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화엄의 관계미학과 영화‒ 영화 「나그네와 마술사」를 중심으로 ‒

        이진오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Huayan (華嚴) Buddhism studies the theory of relationships. One of its key doctrines is the realm of causality. This world consists of an infinite number of causal relationships. The imagination about causality serves as an aesthetic principle that induces strong feelings and emotions through extreme expansion, contraction and connection. As an aesthetic principle, it is sometimes referred to as ‘relationship aesthetics.’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Travelers and Magicians”(2003, directed by Bhutanese director Khyentse Norbu). This movie contains aspects of relationship aesthet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alm of causality. The reason I chose this film is because it has a narrative structure very suitable for an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causality. The themes and subjects presented in “Travellers and Magicians” are based on Buddhism. The film's theme deals with the issue of human desire. But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film in terms of the realm of causality. Dondup, the main character, changes from hating and rejecting the world he lives in to graduall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world as it is here and now. The message of the movie is that one can come to understand the whole universe through a chance encounter with a single person. It also shows that when we open our mind and approach each other with truth and sincerity, the world becomes a better place. Key 화엄학은 곧 관계의 이론이다. 화엄학의 핵심 이론 중의 하나가 법계연기론이다. 이 세계는 법계의 무진 연기 관계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연기론의관점으로 세계를 볼 때 망막에 포착된 세계의 협소함을 넘어서서 무한한 상상력이 동원된다. 연기적 상상력은 극단적으로 확대, 혹은 축소를 통해 강력한 감각과 정서의 환기를 유발하여 미학적 원리로 작용한다. 이러한 미학 원리를 필자는 ‘관계미학’이라 하였다. 본고에서는 부탄의 감독 키엔츠 노르부(Khyentse Norbu)가 연출한 영화 「나그네와 마술사(Travellers and Magicians)」(2003)를 통해 이 영화가 법계연기론의관점에서 볼 때 어떠한 관계미학의 면모를 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영화를 택한 이유는 법계연기론을 적용시켜 분석하기에 매우 적합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나그네와 마술사」는 소재와 주제 모두 불교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영화의 주제는 표면적으로 인간의 허황된 욕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이 영화의 내용을 표면적 주제에 머물지 않고 화엄학의 법계연기라는 관점에서 풀어내었다. 법계연기는 깨달은 자의 눈으로 보는 세계의 실상이다. 상즉상입하는 사사무애법계라든지, 하나의 티끌 속에 온 우주가 담겨 있다는 것은 깨달은 자만이 볼 수 있는 것이지, 아무나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범부중생으로서는 완벽한 상즉상입의 세계를 체험할 수 없다. 분리와 대립의 세계로부터부분적인 상즉상입의 다양한 층위를 엿볼 수 있을 뿐이다. 이 논문에서는 범부중생의 닫힌 세계가 상호 교섭 속에서 어떻게 열려가고 확대되어 가는지에대한 과정을 추적하였다.

      • KCI등재

        피상적 피로와 실존적 피로 -철학상담 대상 탐색-

        이진오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1

        In order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o establish a unique position,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methodolog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unsel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lead people to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 this alone. People will go to a philosophical counselor when they think their problems are suitable to be dealt with in philosophical counseling rather than in psychiatry or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is thesis, I will argue that 'existential fatigue' rather than 'superficial fatigue' is a suitable subject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o prove this claim, I will do four things: First, Han Byung-Ceol's argument that defines modern society as a 'fatigue society' is critically reviewed. Second, I will define 'existential fatigue' as an exhausted state in which an individual does not feel the meaning or value of existence, which is his or her own existence, and does not discove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it. Third, I will reveal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ontological source of existential fatigue by exploring 'existential fatigue syndrome' in the context of nihilism. Finally, I will briefly mention the reason why existential 'fatigue', not existential 'anxiety', should be the subjec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 resulting strengths. 학상담이 고유한 입지를 다지려면 기존의 상담과 다른 방법론을 제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사람들을 철학상담으로 이끌기 힘들다.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가 정신과나 심리상담에서가 아니라 철학상담에서 다루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할 때 철학상담사를 찾을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피상적 피로’가 아니라 ‘실존적 피로’가 철학상담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현대사회를 ‘피로사회’로 규정하는 한병철의 주장이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존재인 실존에 대한 의미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또한 그것을 실현할 가능성도 발견하지 못한 채 지친 상태가 ‘실존적 피로’로 규정될 것이다. 셋째, 필자는 ‘실존적 피로 증후군’을 허무주의의 맥락에서 탐구함으로써 실존적 피로의 시대적 배경과 존재론적 근원을 밝힐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실존적 ‘불안’이 아니라 실존적 ‘피로’를 철학상담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와 그로 인한 강점에 대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

      • KCI등재

        음양의 상상력과 창조성

        이진오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음양이론은 이론이 체계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것은 과학적으로는 비판의 소지를 안고 있지만, 창조의 원리로서는 대단히 탁월한 역량을 함축하고 있다. 음양적 상상력은 대립과 생성으로서의 세계 존재를 해명하는 원리로서 정착되었다. 주역에서는 여기에 시간 개념을 개입시켜 변화와 역동성으로서의 동세적 상상력을 제시하였다. 음양은 이질성의 상호작용으로, 균형과 조화를 지향한다. 조화는 주기를 형성하고, 주기의 반복은 리듬을 형성한다. 음양적 상상력은 동아시아 문화의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었다.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윤리적 지표가 되어 개인의 내면적 가치 형성에 관여하였다. 유교적 가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용의 가치에도 관여하였으며, 인간에게 하늘과 땅의 원리를 통합하는 주체자로서의 책임을 부여하는 천지인 사상 또한 음양적 상상력의 소산이었다. 하지만, 남존여비로 상징되는 사회적 차등 의식 역시 이 음양적 사고로부터 배태된 것으로, 많은 차별과 고통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후천개벽사상은 음양적 상상력이 역사적 상상력과 결합한 것으로, 역사적 격변기에 중대한 사회적 동인을 제공하였다. 음양이론은 실용분야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어 의학이나 풍수지리의 중심 사상으로 자리잡았다. 가장 극적인 성취는 언어학에서 일어났다. 한국 역사상 가장 창의적이며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의 창제가 바로 음양오행의 원리에 입각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문학이나 음악, 미술, 무용 등 예술분야나, 건축이나 복식같은 실용예술에 이르기까지 음양적 상상력은 깊이, 그리고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음악은 음양이론을 빼고는 아무 것도 성립되지 않을 정도로 전체 체계가 음양이론에 의존해 있다. 다양한 예술에 적용된 음양적 상상력의 미학적 원리는 ‘양강의 미’와 ‘음유의 미’의 상보적 관계로 정리될 수 있다. 서구의 과학이 전해옴에 따라 청나라 말기와 조선 후기의 여러 지성들은 음양이론의 비과학성을 신랄히 지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음양적 상상력은 현대에까지도 면면히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태적 사유의 보고로까지 주목되고 있다. 문학과 음악, 미술, 무용, 건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음양적 상상력은 오히려 새로운 생명력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문학사와 세계문학사를 해명하는 이론으로 정립된 조동일의 생극론은 음양론을 발달시킨 이론으로, 수입이론을 극복하는 자생적 이론 정립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음양적 상상력은 이론의 체계이기만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상력의 체계로서, 무한히 새로운 창조의 원리로서 살려나갈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idea of Yin Yang is one of the main idea of East Asian Culture; however, it is a kind of imagination rather than philosophy. There are three principles in the essence of the imagination of Yin Yang. The first is ontological imagination, which means opposition and creation. The second is active imagination, which means change and activity. The third is harmonious imagination, which means cycle and rhythm. These imaginations were widely applied to every field of East Asian culture. The virtue of moder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value in Confucianism, has come from the imagination of Yin and Yang. Also, the sexual discrimination was caused by Yin and Yang. On the other hand, the imagination of Yin Yang developed the idea of a reformed world. In that world after reformation, all the natural order would change ultimately, and Yin would become the prevailing power. In the practical area, there was much influence too. East Asian medical science and Feng-shui culture were based on Yin Yang theory. The most prominent event was inventing Korean alphabet Hangeul. Hangeul was established along the system of Yin Yang theory. The imagination of Yin Yang have had much infuence on music, fine art, dance, literature, architecture and design. Consequentially there were important aesthetical achievements. In modern society, Yin Yang still have influence. The most representitive case is Saeng Kuk Theory(生克論). We can say that the idea of Yin Yang is unscientific, but the thoughts of Yin Yang are imagination rather than science. The imagination can not be judged logically. It is the principle of creation. The imagination of Yin Yang as a principle of creation still has profound significanc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노년기 규칙적인 운동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진오,허종관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 2001 대한스포츠융합학회지 (jcses) Vol.5 No.2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ffects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stimulation on immune cells and changing trend of immune ability and excercise program. Participants were 10 elderly male (aged between 65 to 71) who were members of a welfare center at Sungbookgu, Seoul. Duration of the excercise program was 12 weeks and the frequency was 3 times per week. The intensity of 12 large muscle group excercise was 70%RM with 8 repetitions for 3 sets. For aerobic exercise, 40-60%VO2max of intensity was administered for 30 minutes using stationary bikes. The intensity of the aerobic exercise was reexamined and adjusted for every two weeks using Fox bike ergometer. Participants' blood was obtained and examined at the first, 7th, and 12th week before and after exercise. NK-cell, T-cell, and B-cell were tested by direct metho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NK-cell was increased more than T-cell and B-cell. Additionally, continuous exercises lead progressive increasement of NK-c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老子와 莊子의 문화이론과 미학사상

        이진오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2 No.-

        이 글은 노자와 장자의 미학사상을 문화이론과의 연계 속에서 그 원리를 구명하고, 나아가 여기에는 인식의 확장이라는 인식론적 원리가 필수적으로 작용함을 밝혔다. 노자와 장자는 문화를 전면적으로 부정한 것이 아니라 과잉 문화를 비판하고 최소한의 문화를 제시하였다. 노자와 장자가 파악한 문화의 특징은 분화이다. 무한 분화를 거친 문화는 복잡성을 초래한다. 복잡성은 감각에 대한 복잡하고 강렬한 자극을 유도하여 인간의 마음을 교란시키고 욕망을 부추겨서 감각과 의지를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본성에 따른 삶을 상실하게 한다. 최소한의 문화는 無爲의 태도로 영위되는 소박한 문화이다. 소박한 문화가 인간의 본성을 제대로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힘은 和氣에서 나온다. 소박한 문화는 인간뿐만이 아니라, 만물이 각자 다 자기의 본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마침내 그 본성끼리 상생의 작용을 하는 거대한 화기를 형성함으로써 이 세계의 다양하면서도 조화로운 생태가 이루어진다. 이 다양성은 외형적으로는 서로 다르지만 본질은 동일하다. 따라서 차이는 인정하나 차별은 부정하는 다양성의 원리를 노자와 장자는 말한다. 최소한의 문화는 소박함과 무위, 은근함, 은미함을 강조하고, 때로는 텅빔을 추구한다. 이러한 삶의 방식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인식의 확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인식의 확장은 과잉 문화에 의해 협소해진 감성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근원적 세계에 대한 인식을 열어주고, 이러한 인식은 진정한 본성의 발현을 가능하게 해 준다. 나아가, 이러한 인식의 확장은 삶에 최고 수준의 쾌감을 제공하여 인생을 심미적으로 구현시킨다. The Aesthetic Thoughts of Chuangtzu and Laotzu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cultural theories. For they believed that the real aesthetic ideals are achieved not through simple aesthetic activities, but from making cultural vices correct. Accordingly the study examines Chuangtzu and Laotzu's cultural theories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aesthetic perception, and also inquires into the ways to connect the cultural theories and aesthetic ideals. What is meaningful in the thought of Laotze and Chuangtzu acknowledging the minimum culture? The minimum culture emphasizes on simplicity, doing nothing, inwardness andoften pursues vacancy. Simplicity, tastelessness and vacancy are not meaningful itself. The senses open with these attitudes and ways of life, and the invisible world in ordinary situation can be seen as the senses open. The infinite vitality grows to give full play to the innate nature. The world discovered fresh by open senses is wide and interesting. It is the world without distinction and discrimination. Melting to become one or being separately in harmony that the state of great one accomplishes. It is not contractual form, but one as oneness.

      • KCI등재

        休靜과 惟政의 지성사적 위상

        이진오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5 No.-

        이 글은 조선 중기 임란기 전후의 불교계를 이끈 두 승려인 서산대사 휴정과 사명대사 유정을 우리나라 지성사의 맥락에서 그 위상과 의의를 살피고자 한 논문이다. 이들 두 승려의 성과는 불교계 내적 의미로만 남지 않는다. 역대 어느 승려보다도 현실사회의 모순을 바로잡는 데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고, 기여하였다. 휴정은 禪의 心法이라고 하는 초월적 세계의 진리에 바탕해 있으면서도 신비주의나 염세주의로 흐르지 않았다. 우리나라 사상사에서 소외되었던 도가사상이나 우리의 민간신앙과 깊은 관련을 가진 풍수지리사상 등에도 상당한 조예를 가졌으나,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는 신비적인 예언같은 것에 의존하는 것을 비판하고, 경륜과 식견에 의한 통찰과 분석을 중시하는 지성적 면모를 보였다. 성리학에 기반한 중화주의적 세계관을 거부하고 평등한 세계를 지향하는 선구적 세계관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해양세력의 무자비한 침략행위에 대해 민생의 안정과 생명의 보호를 위해 몸소 나서 활약하였다. 휴정의 이러한 사상과 실천은 유정에게도 그대로 이어져서 더욱 강력한 실천력으로 발휘되었다. 유정은 전투나 외교 방면의 공만 쌓은 것이 아니라, 당대의 근본적인 문제를 통찰하고 그 해결책까지 제시하는 지도적 지성의 소유자였던 면모가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정과 유정이 보여준 사상과 행적은 혼미 속의 조선전기 불교계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난의 위기를 당하여 무기력하고 가식적이며, 사대의식에 젖어 외세에 의존하던 사대부 지식인들의 한계를 보완해서 사회적 안정과 문화적 자존을 지켜낸 불교지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position and the significance of Hyujeong and Yujeong who leaded Chosun(朝鮮) dynasty's Buddhist circles. Yujeong was a disciple of Hyujeong,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7 years war with an identity of monk. They sometimes fighted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in the combat, sometimes sent for negotiation. So, most people think them only as the allegiant monks to their contury. But it is not the only shape of them. In fact, they were the real intellectual leader in their period of Chosun society. Hyujeong resisted the world view of China centerism, and suggest equal world view instead. During 7 years war, Hyujeong and Yujeong showed what the intellectual should do when the society suffers severe difficulties. And they suggested what must be done for the social innovation. What they showed was not only practice of their conviction but also the wisdom to solve social difficult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