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저출산 대응 정책 연구동향 분석

        이찬주,김란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3 No.3

        저출산 문제는 그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해결이 어려워 난제로 분류되고 있으며, 문제의 원인 및 효과를 분석하는 시각 또한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저출산 대응 정책 관련 연구들이 행정·정책학적 시각에서 어떤 평가유형으로 다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공백을 메꾸기 위해 본 연구는 평가이론을 바탕으로 2005년부터 2022년 동안 학계에서 다루어진 저출산 대응 정책 관련 연구 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사회과학’으로 분류된 학술지 중 논문 제목 또는 키워드에 ‘저출산’이 포함된 373편의 논문 초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딥러닝 기반의 토픽 모델링인 BERTopic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행정·정책학적 함의를 담는 연구 토픽을 총 16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현재 저출산 대응 정책 담론은 전반적으로 과정평가(정책원인)와 결과평가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원인관련 담론은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을 주로 다루어 왔다. 또한, 전문가 평가 뿐만 아니라 정책 수혜자들의 주관적 평가 관련 담로도 이루어져 왔음이 밝혀졌다. 한편, 저출산 대응 정책과 관련하여 과정평가와 결과평가 모두를 아우르는 포괄적 평가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한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평가이론이라는 틀을 활용하여 저출산 대응 정책을 주제로 한 연구들의 담론 경향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출산 친화적인 사회구조로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인식 변화까지 유인할 수 있는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Despite its urgent significance, the challenge posed by low fertility rates remains intricate and is classified as a conundrum. Diverse viewpoints exist for analyzing the causes and effects of this issu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discussed in academic circles from 2005 to 2022. To achieve this, 373 abstracts from papers featuring the keyword "low birth rate" in their titles or keywords were chosen from academic journals categorized under the "Social Sciences"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These abstracts underwent analysis using BERTopic, a deep learning-based topic modeling method. The analysis identified 16 distinct research topics encompassing administrative and policy implica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current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has mainly focused on causal analysis and outcome evaluation, predominantly considering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Furthermore, this discourse has engaged not only experts but also included subjective assessments from policy beneficiaries. However, the study identified a limitation in comprehensively evaluating both the process and outcomes in relation to low birth rate response polic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studies centered on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this study provides a policy implication that underscore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his approach should address not only the structural issues intrinsic to South Korea's low birth rate problem but also trigger shifts in societal awareness.

      • KCI등재

        태풍 힌남노 홍수로 인한 산지 중소하천의 하도 변화 분석 - 포항 신광천 및 냉천을 사례로 -

        이찬주,안성기,장은경 응용생태공학회 2023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태풍 힌남노에 의해 발생한 홍수로 인해 초래된 포항 신광천 및 냉천 하도의 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항공사진 및 드론 영상을 이용하여 과거로부터 최근까지 하도의 평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 이래로 하폭이 점차 감소였으나홍수 이후 하폭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론 및 현장 조사를 통한 홍수 전후의 단면 변화를 보면 만곡부 내측에 다량의토사가 퇴적되었고 외측에서는 하안 침식이 발생하였다. 오어저수지의 자료와 빈도홍수량을 이용하여 홍수 전 단면을 기초로HEC-RAS를 이용하여 산정한 홍수위는 실제 관찰된 수위에 비해 크게 낮았는데, 이는 홍수로 인한 단면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데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중소하천의 홍수위 산정 시 토사 운반으로 인한 단면 변화를 고려하는것이 중요하며 홍수 직후의 지형학적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ingwangcheon and Naengcheon streams in Pohang caused by flooding due to Typhoon Hinnamnor. Analysis of the changes in river channel area from the past to recent times using aerial photos and drone-taken images showed that the river width had gradually decreased since the 1960s. However, after the flood, the river width increased again. Changes in the river cross-section before and after the flood show that a large amount of coarse sediment was deposited inside the river bend while the outer bank was eroded. The water levels calculated using HEC-RAS for the pre-flood cross-section based on the flood frequency discharges and estimated discharge from Oer Reservoi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bserved water level, which means that the cross-sectional change was not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ross-sectional changes due to sediment transport when estimating the flood level of small and medium-sized mountain streams, an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geomorphic changes after floods.

      • KCI등재

        한국창작춤 용어의 태동과 경향 - 김태원의 비평관을 중심으로 -

        이찬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7 No.3

        본 연구는 후기현대춤적인 요소를 담은 한국창작춤의 용어태동에 기여하고 그 흐름의 경향적 특징을 찾아내고 기록한 김태원의 비평관을 중심으로 한 작업이다. 그는 비평가로 활동하면서 ‘한국창작춤’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러면서 후기현대춤으로서의 한국창작춤의 춤예술적 경향으로 ‘제의적 창작춤’, ‘스펙터클적 창작춤’, ‘자유 창작춤’ 세가지로 나누고 주요 안무가의 특성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한국창작춤’이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독자적 장르화의 춤의 세력화를 이루며 한국 춤예술의 방향을 크게 현대화시켰고 절충적 흐름은 춤작업에서 현대무용수를 참여시키며 서구 현대무용적 미학을 자신들의 춤에 접목시켰다. 그는 이른바 현대무용에의 즉흥적 테크닉을 한국춤에 끌어들이며 다양한 장르의 등장으로 어떤 테두리나 형식을 벗어나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이어 한국창작춤은 한국 전통춤의 언어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운동으로 번졌으며 전통춤(민속춤)을 현대적 춤과 구별 짓지 않으면서 그것을 융합시켜 가는 작업을 시도했다고 하였다. ‘한국창작춤’은 한 장르로서 40년이 되었고 현재 4세대까지 이른 지금, 이 장르는 여전히 진화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term origin of korean creative dance with postmodern dance elements and the work focuses on Kim Tae-won’s critical view of finding and recording the tr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flow. It was the first time that he used the term ‘korean creative dance’ as a critic. In the meantime, dance artistic trend of korean creative dance as a postmodern danc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ritual’ creative dance, ‘spectacular’ creative dance, ‘free’ creative dance and presented main choreographer traits. In particular, despite many concerns about "Korean Creative Dance," he has greatly modernized the direction of korean dance art by influencing the dance of its single genre, the eclectic flow participated modern dancers in dance work and incorporated western modern dance aesthetics into their dance. That is to say, the impromptu techniques of modern dance have drawn into korean dance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genre has begun to deviate from certain boundaries and form. Moreover, the korean creative dance is spreaded as a new movement to change the languag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attempted to fuse traditional dance(folk dance) without distinguishing it from modern dance.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40years as a single genre and now it reached to 4th generation so far, the genre is still evolving.

      • KCI등재

        국내 충적하천에서 측방 이동에 대한 계량적 분석 - 내성천 고평 지점을 사례로 -

        이찬주,고다해,김동구,최훈 한국지형학회 2022 한국지형학회지 Vol.29 No.2

        In this study the lateral migration of an alluvial river, which occurred between 2015 and 2021 at the Gopyeong site of the Naeseong Stream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floods and bank erosion was examined. Bank erosion began in the upstream part of the study reach and then was concentrated on the downstream part beyond the bend apex, showing lateral and downstream migration. Average annual migration rate is 5.6 m/yr. Annual change of the crosssection shows that the lateral migration is accompanied by the retreat of the outer bank, formation of a pointbar at the inner bank together with the incision of the low water channel bed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river. Volumetric sediment relocation brought forth by these processes was evaluated. Bank erosion is controlled mainly with floods, and eroded area is proportional to the duration of inun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 series of drone/aerial images are usefu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lateral migration of alluvial r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