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SPI를 활용한 GPM IMERG 자료의 적용성 평가

        장상민,이진영,윤선권,이태화,박경원,Jang, Sangmin,Rhee, Jinyoung,Yoon, Sunkwon,Lee, Taehwa,Park, Kyungwon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3

        In this study, the GPM (Global Precipitation Mission) IMERG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 rainfall data was verified and evaluated using ground AWS (Automated Weather Station) and rada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GPM IMERG rainfall data. The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GPM IMERG data and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ground observation data for the Hoengseong Dam and Yongdam Dam areas. For the radar data, 1.5 km CAPPI rainfall data with a resolution of 10 km and 30 minutes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Z-R relationship ($Z=200R^{1.6}$) and used for accuracy verifica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SPI, PERSIANN_CDR and TRMM 3B42 were used for the period prior to the GPM IMERG data availability range. As a result of latency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early run mode in the late run mode. The GPM IMERG rainfall data has a high accuracy for 20 mm/h or more rainfal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ground rainfall data. The analysis of the time scale of the SPI based on GPM IMERG and changes in normal annual precipitation adequately showed the effect of short term rainfall cases on local drought relief.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were 0.83, 0.914, 0.689 and 0.835, respectively, between the SPI based GPM IMERG and the ground observation data.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predictive factor through the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We confirmed the hydrological utilization and the possibility of real time drought monitoring using SPI based on GPM IMERG rainfall, even though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some rainfall cases.

      • KCI등재

        도심지 토사재해 고위험지역 극치강우 시간분포 시나리오 분석

        윤선권,장상민,이진영,Yoon, Sunkwon,Jang, Sangmin,Rhee, Jinyoung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8 No.3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treme rainfall distribution scenarios based on probable rainfall calculation and applying various time distribution models over the landslide high risk zones in urban areas. We used observed rainfall data form total 71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tation and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in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we analyzed the linear trends for 1-hr and 24-hr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using sim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hich are identified their increasing trends with slopes of 0.035 and 0.660 during 1961-2014, respectively. The Gumbel distribution was applied to obtain the return period and probability precipitation for each duration. The IDF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for landslide high risk zones were derived by applying integrated probability precipitation intensity equation. Results from IDF analysis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precipitation varies from 31.4~38.3 % for 1 hr duration, and 33.0~47.9 % for 24 hr duration. It also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each area. The $Huff-4^{th}$ Quartile method as well as Mononobe distribution were selected as the rainfall distribution scenarios of landslide high risk z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boundary conditions for slope collapse analysis, to analyze sediment disaster risk, and to use as input data for risk prediction of debris flow.

      • 멀티센서 위성기반 기상학적 가뭄지수 산정

        박경원 ( Kyungwon Park ),이진영 ( Jinyoung Rhee ),윤선권 ( Sunwkon Yoon ),장상민 ( Sangmin Jang ),이성규 ( Seongkyu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홍수, 가뭄, 산불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한반도에서 2014년, 2015년 강원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여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가뭄을 정량화 지수로 나타내는 연구 가뭄지수 산정에 지상관측 자료를 이용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인공위성의 위성강우를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위성강우를 이용하는 경우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할수 있고 미계측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원격탐사기반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미국 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는 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위성을 핵심위성으로 한 다중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전지구적으로 30분 간격, 10 km 해상도의 GPM IMERG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를 2014년부터 생산 및 제공하고 있으며, TMPA-3B42 (TRMM and Multi-satellite Precipitation Analysis)와 CMORH(NOAA CPC Morphing Technique) 자료는 TRMM(Tropcal Rainfall Measurement Mission)기반 위성강우 자료로 1998년부터 25km, 3시간 간격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강우를 이용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문학적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국내외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GPM IMERG 자료의 정확도 평가 연구만 부분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 활용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M IMERG, TRMM 3B42, CMORPH 강우 자료를 지상자동관측과 비교 검증하여 정확도를 분석하고 자료상세화를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를 대상으로 가뭄의 평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강수량만을 입력자료로 활용하는 원격탐사기반 기상학적 가뭄지수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산출하여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