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손실 함수와 후처리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음성 향상 모델의 성능 개선 연구

        이지운(Jiwoon Lee),정세인(Sein Cheong),신종원(Jong Won Shi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기존에 제안된 딥러닝 기반 실시간 음성 향상 모델[1]을 보완하여 음성 품질 개선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모델[1]에 더 적합한 손실 함수를 적용하고, 추가로 후처리 과정[3]을 적용하여 두 단계에 걸쳐 잡음을 제거하는 음성 향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객관적인 음질 평가를 위한 지표로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를 사용하여 기존 모델과 대비해 제안된 시스템의 음성 향상 성능이 올랐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신입직원 이직의 전염효과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의 조절효과

        오상석(Sangsuk Oh),이지운(Jiwoon Lee),박오원(Owwon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3

        신입직원 이직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신입직원 이직의 선행요인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신입직원 이직은 조직 내 기존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입직원 이직이 조직수준 이직을 촉진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부정적인 효과가 조직성과의 하락으로 이어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직전염이론을 기반으로 신입직원 이직이 전체 조직수준의 이직으로 전염되고 이를 통해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옴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신입직원 이직과 조직수준 이직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적자본기업패널의 331개 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신입직원 이직은 조직 수준 이직으로 전염이 되며 더 나아가 기업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HR기능의 전략적 지향성 수준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 보다 신입직원 이직이 조직 수준 이직으로 전염이 되는 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ewcomer turnover focus on the antecedents of new employee turnover. However, newcomer turnover can send a negative signal to other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and ultimately de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studying whether newcomer turnover promotes turnover behavior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whether such negative effects lead to a declin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mportant. Based on turnover contag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at newcomer turnover is spread to the overall organization-level turnover and negatively affects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HR function to allev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 turnover and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331 companies in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newcomer turnover leads to the overall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and further negatively affects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HR function is high rather than low,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 turnover and overall organizational-level turnover is mitigated.

      • 짜게먹는 국민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비접촉·비침지식 음식 짠맛센서

        양길모 ( Gilmo Yang ),이지운 ( Jiwoon Lee ),이찬양 ( Chanyang Lee ),최민정 ( Minju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한국인의 짜게 먹는 식습관은 세계보건기구(WHO) 권장량의 2.5배에 이른다.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고혈압, 비만, 당뇨병, 만성 신장병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의 어르신의 경우 미각기능 저하로 짜게먹는 식습관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의사는 환자에게 음식을 싱겁게 드시라고 식습관 개선을 권장한다. 그러나 환자의 입장에서는 기능이 저하된 미각만으로 저염식이요법을 유지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식품에 함유되있는 나트륨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이 필요하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음식 짠맛센서는 정전용량식으로 국물에 센서를 침지하여 전하량의 변화로 나트륨의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침지식 음식 짠맛센서는 뜨거운 국물에 센서를 침지해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매번 측정 후 세척을 해 줘야 하는 불편함과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다. 게다가 국물 음식에만 국한해서 사용해야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시제품으로 개발한 비접촉·비침지식 음식 짠맛센서는 라만분광분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레이저광으로 음식에 접촉하지 않고 나트륨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트륨에 특이적인 파장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 한국화학연구원의 Bruker MultiRAM Raman Spectrometer을 이용하였다. 레이저 여기파장은 1,064nm을 사용하였으며 나트륨에 특이적인 라만분광현상은 3,200 Waveneumber cm-1 부근에서 피크값을 보였다. 기초연구를 토대로 휴대용 라만분광 음식 짠맛센서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시제품의 크기는 19.2(L)×5.6cm(W)×8.7(H1)×5.5(H2)이며 향후 크기를 더 소형화할 예정이다. 증류수에 농도별로 희석한 나트륨 샘플을 대상으로 측정한 성능실험에서는 5cm 이내의 떨어진 거리에서 나트륨 함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때 측정 범위는 0.1~5%이었으며 적용온도는 10~80℃로 조사되었다. 향후 식품에 포함되어있는 나트륨 이온 외에 Ca, Mg, K 이온 등 다른 이온성분과의 간섭 반응성을 탐구예정이다. 아울러 라면, 찌개류 등 액상식품 외에도 베이커리, 생선 등 고상식품의 나트륨 함량도 탐구할 수 있는 지 센서의 성능을 고찰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