time, enhancing the credibility and intima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important to decrease children’s media use. Overall, parental active mediation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media use.

      • 비행시험을 통한 스마트무인기 엔진 성능 분석

        이창호(Changho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틸트로터 비행체인 스마트무인기의 비행시험에서 엔진성능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비행시험은 프롭로터의 틸트각이 90도에서 0도로 변화하고 다시 0도에서 90도로 변환하는 천이비행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비행시험으로부터 수집된 엔진성능 데이터로서 엔진 동력과 비연료 소모율은 엔진성능계산프로그램의 예측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In this study, the engine performance data was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flight test of Smart UAV which is tilt rotor aircraft. The flight test was conducted for the transition flight regime where the tilt angle of prop-rotor varies from 90 degree to 0 degree and vice versa. The engine performance data such as engine power and specific fuel consumption gathered from flight tests were compared well with the results of engine performance analysis program.

      • 전기동력 소형무인항공기의 성능분석

        이창호(Changho Lee),김성욱(Seongwook Kim),김동민(Dongmi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5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와 전기모터 방식의 추진장치를 사용하는 소형무인항공기의 비행성능을 분석한다. 비행시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로부터 공력특성을 예측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행성능을 예측한다. 최대 항속시간을 얻을 수 있는 적정 비행속도를 제시하고, 비행속도에 따른 항속시간 및 항속거리를 예측한다.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an electric powered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has a battery and electric motor is analysed. Aerodynamic data is obtained through flight test and flight performance is predicted. As a result, we present the optimum flight speed for the maximum endurance and predict endurance and ran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flight speed.

      • 스마트무인기 추진장치 지상시험

        이창호(Changho Lee) 한국추진공학회 2009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스마트무인기의 추진동력계통은 터보프롭 항공기와 유사한 피치 가버닝 개념으로 조종사가 엔진동력을 직접 입력하고 제어기는 프롭로터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무인기의 지상시험 결과 중 엔진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기 작동기로 구동되는 엔진 Power Lever 각도의 변위값과 가스발생기 회전속도의 상관관계 및 동력 변화를 엔진성능계산프로그램으로 예측한 결과과 비교한다. The power control system of Smart UAV is similar to the propeller pitch governing concept of turboprop aircraft. The pilot inputs the engine power directly and the pitch governor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proprotor. In this paper, the engine status data from ground test of Smart UAV, such as the relationship of PLA vs. Gas generator speed and power are compared with the result of engine performance calcul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