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신(神)을 닮는 것: 스토아 윤리학 및 자연철학에 전해진 플라톤의 유산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이창우 ( Lee¸ Chang-u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초기 스토아 철학자들의 윤리학 체계 안에 플라톤적 요소가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는 오랫동안 분명하지 않은 문제였다. 하지만 키케로의 『투스쿨룸 토론』 제5권에 의하면 스토아 철학의 논제는 분명히 플라톤적 권위로부터 온 것이다. 『투스쿨룸 토론』 제5권에는 스토아의 근본 관점, 즉 우주의 질서는 인간의 내적, 심리적 질서를 위한 패러다임이며 행복은 우주 관조에서 출발한다는 관점이 드러나 있다. 스토아 철학자들은 이 관점에 신에 대한 모방이라는 이념을 가미함으로써, 그들의 윤리학을 자연철학적ㆍ자연신학적으로 정초한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특히 90a-d에도 우주론적 윤리학의 시각이 들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삶의 목적과 행복에 이르기 위해 신적 우주의 운동을 모방해야 한다. 『티마이오스』에서 데미우르고스 신은 우주적 지성을 위한 상징이다. 그리고 우주적 지성은 이 우주 안에서 내재화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우주는 “가시적인 신”이다. 인간의 모방의 대상은 세계 초월적이지 않다. 윤리적 패러다임은 인간과 가까이 있다. 『티마이오스』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신 모방 관념을 스토아는 수용했고 적절히 변용했다. It has not been clear for a long time whether some Platonic elements are included in the ethical system of the early Stoic philosophers. However, according to Cicero’s Tusculanae Disputationes, Bk.5, the thesis of Stoic philosophy has clearly come from Platonic authority. This text presents the Stoic basic view that the order of the universe plays a role as a paradigm for the inner and psychic order of the human being, and happiness starts from a contemplation of the universe. To this view the early Stoic philosophers added an ideal of imitatio Dei and thereby tried to lay a natural philosophical-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ir ethics. Plato’s Timaeus, especially 90a-d, presents a cosmological ethical viewpoint too. According to this viewpoint, the human being should imitate the motion of the divine universe in order to reach the end of life and happiness. The divine Demiurge of the Timaeus symbolizes the cosmic intelligence(nous). And the cosmic intelligence reveals itself as immanent in this universe. In this sense this universe is “visible God”. The object of imitation by the human being is not world-transcendental. The ethical paradigm stands near the human being. This idea of the imitatio Dei in the Timaeus was accepted and partially transformed by the Sto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네카와 후마니타스

        이창우(Lee, Chang-Uh) 한국서양고전학회 2013 西洋古典學硏究 Vol.50 No.-

        ‘자아의 내면화’는 세네카의 철학적 산문의 한 주제이기는 하지만 우리는 이 말 위에 과장된 내포를 얹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세네카적 자아를 데카르트적 자아, 즉 사적인 자의식과 유사한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해서 세네카적 자아를 플라톤주의적 전통에 따르는, 육체 피구속적인 내면적 공간으로 보아서도 곤란하다. 세네카의 신체-감옥 메타포는 신체와 영혼 사이의 존재론적 이분이 아니라, 참된 가치와 의사(擬似) 가치를 이분하는 평가적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우리를 도덕적 성장과 투쟁의 길 위에서 전진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윤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세네카의 자아 아이디어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자아는 소유적 욕구 행위의 대상이다. 그리고 바로 이 점에 인간 자아의 개별성 및 고유성이 근거한다. 세네카는 우리 각자에게 자신을 소유할 것을 혹은 소유하고자 욕구할 것을 명령한다. 둘째, 자아는 내적 불일치라는 근본 특징을 갖는다. 이 불일치는 이중적이다. 한편에서 현재적 자아와 규범적 자아 사이에, 다른 한편에서 현재적 자아와 현재적 자아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 그런데 바로 이 불일치 경험을 통해 인간은 자신이 특정하고도 개인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성장의 길을 걷는 인간은 자신의 개별적 고유성을 자아 동일성 경험이 아니라 자아 비 동일성 경험을 통해 깨닫는다. 셋째, 인간적 자아는 언제나 특정 장소적 좌표점에서 구현된 어떤 것이다. 인간은 자아의 파편화도 경험하지만 바로 이런 파편화 경험을 통해 자신의 구체적 구현성을 지각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구현성 지각은 인간의 자기완성에 대한 희망을 싹트게 한다. 그렇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자아에 관한 세네카의 생각과 말은 이론적 목적이 아니라 치료적 목적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아에 관한 그의 이야기에서 자아 이론은 없고 자아의 의미는 있다. Even if we may indeed say that the self Seneca talks about is something interiorized, yet we cannot say that it is something similar to the Cartesian self, i.e.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Furthermore, we should not see the Senecan self as the body-shackled internal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Platonic tradition. Seneca’s body-prison metaphor plays not the role of an ontological dichotomization between soul and body, but that of an evaluative one between true and pseudo values and, at the same time, that of an ethical function. There are three features in the idea of the Senecan self. First, the self is the object of the activity of possessive desire. This is the very point on which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the human self is grounded. Seneca strongly recommends each of us to possess ourselves or to desire to do so. In this respect, the Senecan self is performative.Second, the self has inner discord as its fundamental feature. This discord is dual. There exists discord in the human being, on one side, between the occurent and the normative self, and on the other, between an occurent self and another one. It is through his experience of this very discord that a human being realizes himself as a particular and unique being. Those human beings on their way on moral development and struggle come to realize their uniqueness not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 identity but through that of self nonidentity. Third, the human self is always something embedded at a particular specific place-point under some natural or social coordinate system. The human being indeed experiences the fragmentization of his self, but, through this experience, perceives himself as embedded at a concrete point. And this very perception of his mbeddedness brings him some hope of the perfection of his self. However, Seneca’s talk about the self is aiming at a therapeutic objective, not a theoretical one. In his talk about the self, therefore, there is no theory but a meaning of it.

      • KCI등재

        일반적 정의와 특수한 정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正義) 개념 연구-

        이창우 ( Lee Chang-u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4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에 대한 연구 및 소개는 『니코마코스윤리학』 5권 2∼4장의 특수한 정의(산술적 동등성, 기하학적 동등성)에 집중되어 있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1장에서 언명되는 일반적 정의(전체적 정의)에 대해 별 관심이 없거나 그 지위를 평가절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보기에는 일반적 정의는 5권 1장과 2장 초반부에 나타났다가 갑자기 실종되는 개념이다. 나는 이런 독해를 교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주석가들 대부분은 1장과 2장의 관계를 너무 ‘편안한’ 자세로 읽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은 일반적 정의가 가지는 덕으로서의 기능과 의미에 관해 별로 주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의 논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 논의되는 일반적 정의는 2장부터 논의되는 특수한 정의보다 훨씬 더 의미심장하게 EN v 전체를 관통하는 굵은 그리고 일관적인 주제다. 어떤 의미에서, 1장의 아이디어가 마지막 11장까지 다 지배하고 있다. The most of researches on and introductions into Aristotle’s theory of justice are concentrated on the theme of particular justice as it is presented in his Nicomachean Ethics, Bk.5, ch.2-4. Most commentators seem to have no interest on the theme of general justice mentioned in ch.1 or to be inclined to underestimate it. As they take it, that concept appears in ch.1 through the early part of ch.2 and then suddenly disappears. I will correct this reading. Most of them are reading the relation of ch.1 and ch.2 in too a ‘complacent’ posture. Further, they pay little attention to the function and meaning that the general justice, as far as it is a virtue, has. My thesis goes as follows. The general justice discussed in ch.1 reveals itself to be a by far thicker and more significantly consistent key concept than the particular one discussed from ch.2 on. The idea of ch.1 in some sense dominates all parts through up to the last chapter of the 5<sup>th</sup> book.

      • KCI등재
      • KCI등재

        '코스모폴리스'개념

        이창우(Chang Uh Lee) 철학연구회 2000 哲學硏究 Vol.50 No.-

        `세계화` 개념에 대한 도덕적인 기초를 주고자 하는 철학적 시도라면 항상 코스모폴리스(세계시민사회) 이념의 역사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거의 모든 주요 철학적 개념들이 그러하듯이, 코스모폴리스 이념 역시 고대희랍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고대희랍 철학 중에서도 디오게네스를 위시로 한 견유파가 우리가 알고 있는 코스모폴리스 이념의 주요 구성인자를 형성시키는데 기념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렇지만 적지 않은 학자들이 코스모폴리스 이념의 핵심적 구성인자는 견유파가 아니라 스토아 학파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코스모폴리스 이념 형성의 역사에 있어 견유파가 어떤 역할을 했다면, 그것은 소극적이고 최소수준의 역할이지, 결정적이거나 적극적인 역할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이런 인식을 비판 ·교정함으로써 견유파가 철학사에서 가지는 위상을 제대로 잡아준다. 둘째, 이를 통해 스토아가 견유파에 대해 가지는 수용사적 관계를 분명히 해 주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