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여성의 위험 성행동에 관한 연구

        이지하(Lee, Jie-ha)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내, 청소년기 및 청년기 여성의 위험성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생태학적 이론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함과 동시에 성행동 위험성의 격차를 논의하기 위한 구체적인 변인들을 조사함으로써 본 연구는 소수 인종 여성들의 성행동의 위험성에 관한 두 가지의 기본적인 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성행동의 위험분포는 각각 인종별로 상이하며 흑인과 아시아계 여성이 타 인종들에 비해 높은 위험에 처해 있었다. 둘째, 성행동의 위험의 변인들 역시 각각 인종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상이한 변인들 중에서 폭음의 역할이 다양한 인종 그룹들을 망라하여 강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기 및 청년기 여성의 성행동의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개인, 가족, 지역사회로 규명해 주고 있으므로, 여성의 성행동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노력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risky sexual behaviors among racial/ethnic minority females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stimates, among females who differ by racial/ethnic group, the proportions of three outcomes (self-reported STD diagnosis, early sexual debut, and multiple sex partners). Using a framework based on ecological theory, it examines the longitudin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three outcomes among females who differ by racial/ethnic group. Data were derived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Waves 1 (1995),and 3 (2001); the sample was 6,894 femal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risky sexual behaviors, differed by race/ethnicity indicating that African American and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API) females are at high risk. Overall, the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predictors of STDs, early sexual debut, and multiple sex partners, varied by race/ethnicity.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among different predictors of STD risks, the role of binge drinking is highlighted across different racial/ethnic groups.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 다집단분석을 통한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성차별 경험에 관한 종단연구

        윤영득 ( Yoon Young-deuk ),이지하 ( Lee Jie-ha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성차별 경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구조적·누적적 차별 해소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성차별 경험 변화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적용사업장 여부에 따라 고용상 성차별 경험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5∼7차 (2014∼2018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에 포함된 여성근로자는 1,694명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성차별 경험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적용사업장과 미적용사업장 간에 고용상 성차별 경험 변화율에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같은 기간 고용상 성차별 경험은 사업장 전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적용사업장·미적용사업장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초기값 수준에 따라 변화정도에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여성근로자의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실효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female workers’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to confirm whether Affirmative Action actually affect changes in female workers’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r not. To this end, the 5th to 7th data (2014-2018) of Korean Women Manager Panel were used, and 1,694 female work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ccording to the main research results, female workers’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decreased overall from 2014 to 2018, and the rate of change in experience in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did not differ between workplaces that did not apply Affirmative Action.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during the same period tended to decrease across the entire workplace, in which active employment improvement measures were applied, and in non-applied workplac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ange depending on the initial valu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Affirmative Action to resolve gender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of female worker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KCI우수등재

        성소수자의 커뮤니티 참여 의미에 대한 연구

        손소연(Son, So Yeon),이지하(Lee, Jie H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2

        본 연구는 성소수자들을 대상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 참여경험을 통한 의미본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유와 커뮤니티 활동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본질적 의 미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소수자 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 들의 참여는 13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도출된 주제, 3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으며, 그 주제는 ‘채 워지지 않는 목마름’, ‘오아시스라는 또 다른 세계’, ‘나는 진정한 이반!’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 본질의 의미는 ‘영혼의 디아스포라’ 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볼 수 있다. 첫째, 성소수자 커뮤 니티간의 상호 교류를 활성화함으로써 상호보완을 통해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커뮤니티 활동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그 욕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성소수자 중에 서도 다양성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현장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소외된 집단으로 머물러 있지 않도록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바탕으로 한 관심과 지원 및 교류가 필요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essence of meaning through sexual minorities’ participant experiences in a sexual minority community. This research intends to explor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revealed in sexual minorities’ reasons for joining a sexual minority community and in their experience in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sexual minor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was described using Giorgi’s analysis methodology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the sexual minorities’ participation was consisted of 13 meaning units, 6 derived topics, and 3 essential topics, which were ‘An unquenchable thirst’, ‘Another world called oasis’, and ‘Real estrangement’ Moreover, based on the essential topics, the study participants’ common meaning of essence was analyzed as ‘spiritual diaspora’. Sexual minority communities shall contribute to developments of own organizations through mutual compensations by vitalizing exchanges with other communities based on this study. Also, the communities should the variety in sexual minorities to allow various people’s participation. People’s awareness on sexual minorities must be transformed so that closed communities can change. Comprehensive knowledge on sexual minorities should be distribut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s so that sexual minorities may search solutions on issues through various access not limited to certain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