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한,한일 소설 번역의 행위요구 모달리티 분석-의뢰, 권유, 허가, 희망 표현을 중심으로-

        이주리애 ( Ju Ri Ae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1

        行爲要求モダリティとは話し手が行爲の實行を聞き手に求める表現のモダリティである。認識モダリティの場合は日本語のほうが韓國語に比べて婉曲な表現を使う傾向があることが議論されている。本論文では行爲要求モダリティにおける日本語と韓國語の使用の違いを分析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行爲要求モダリティのうち、聞き手に判斷の余地を與えない命令と禁止の表現を除いた依賴·勸め·許可·希望の表現は聞き手の受け止める印象に差がある。本硏究では非飜驛小說と飜驛小說に表れる行爲要求モダリティの出現の頻度を調べた結果、日本語の非飜驛小說のほうが韓日飜驛小說に比べ間接的な表現が使われる割合が高く、日韓飜驛小說でも日本語の間接的行爲要求表現が韓國語の飜驛で直接的表現として表れる傾向にあることが分かった。日本語は韓國語に比べ依賴疑問型や希望のモダリティが多く使われているため、韓日飜驛の際には韓國語式の直接的行爲要求よりは「~てくれる?·~てもらえる」などの疑問型の依賴表現や「てほしい·てもらいたい」などの希望のモダリティで飜驛する割合を高めることでさらに日本語のテキストに近い自然な日本語の文章が可能になると思われる。 Requesting, suggesting, wishing and conceding are some of the most typicalforms of expression that relate to deontic modality. With the exception ofcommanding or prohibiting expressions, where the listener is not allowed any choice,these forms of expression vary in their degree of forcibleness and freedom of choiceupon the listener. Regarding epistemic modalit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Japaneselanguage tends to have a higher inclination towards the use of euphemistic phrasesor expressions than the Korean language. And that being said regarding epistemicmodality, this study aimed to observ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in terms of deontic modal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ranslatednovels and untranslated, original novels. Results showed that original, untranslatedJapanese novels had a higher usage rate of roundabout phrases and expressionscompared to Korean novels that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It was also observedthat roundabout deontic expressions in Japanese novels were converted into directdeontic expressions when translated into Korean. Interrogative request and wishingexpressions are frequently used in the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병동 급성악화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 분석

        이주리,Lee, Ju-Ry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4

        목적: 병동에서 급성악화 환자가 발생할 때 환자에게 집중치료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나, 특히 사용 가능한 ICU 자원이 제한적일 때는 ICU 전동 여부를 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병동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후향적 조사연구로서 대상자는 일 상급종합병원 일반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악화상태를 보여 신속대응팀에 의뢰된 환자 2,9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입원시 고형암을 진단받은 경우 (odds ratio [OR] 0.39, 95% CI 0.32-0.47), 악화원인이 호흡문제인 경우 (OR 1.51, 95% CI 1.17-1.95), MEWS (OR 1.22, 95% CI 1.17-1.28)와 SpO2/FiO2 score (OR 2.41, 95% CI 2.23-2.60)가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전동 위험이 높은 환자의 조기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hen a patient with acute deterioration occurs in a ward, the decision to transfer to intensive care unit (ICU) is critical to improve the patient's outcomes. However, when available ICU resources limit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of the deteriorating ward patients to transfer to the ICU.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in predicting deteriorating ward patients transferred to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 data of 2,945 deteriorating ward patients who referred medical emergency team.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solid cancer that diagnosed at hospitalization (odds ratio[OR] 0.39; 95% confidence interval [CI] 0.32-0.47), when the cause of deterioration was respiratory problem (1.51; 95% CI 1.17-1.95), high MEWS (1.22; 1.17-1.28) and SpO2/FiO2 score (2.41; 2.23-2.60) were predictive of ICU transfe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prediction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high risk of ICU transfer may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 KCI등재

        다수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에서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이주리,이동환,황재웅,최정한,Lee, Ju-Ri,Lee, Dong-Hwan,Hwang, Jae-Woong,Choi, Jung-H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수의 임플란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을, 두 가지 인상법에 의해 얻은 모형들에 연결한 후,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나사 결합부 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네 개의 외부 육각 임플란트 (Br${\aa}$nemark $System^{(R)}$; Nobel Biocare AB)에 직접 연결되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과, 이와 수동적 적합을 갖는 완전 무치악 하악주모형을 만들었다. 이 주모형에서 비연결 인상법으로 6회 인상을 채득하여 6개의 모형 (1군)을 제작하고,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연결 인상법으로 6회 인상을 채득하여 6개의 모형 (2군)을 제작하여, 총 12개의 실험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실험모형에 상부 구조물을 지대주 나사 ($TorqTite^{(R)}$ GoldAdapt Abutment Screw; Nobel Biocare AB)로 20 Ncm의 힘으로 조인 후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총 2회 측정하였다. 두 군 간 나사의 풀림 토크값의 비교를 위한 통계분석은 반복측정을 고려하고 나사와 reading을 고정효과로, 모형을 랜덤효과로 포함하는 혼합모형 (mixed model)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나사의 풀림 토크값의 평균은 7.9 Ncm (1군)과 8.1 Ncm (2군)이었으며, 4개 나사의 풀림 토크값 중 최소값인 최소 풀림 토크값의 평균은 6.1 Ncm (1군)과 6.5 Ncm (2군)이었다.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고, 조인 순서와 위치가 서로 다른 4개의 나사 간의 풀림 토크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소 풀림 토크값도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수의 외부 육각 임플란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에서, 나사의 풀림 토크값과 최소 풀림 토크값은 비연결 인상법과 연결 인상법에 의해 얻어진 모형 간에 차이가 없어, 나사 결합부 안정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etorque values of screws in a multiple implant-supported superstructure using stone casts made with 2 different impression techniques. Material and methods: A fully edentulous mandibular master model and a metal framework directly connected to four implants (Br${\aa}$nemark $System^{(R)}$; Nobel Biocare AB) with a passive fit to each other were fabricated. Six experimental stone casts (Group 1) were made with 6 non-splinted impressions on a master cast and another 6 experimental casts (Group 2) were made with 6 acrylic resin splinted impressions. The detorque values of screws ($TorqTite^{(R)}$ GoldAdapt Abutment Screw; Nobel Biocare AB) were measured twice after the metal framework was fastened onto each experimental stone cast with 20 Ncm torque. Detorque values were analyzed using the mixed model with the fixed effect of screw and reading and the random effect of model for the repeated measured data at a .05 level of ignificance. Results: The mean detorque values were 7.9 Ncm (Group 1) and 8.1 Ncm (Group 2), and the mean of minimum detorque values were 6.1 Ncm (Group 1) and 6.5 Ncm (Group 2).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were found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4 screws were found for detorque valu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were also found for minimum detorque values. Conclusion: In a multiple external hexagon implant-supported prosthes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were found for detorque values and for minimum detorque values. There seems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rew joint stability between 2 stone cast groups made with 2 different impression techniq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