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ne identification using rice genome sequences

        이주현,고희종 한국유전학회 2013 Genes & Genomics Vol.35 No.4

        Identifying useful gen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of plant geneticists. Various strategies can be used, which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reproduction and available technology. Rice is the first model crop whose whole genome sequence has been report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whole genome sequences of two important rice subspecies (japonica and indica rice) is also available. Rice is a self-pollinating crop and methods of artificial crossing are relatively easy to perform; such methods enable the production of numerous seeds for genetic analyses. Based on these features, a mapbased cloning (i.e., positional cloning) strategy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over the last decade to identify rice genes. Recently, advanced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was used to ascertain the genome sequences of individual plants, opening up a new strategy for gene identification. This strategy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identify the genes responsible for certain qualitative traits in rice. However, to identify the gene(s) involved in a quantitative trait, a map-based cloning strategy is still required after quantitative trait loci analysis using NGS technology. In this review, we discuss both map-based cloning (which is still the primary strategy used to identify rice genes) and NGS-based strategies.

      • KCI등재

        정관철(鄭寬徹, 1916-1983)의 1950년대 인물화 연구: 소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주현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The arts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performed in 1950s most vigorously. 112 Jeong Gwanchoel, the Chair of The North Korean Artists Association led the north korean art world for 35 years. Jeong Gwanchoel came into contact with Soviet Socialist Realism through the books and articles translated in Korean, and the magazines imported from Soviet Union. Especially the colour illustrations in the art Magazine Огонёк and искýсство inspired north korean painters to create the korean style socialist realism. The poster of Joeng Gwancheol from the period of Korean War, <Withdraw the U.S. Imperialists from Korea!> recalls the soviet poster <Stop the Criminals!> of Viktor Ivanov, 1946 in the compositional devices. 1953 and 1954 the Culture Ministry of Soviet Union sent Byeon Wolryong(Пен Варлен), the Korean professor of the Leningrad Art School, to North Korea to establish the system of art education. Jeong Gwancheol could learn the painting style of Socialist Realism of the Stalin Regime from him.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Jeong at that time was <The Torch of Bocheonbo>, which began to paint 1948, and repainted more than 3 times in 1950, 1955 and 1960. The iconography of Kim Ilsung in this work resembles that of Lenin in <Lenin at Finland Station> by Irakliy Toidze. The death of Stalin in 1953 braught drastic changes to the soviet art world. The discussions with various kind of issues in The First All-Union Congress of Soviet Artists held in Moscow, 1957 showed the rediscovery of self determination of artists under the Khrushchyov’s regime. Howeve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riticised Khrushchyov’s political line as a ‘revisionism’, and urged the artist for mental rearmament with Leninism. Jeong Gwancheol insisted, that the themes of the art works had to be derived from the ‘real life of laborer’, and painted <The Steelworkers> in 1958 to show his artistic assertion. The oil paintings of Jeong Gwancheol in 1950s represented the North Korean art world, which subtly responded to the political upanddownness with Soviet Union. 1950년대는 북한과 소련의 미술교류가 가장 활발하였던 시기였다. 정관철은 35년간 미술가동맹의 위원장을 역임하였던 화가로 북한화단의 변화를 대변해 준다. 정관철은 다른 북한화가들과 마찬가지로 소련미술전람회, 소련미술을 소개하는 문헌, 소련화가의 방문 등을 통해 소련식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학습하고 이를 북한 미술에 맞게 변용하였다. 특히 원화를 보기 어려웠던 당시 『오고뇨크』 나 『이스크스트보』 등잡지의 삽도는 소련식 사실주의를 배울 수 있는 좋은 자료였다. 정관철이 한국전쟁 시기 제작한 포스터<미제는 조선에서 물러나라>는 빅토르 이바노프의 1946년작 <범죄를 멈추라!>의 화면 구성을 따르고 있으며, 정관철의 1952년작 유화 <월가의 고용병>은 크리보노고프의 <항복>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소련정부가 파견한 화가 변월룡과의 만남은 소련식 기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정관철의대표작 <보천보의 횃불>은 1948년 제작되기 시작하여 1950년, 1955년, 1960년 재제작되었는데, 도상의원천은 레닌의 핀란드 역 앞 연설을 묘사한 이라클리 토이쩨의 <연설하는 레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957년 《1차 전련맹 소비에트대회》는 스탈린 사후 소련화단의 변모를 국제적으로 보여주었다. 북한은 후르쇼프의 노선을 수정주의로 규정하고 맑스-레닌주의로의 재무장을 강조하였다. 정관철은 노동자들의 삶 속에 들어가 작품의 제재를 구할 것을 주장하며 <강철을 만드는 사람들> 등의 작품을 창작하였다. 1950년대 정관철의 작품은 소련과의 정치적 부침에 따라 그 향방을 민감하게 조정하였던 북한 미술계의 동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영구자석에 대한 Big Concept 기반 학습에서 아동들의 개념생태

        이주현,홍석인 한국물리학회 2012 New Physics: Sae Mulli Vol.62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lementary-school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about permanent magnets through big-concept-based learning (BCBL), which utilizes the big concept (BC) as the basis of thinking. We chose `the law of magnetic poles'as a BC about permanent magnets and then developed a BCBL that consisted of six sets of guided learning materials for four class hours and four sets of self-directed investigation materials for another four class hours.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of the products from the BCBL lessons that had been given to 36fourth-grade students in Siheung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CBL improved the status of `the law of magnetic pole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compared with the pretest score (39) before the BCBL (given a full score of 100), the mean scores for basic problems concerning the law of magnetic poles continuously increased (57 → 91→ 95) as the BCBL went on. Second,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magnetic-compass-related problem show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language' component of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interpreted the meaning of `why' in the problems as a `physical principle (why)' (as a `non-physical reason (for)') increased (decreased) from 42 % (56 %) before the BCBL class to 64 % (31%) after the class. Third, students' responses to the magnetization-related problem showing an anomaly in the BC indicated that for some students, `the law of magnetic poles' was located in the niche of conceptual ecology. In that case, students actively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creative hypotheses, and they discovered new concepts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gnetiz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cept `Iron sticks to a magnet' in the niche hinders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ts conceptual status must be lowered with the aid of BC. The lack of the basic concept, `the two magnetic poles always exist in pairs',can lead to misconceptions, which implies it should be added as a new BC. In conclusion, BCBL turned out to be useful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capabilities, and developing BCBL for other topics will be valuable as a future study. 본 논문의 목적은 Big Concept(BC)를 사고의 근거로 사용하는 Big Concept 기반 학습(Big Concept Based Learning, BCBL)을 통하여영구자석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생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는`자극의 법칙'을 영구자석에 대한 BC로 선정한 후, 4차시 분량의 안내된학습지 6편과 4차시 분량의 자기 주도적 탐구지 4편으로 구성된 BCBL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 시흥 S 초등학교 4학년 36명을 대상으로적용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CBL은 자극의 법칙의개념지위를 향상시켰다. 이는 자극의 법칙 관련 기본 문제의 평균점수가사전 설문조사(39점)에 비하여 BCBL이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상승(57점 → 91점 → 95점)한 사실로부터 알 수있다. 둘째, 나침반 관련 탐구 문제 분석 결과, 학생들의 개념생태`언어' 성분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BCBL 전에는 문제에 포함된`왜'라는 말의 의미를 `물리적 원리(why)'로 해석하는 경우가 42%이었으나 학습 후에는 64 %로 증가하였고, `비 물리적 이유(for)'로해석하는 경우는 56 %에서 31 %로 감소하였다. 셋째, BC의 변칙 사례인자화 관련 탐구 문제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보면, 자극의 법칙이개념생태의 적소에 있는 경우, 창의적 가설을 세워 적극적으로문제해결을 시도하고 자화를 바르게 이해하여 새로운 개념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쇠는 자석에 붙는다.'는 개념이 적소에 있는 경우에는 이 개념이과학적 탐구 활동을 방해하므로 BC를 통하여 개념지위를 하향 조정할필요가 있다. `두 극은 항상 쌍으로 존재한다.'는 쌍극자의 법칙이개념생태에 결여된 경우에 형성된 오개념들은 이 법칙이 새로운 BC로추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BCBL은 학생들의 탐구 능력향상에 유용함이 판명되었고, 추후연구 과제로서 다른 주제들에 대한BCBL의 개발은 가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 대상 음악치료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이주현,유금란 한국교육치료학회 2015 교육치료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 음악치료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따돌림과 괴롭힘 예방, 나와 친구의 장점 찾기, 학교폭력법을 내용으로 하는 구조화 프로그램과 감정표현, 학교폭력의 세 가지 입장 되어보기, 상호이해, 감정조절, 상호존 중 내용으로 하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실 시한 후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향상되었고, 학교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래관계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학교폭력 허용도와 가능성은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using music therap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ncluded bullying and harassment prevention, finding the benefits and virtues in friendship, and education of the law for protection and measure of school violence. And the second part incorporated a Music Therapy, encouraging emotional expressions and regulations, understanding different positions of school violence from the three perspectives,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of this program,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nd the recognition of a positive school environment have been improved. However, participants presented a more negative perception of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no change in permissive attitude and behavioral possibility toward violence was found in this study.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변량 혼합반응 자료를 위한 다변량 의사결정나무에 관한 연구

        이주현,이성건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CART, CHAID, QUEST와 같이 데이터마이닝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부분의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들은 반응변수가 일변량인 경우에만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응변수가 다변량일 경우에는 기존의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다변량 반응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한 다변량 의사결정나무, 일반화 엔트로피지수를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은 한 가지 형태의 다변량 반응변수(연속형 변수들, 또는 범주형 변수들)에만 적용 가능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방법론의 계량을 통해 범주형과 연속형 변수가 혼합된 다변량 반응변수인 경우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한 방법이 다소 우수함을 보였다. In the field of data mining, decision trees can be used to classify and predict the responses of data. There are many tree methods for uni-variate responses, such as CHAID, CART and QUSET. Recently, researches based on these methods like Mahalanobis distance and Generalized Entropy Index for multivariate responses have also been studied. However, these algorithms are limited to be applied to mixed multivariate responses. In this paper, we modify previous multivariate decision trees and suggest new splitting criterions using Mahalanobis distance and Gower's Similarity coefficient for any type of mixed responses.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trees, simulation studies on two new splitting criterions using Mahalanobis distance and Gower's Similarity coefficient are performed.

      • KCI등재

        중학교 자율동아리 참여 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이주현,김효정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related to voluntary club activities and self-leader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ublic education to achieve learning flow. It is also to identify the self-leadership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centered on art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mpirical research was design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fter examin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voluntary club activities centered on art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s of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108 students from 8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10 voluntary club activities centered on art activ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elf-leadership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a subjectiv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 in charge. Also, a questionnaire with proven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selected an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self-leadership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learning flow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tent of the influence in that sub-variables of self-leadership affected the sub-variables of learning flow. In addition, through a subjectiv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club activities showed self-leadership in their art activities. I hop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learning flow more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self-leadership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에서 중학생들이 학습몰입을 이루기 위해 자율동아리와 셀프리더십과 관련한 제안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미술활동 중심의 자율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생의 셀프리더십을 파악하고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미술활동 중심의 자율동아리의 교육적 효과와 셀프리더십, 학습몰입의 의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설문과 인터뷰를 통한 실증연구를 설계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8개 학교, 10 곳의 미술활동 중심의 자율동아리 참여 중학생 10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아리활동에서 셀프리더십의 발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주관식 설문을 배부하고 담당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은 설문지를 선정하여 정량적 조사를 하였다. 양적 결과에 대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율동아리 참여 학생의 셀프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이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식 문항과 인터뷰를 통하여 자율동아리에 참여 학생들이 미술활동에서 셀프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앞으로 셀프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몰입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블록 개발 및 특성분석

        이주현,곽민석,양현경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1

        Currently, the cost of recycling waste coffee powder is increasing as the domestic coffee market grows. Therefore, a more efficient way to recycle waste coffee powder is needed. In this study, waste coffee powder was used in a new form through the production of foam blocks made of such waste coffee pow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oam blocks depended on the raw materials. Therefore, foam blocks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construction fields can be produced by using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es. The compression strength of CFB-362 (coffee-foam block with KSL-362 added) foam blocks was 2.31 MPa, and the far-infrared emissivity and emission power of the CFB-362 form blocks were confirmed to be 0.917 and 369.610 W/(m$^2$$\cdot$$\mu$m), respectively. The deodorization rates of the CFB-362 form blocks for NH$_3$ and H$_2$S were 83.7% and 99.8%, respectively. The foam blocks were shown to satisfy the emission standard for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foam blocks had more various functionalities than conventional bricks did and that they could be applied as building materials in various fields. 현재 국내 커피 시장의 경우 날로 증가함에 따라, 커피 찌꺼기 처리 비용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발포블록 제작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재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발포블록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원료에 따라 압축강도의 특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양한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압축강도는 CFB-362 (coffee-foaming block added KSL-362)가 2.31 MPa로 측정되었다.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측정결과 흑체대비 각각 0.917, 369.610 W/ (m$^2$$\cdot$$\mu$m)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작된 CFB-362의 탈취율 측정결과,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탈취율은 각 83.7%, 99.8%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포블록의 환경유해물질 배출 결과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 제 2010-24호)의 기준치 이하의 배출양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제작된 발포블록은 기존의 벽돌과 다른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고, 다방면의 건축자재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