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실의 구조설계용 작물하중 산정

        나욱호(Wook-Ho Na),이종원(Jong-Won Lee),라쉬드아드난(Adnan Rasheed),곽철순(Cheul-Soon Kwak),이시영(Si-Young Lee),윤용철(Yong-Cheol Yoon),이현우(Hyun-Woo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구조설계용 작물하중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국의 온실구조설계용 작물하중 기준들을 비교분석하고 여러 가지 온실작물들에 대하여 작물하중을 직접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설계 작물하중에 대한 각국의 기준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나라들 마다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나라 기준들은 외국의 기준들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작물하중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최대 주당 작물하중이 토마토는 두 가지 온실에서 각각 3.3kgf·plant<SUP>-1</SUP>와 3.9kgf·plant<SUP>-1</SUP>로 나타났고, 오이는 0.75kgf·plant<SUP>-1</SUP>, 가지는 1.9kgf·plant<SUP>-1</SUP>, 딸기는 재배베드를 포함하여 2.1kgf·plant<SUP>-1</SUP> 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작물하중은 토마토가 평균 8.5kgf·m<SUP>-2</SUP>으로 나타났고, 오이와 가지는 각각 2.1kgf·m<SUP>-2</SUP>과 2.4kgf·m<SUP>-2</SUP>으로 토마토의 하중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온실설계기준에 제시된 작물하중은 토마토와 오이의 경우 15kgf·m-2으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값보다 훨씬 높았다. 우리나라의 설계기준이 네덜란드의 기준을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작물하중 설계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딸기의 작물하중은 행잉베드를 포함한 중량이 21.0kgf·m<SUP>-2</SUP>로 네덜란드의 설계기준인 30kgf·m<SUP>-2</SUP>보다 훨씬 작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calculate the crop loads for the greenhouse design. Four countries’ crop loads for greenhouse structures were compared and the crop loads were measured directly and analyzed for various greenhouse crops, including tomato, strawberry, cucumber, and eggpl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four country’s standards for the design crop loads, it was judged that the new design crop loads suit for greenhouse crops in our country should be suggested because our standards just used the design crop loads of other countries. The maximum crop loads per plant of tomato, cucumber, eggplant, and strawberry were 3.9, 0.75, 1.9 and 2.1 kgf·plant<SUP>-1</SUP>, respectively. The crop load per unit area of tomato was 8.5 kgf·m<SUP>-2</SUP>, which was much greater than the cucumber and eggplant’s crop load of 2.1 and 2.4 kgf·m<SUP>-2</SUP> respectively. The crop loads of tomato and cucumber, suggest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design standard of Korea, is 15 kgf·m<SUP>-2</SUP>, which is far greater than the values suggested by this research. It was judged that this was because our standard just used the Dutch standard, our crop load standard should be reviewed considering this difference. The crop load of strawberry, including the growing bed, was 21.0 kgf·m<SUP>-2</SUP>, which was much greater than the crop load in the Dutch standard.

      • KCI등재

        온실의 풍압력 산정을 위한 풍속의 수직분포 분석

        정승현(Seung-Hyeon Jung),이종원(Jong-Won Lee),이시영(Si-Young Lee),이현우(Hyun-Woo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4 No.3

        본 연구는 온실에 작용하는 풍하중 산정을 위한 설계풍속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10m이하 높이에서의 풍속을 측정하여 풍속고도분포지수를 산정하고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도에 따른 풍속분포함수를 결정하기 위한 풍속고도분포지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5m·s<SUP>-1</SUP> 이상의 풍속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농촌 개활지인 부안지역의 고도에 따른 풍속변화는 지표면으로부터 풍속이 지수함수로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RDC 기준과 일본의 JGHA 기준과 잘 일치하였고 풍속고도분포지수도 0.26으로 기준들에서 제시된 0.25와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군위지역의 경우는 풍속고도분포지수가 0.06으로 산정되어 지표면조도가 클수록 풍속고도분포지수가 증가하는 일반적인 변화 경향과는 반대로 나타났다. 이는 타워가 주변지대보다 약 2m 가량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유선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농촌 개활지에 설치되는 온실의 설계를 위해 적용할 풍속고도분포로는 우리나라의 RDC기준과 일본의 JGHA기준에서 제시한 풍속고도분포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부안의 경우 오전 7시 경부터 풍속고도 분포지수가 감소하다가 오후 3시경에 최소가 된 후 다시 증가하여 24시경에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에 따른 풍속고도분포지수의 일반적인 변화경향과 잘 일치하였다. 부안지역은 형상변수가 1.51로 나타나 간척지인 부안지역의 풍속특성이 제주도 연안지역과 유사한 풍속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to determine the design wind speed for calculating the wind load acting on a greenhouse, we measured the wind speed below 10m height and analyzed the power law exponents at Buan and Gunwi. A wind speed greater than 5m·s<SUP>-1</SUP> is appropriate for calculating the power law exponent necessary to determine the wind speed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height. We observed that the wind speed increased according to a power law function with increased height at Buan, showing a similar trend to the RDC and JGHA standards. Therefore, this result should be applied when determining the power law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design wind speed of the greenhouse structure. The ordinary trend is that if terrain roughness increases the value of power law exponent also increases, but in the case of Gunwi the value of power law exponent was 0.06, which shows contrary value than that of the ordinary trend. This contrary trend was due to the elevations difference of 2m between tower installed and surrounding area, which cause contraction in streamline. The power law exponent started to decrease at 7 am, stopped decreasing and started to increase at 3 pm, and stopped increasing and remained constant at 12 pm at Buan. These changes correspond to the general change trends of the power law exponent.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hape parameter for Buan was 1.51, confirming that the wind characteristics at Buan, a reclaimed area near the coast, were similar to those of coastal areas in Jeju.

      • KCI등재

        간척지 온실 기초의 침하량 검토

        최만권(Man Kwon Choi),윤성욱(Sung Wook Yun),유인호(In Ho Yu),이종원(Si Young Lee),이시영(Si Young Lee),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내에 온실을 시공할 경우, 온실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 나무말뚝 기초를 사용하여 완공한 계화도 간척지의 1-2W형 온실을 대상으로 온실기초의 침하량을 계측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반조사 결과, 기반암인 연암층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부지 조성 당시 매립한 것으로 추정 되는 매립층과 그 하부에 퇴적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매립층과 퇴적층 하부에 풍화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지반층의 토성은 시추공에 관계없이 주로 점토 섞인 모래, 실트질 모래, 실트질 점토 및 화강편마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지하수위도 시추공에 관계없이 지반에서 0.3m 아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기초 및 나무말뚝의 침하량은 전체적으로 볼 때, 온실 내·외부나 계측지점(채널)에 관계없이 침하량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침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 내부 기둥의 경우, CH-2는 좀 예외적이긴 하지만, 온실 측벽(방풍벽 측)에 있는 지점의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큰 진폭으로 흔들리는 것은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시기에 침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후, 어느 정도 침하량이 회복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들을 포함하여 CH-1을 제외하고 현 시점에서 온실 내·외부 전체의 지점별(CH-2~CH-10) 침하량은 1.0~7.5mm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는 지점별로 0.6362∼0.9340까지의 범위로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외부의 경우는 0.6046~0.8822로서 온실내부 보다는 다소 낮지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ttlement of a 1-2W type greenhouse using a timber pile, which was recently established on Gyehwa-do reclaimed land, in order to obtain base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a greenhouse on reclaimed 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undation and timber pile increased over time, irrespectiv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upon investigation of the grou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oft rock stratum (bedrock), and that a sedimentary stratum existed under the fill deposit,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reclaimed during the site renovation. It was also found that a weathered zone was located under the fill deposit and sedimentary stratum, and that the soil texture of the entire ground floor consisted of clay mixed with sand, silty clay, and granite gneiss, in that order, regardless of boreholes. In addition, the underground water level was 0.3m below ground, regardless of boreholes. Despite a slight difference, the settlement of the greenhouse or measurement sites (channels). With regard to the pillar inside the greenhouse, except in the case of CH-2, the data at a site located on the side wall of the greenhouse (wind barrier side) indicated vibrations of relatively larger amplitude. Moreover, the settleme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during a certain period, which was subsequently somewhat reversed. Based on these phenomena, it was verified that the settlement range of each site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greenhouse was between 1.0 and 7.5mm at this time, except in the case of CH-1.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good correlation,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y site ranging between 0.6362 and 0.9340. Furthermor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anged between 0.6046 and 0.8822 on the exterior of the greenhouse, which is lower than inside the greenhouse, but still indicates significant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