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말 방목에 의한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 및 사료 가치 평가
이종언(Chong Eon Lee),김현철(Hyun Cheol Kim),황경준(Kyung Joon Whang),박남건(Nam Geon Park),김남영(Nam Young Kim),오운용(Woon Young Oh)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성장단계별 영양소함량을 분석하고 말에서의 소화율을 검정하여 말 사료자원으로써의 활용가치를 평가하고, 제주조릿대 군락지 내 말 방목에 따른 제주조릿대의 생산성, 생육특성, 주변 식생의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조릿대를 구초(1년생)와 신초 (당년생)의 성장단계로 분류하여 조단백질, NDF, ADF 및 무기물 함량을 분석했다. 제주마 5두를 이용 제주조릿대 구초와 신초의 전분채취법을 이용한 외관상 소화율을 검정했다. 제주조릿대 자연 군락지 내에 말 2두를 2년 동안 4회에 걸쳐 방목하면서 생육특성, 생산량을 조사했다. 제주조릿대의 조단백질 함량 (DM 기준)이 구초 줄기와 잎에서 각각 4.8±0.4, 12.2±1.1%, 신초 줄기와 잎에서는 각각 8.0±0.8, 16.6±1.0%로 나타났다. 일반 목초류에 비해 제주조릿대의 Fe, Mn, Zn 함량이 특이적으로 높았다. 제주조릿대의 외관상 건물 소화율은 구초와 신초에서 각각 36.4±0.8, 47.2±1.2%로 신초가 구초보다 소화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말 방목 이전에 비해 방목을 거듭할수록 제주조릿대 초장 (86.9 vs 33.1 ㎝), 엽장 (19.3 vs 16.0 ㎝), 엽폭 (5.3 vs 3.7㎝) 등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생산량 및 밀도 (145.6 vs 52.8개/㎡)도 줄어들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조릿대는 사료가치가 양호하여 사료자원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나, 방목이 지속될수록 세력이 약화되어 생산량 및 밀도가 감소하고 있어 이용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 valu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by horse grazing in the woodland of Jeju. Crude protein (CP), NDF, ADF and minerals conten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Sasa quelpaertensis were analyzed. Th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M, CP, NDF and ADF were determined by total collection method using 5 Jeju horses. Th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 quelpaertensis Nakai by horse grazing were investigated. CP contents in the currentand the previous-year-sprouted leaves of S. quelpaertenisis were 16.6 ± 1.0% and 12.2 ± 1.1%, respectively. The digestibility of DM, CP, NDF and ADF in the current-year-sprouted leaves of S. quelpaertenisis were 47.2±1.2, 67.8±1.0, 47.0±1.3 and 47.1±1.1%, respectively. The current-year-sprouted S. quelpaertenisis tended to have high nutritional values and digesti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previous-year-sprouted. The dry matter yield, plant length, leaf width and density of S. quelpaertensis Nakai were clearly decreased by horse grazing. These results show that considering the feed value and growth characteristics, the natural S. quelpaertenisis Nakai can be used as a feed source for horses.
제주지역 말 방목 초지의 혼파조합별 생산성 및 채식율 변화
이종언(Chong Eon Lee),박남건(Nam Geon Park),박형수(Hyung Soo Park),오운용(Woon Yong Oh),고문석(Moon Suck Ko),김동훈(Dong Hun Kim),강동희(Dong Hee Kang)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봄철 크게 우점현상을 보였으나 여름철에는 하고 현상으로 식생구성이 낮게 나타났다. 방목 첫 해 티모시는 식생비율이 낮았으나, 그 후에는 연중 적절한 식생 구성을 보였다. 채식율은 티모시 주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물체 NDF, ADF, Ca 및 P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해발 400m 내외)에서 티모시 주초종(ha 당 티모시 20, 오차드그리스 5,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5, 화이트클로버 2㎏)의 혼파조합은 시기별 생산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to determine the temperate mixtures of grasses for grazing horses in Jeju, Korea. The experiment field located at 450 m altitude (Jeju Horse Training Center of Korea Racing Association) was divided into 3 different mixtures plots (3 replications) without a fence between treatments, and sown by three main grasses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imothy). Seven castrated adult horses were kept on pasture from the middle of April to the end of November without supplementary concentrates. The dry matter yield,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and botanical composition were determined during the grazing period. Nutrients in grasses and soils were analyzed. The dry matter yield during two-year experimental period was not different among mixtures (11,000-12,000 ㎏/ha/year). In botanical composition, perennial ryegrass was dominant in all mixtures during spring through early summer season, but faded away during hot summer season. Timothy seemed to be more resistant against a hot or dry weather than other grasses.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s was higher in the mixture of timothy than those in other mixtures. The contents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DF (acid detergent fiber) were not different among different mix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xture of timothy,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white clover (20, 5, 5, 2 ㎏/ha as a seeding rate) can be used for grazing pasture of horses in the high altitude of Jeju.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 평가
이종언(Chong-Eon Lee),박명희(Myung-Hee Park),박남건(Nam-Keon Park),박형수(Hyung-Soo Park),오운용(Woon-Yong Oh)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1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ace minerals (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levels in pasture soils and forages collected in Jeju area.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tal or soluble trace minerals levels in 187 pasture soil samples (76 very dark brown and 111 black soils) were measured. Total trace minerals contents in hay samples of 60 Italian ryegrass, alfalfa and mixture grasses each were assessed. The pasture soils of Jeju were characterized to have low pH (5.1) and to contain low levels of available P₂O? (20.5 ㎎/㎏) and exchangeable Ca, Mg, K, Na (2.6, 0.9, 0.5, 0.2 cmol+/kg, respectively) when comparing to upland soils of Jeju or Korean mainland. All trace elements in total or soluble analysis of pasture soils were detected,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soluble levels. The pasture soils tended to have the higher total Fe, Mn, Ni and Zn contents. Cr in all forages was not detected, but other trace minerals levels showed normal range. The hay samples of Italian ryegrass and mixture grasses produced in Jeju tended to contain higher Mn (105 vs 23 ㎎/㎏) and lower Mo (2.7 vs 4.9 ㎎/㎏) than those of alfalfa hay imported from USA. Results show that trace minerals of pasture soils and forages in Jeju seem to be not deficient, indicating that supplementation of some trace minerals are not always necessary in diets for grazing animals and should be done after careful evaluation of diets with regard to concentrations and biological availability of essential elements. 본 연구는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지역 98 목장에서 187 토양시료(농암갈색 76, 흑색 111) 및 말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 건초, 혼합목초건초, 수입 알팔파 건초 각 60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했다. 토양시료는 화학특성(pH,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미량광물질(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총 함량 및 가용성 함량이 분석되었고, 조사료 시료는 미량광물질 총 함량이 분석되었다. 토양의 pH는 전체적으로 산성을 띄고 있었다(pH 5.1). 목장 토양 유효인산은 20.5 ㎎/㎏, 치환성 Ca, Mg, K, Na은 각각 2.6, 0.9, 0.5, 0.2 c㏖+/㎏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목장 토양 미량광물질 중 총 함량이나 가용성 함량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은 원소는 없었다. 토양 미량광물질 총 함량에 비해 가용성 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토양 미량광물질 중 Fe 총 함량이 가장 높고, Mn, Ni, Zn 총 함량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분적으로 토양 무기물 간 상관이 높았다. 조사료 자원에서 Cr은 검출되지 않았다. 기타 미량광물질 함량은 수입 알팔파 건초와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 모두 일반적인 범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가 수입 알팔파 건초보다 Mn 함량(105 vs 23 ㎎/㎏)은 높고 Mo 함량(2.7 vs 4.9 ㎎/㎏)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 목장 토양은 대부분 산성을 나타내고 양분 함량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에서 특정 미량광물질이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가축에게 미량광물질 첨가제의 보충급여는 사양형태나 사료 미량광물질의 함량 및 이용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말고기 함량이 프레스햄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성필남,이종언,김진형,조수현,하경희,임동균,김동훈,이종문,고문석,Seong, Pil-Nam,Lee, Chong-Eon,Kim, Jin-Hyoung,Cho, Soo-Hyun,Hah, Kyoung-Hee,Lim, Dong-Gyun,Kim, Dong-Hoon,Lee, Jong-Moon,Ko, Moon-Suck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ratios of horse meat and pork (horse meat: pork=0:100, 50:50, 100:0)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s. Press ham containing 100% horse meat had a higher moisture content (%) and lower fat content (%) than the other hams (p<0.05). The redness (hunter a value) and yellowness (hunter b 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ess ham containing 100% horse meat, whereas the lightness (hunter L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hams (p<0.05). With regard to textural properties, press ham containing 100% horse meat had significantly higher springines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ham products in regard to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p>0.05). The results of sensory tests showed that press ham containing 100% horse meat had significantly lower color and acceptability scores compared to other hams (p<0.05). With regard to mineral contents, Na, Fe, Mn,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ess ham containing 100% horse meat (p<0.05).
비육돈의 도체형질과 A-FABP Promoter 유전자형의 연관 분석
한상현,조인철,이종언,고문석,성필남,박범영,Han, Sang-Hyun,Cho, In-Cheol,Lee, Chong-Eon,Ko, Moon-Suck,Seong, Pil-Nam,Park, Beom-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비육돈에서 지방세포지방산결합단백질(A-FABP) 유전자의 유전자형과 도체형질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유전자 A-FABP의 프로모터 영역에 대해 HinfI-RFLP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조사한 결과 두 가지 유전자형(-406T/T T/C)들이 발견되었고 C/C는 발견되지 않았다. 유전자형 중 -406C/C 동형접합자가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비육돈 생산에 관여하는 돼지 품종들 중에서 Duroc 품종만이 이 유전자에 대한 고도의 다형성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형 -406C/-를 나타내는 돼지들은 근내지방과 도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나 (p<0.05), 그 외의 도체형질들(조지방, 육색, 조직감, 수분 삼출도, 근육분리도)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본 연구를 통해 돼지 A-FABP 유전자의 -406C/- 유전자형이 근내지방에 대한 유용한 분자 마커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형성이 비육돈의 근내지방에 대한 유용한 분자 마커가 될 수 있으며, 특히 Duroc 품종을 최종 종모돈으로 이용할 경우 이 유전자형을 보유한 돼지를 이용하는 분자육종체계에서 marbling이 잘 된 돼지의 생산을 통한 육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상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한상현(Sang-Hyun Han),이종언(Chong-Eon Lee),김남영(Nam-Young Kim),고문석(Moon-Suck Ko),정하연(Ha-Yeon Jeong),이성수(Sung-Soo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variations and inheritance patterns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ic white coat color frequently observed in Jeju hors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white coat color occurred in all basic coat colored (black, bay and chestnut) horses by combining the phenotype and MC1R genotypes. There were no polymorphisms found in Jeju horses tested for mutational loci in the KIT gene, which were previously reported as potential mutations of the congenital dominant white coat color in other horse breeds in heterogeneity. The horses that had the 4.6-kb duplication in the STX17 intron 6 specifically showed the depigmented white coat color. Based on observation and STX17 genotypes, this depigmented whitening is defined as ‘Chongma' (whitening, progressive graying with age-Gray) in Jeju horses. Pedigrees showed that this is an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pattern distinct from the bovine albinism caused by an autosomal recessive passion eye color. Because the gray phenotype is generally not completely expressed early in Jeju horses, it often makes them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horse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for classification between the gray coat color and its similar phenotypes, such as the roan with its mixed hair colors appearing since neonatal period, acquired white hairs on wounded skin by veterinary treatment, and vitiligo-like skin pigmentation. However, study result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y phenotype and genetic background suggested that usefu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regards to molecular breeding of Jeju horses.
김남영 ( Nam Young Kim ),신광윤 ( Kwang Ynu Shin ),이종언 ( Chong Eon Lee ),한상현 ( Sang Hyun Han ),이성수 ( Sung Soo Lee ),박용상 ( Yong Sang Park ),고문석 ( Moon Suck Ko ),홍현주 ( Hyun Ju Hong ),양재혁 ( Jae Hyuk Yang ),정덕지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Wolla coat color using 376 Jeju registered horses (white patched 142, solid coat color 234). Three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white patches i.e ECA3-inversion for Tobiano, EDNRB 2 bp nucleotide substitution for frame Overo, and the KIT intron 16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for Sabino types of coat color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out of 142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that have the genotype for ECA3-inversion (To) 140 horses were +/To heterozygous and 2 horses were To/To homozygous all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had ECA3-inversion allele. However, there was no frame Overo or Sabino allele type in EDNRB and KIT intron 16 SNP in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As for 234 Jeju horses with a solid coat color, there was no ECA3-inversion allele related to the white patches. Thu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Wolla coat color with white patches in Jeju horses might have come from the Tobiano line in the genetic classification by coat color.
유전 및 육종 : 제주마의 기본모색과 MC1R과 ASIP 유전자형 조합의 상관관계
김남영 ( Nam Young Kim ),한상현 ( Sang Hyun Han ),이성수 ( Sung Soo Lee ),이종언 ( Chong Eon Lee ),박남건 ( Nam Geon Park ),고문석 ( Moon Suck Ko ),양영훈 ( Young Hoon Yang )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variations and the basic coat color classification system in Jeju horses. Genetic variations of the melanocortinreceptor 1(MC1R) and agouti signaling protein(ASIP) genes were investigated using pyrosequencing technique. A nucleotide substitution mutation for MC1R g.901C>T and an ASIP 11-bp deletion mutation were screened. Black horses had MC1R E+/- (E+/E+ or E+/Ee) and ASIP Aa/Aa genotypes. In contrast, chestnut horse genotypes were MC1R Ee/Ee and ASIP -/-. Thus, black and bay horses have at least one dominant MC1R allele, E+, whereas chestnut horses have homozygous recessive alleles Ee/Ee. This suggests that the MC1R genotypes determine chestnut or black/bay coat color, regardless of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ASIP. In addition, the horses with MC1R E+/- and a dominant ASIP A(A/)- allele showed bay coat color, but not black, suggesting that the ASIP AA allele represses black coat color development in the hairs of the body, but not in the mane and all four legs. Pedigree analysis showed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the MC1R and ASIP genes and basic coat color patterns, even in the F1 progen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t color phenotype and genetic background and suggested that usefu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molecular breeding of Jeju horses.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초지에서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이 목초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황경준(Kyung Jun Hwang),박남건(Nam Geon Park),박형수(Park Hyung Soo),이종언(Chong Eon Lee),김남영(Nam Young Kim),고문석(Moon Suk Ko),김문철(Moon Chul Kim),송상택(Sang Teak S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의 생산성과 질산염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화학비료 (CF) 200 ㎏/㏊를 대조 구로하여 톱밥발효우분퇴비 (CM)를 질소기준 50, 100, 200%를 두어 처리하였다. 건물수량에서는 2년 평균 CM 200%구가 20,177 ㎏/㏊로 CF구 19,165 ㎏/㏊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처리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CF구가 12.4%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DF 함량은 평균 32.1~32.8%의 범위로 전 처리구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NDF 함량도 처리별 평균 61.3~62.9%의 범위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TDN 함량에서는 63.6%로 CM50%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오차드그라스의 질산염 함량에 있어서는 CF구가 톱밥발효우분퇴비 수준별 시비구 보다 높았으며, 질산염 함량수준은 18.7~530.4 ㎎/㎏으로 가축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수준이며, 특히 화학비료구보다 톱밥발효 우분퇴비처리구에서 질산염 함량이 낮아 우분퇴비 200%를 시용하더라도 사초의 질산염 함량에서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사료된다. 토양 NO₃-N 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그 함량이 높았고 처리별 토양 NO₃-N의 함량을 보면 화학비료구가 톱밥발효 우분퇴비구 보다 높았다. 시험전과 시험후의 토양 pH 변화는 CM200%구에서 6.40으로 가장 높아졌고 CM50 및 CM100%구는 6.31, 6.20 순으로 높았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변화는 CM200%구에서 7.8%로 가장 높았고, 유효인산 함량도 CM200%구에서 336.39 mg/kg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볼 때 톱밥발효우분퇴비를 오차드 그라스 초지에 질소기준 100%를 시용했을시 건물수량에서는 생산량이 다소 떨어지나 토양환경차원에서 100%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the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forage yield, quality and soil in orchard grass pasture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from 2008 to 2009.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 consisted of chemical fertilizer (CF N-200㎏/㏊), cattle manure 50% (basis N, CM50%), CM100% (basis N), CM200% (basis N). The dry matter (DM) yield of CM200%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treatments. CF showed the highest average crude protein (CP) content by 12.4% and CM50% showed the lowest content by 11.0%. Averag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were 30.4 and 69.7% respectively. All treatments have narrow range of total digestibility nutrient (TDN) from 64.0% to 69.1%. But there were big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in forage nitrate content. Change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for applications of CF 200% and CM 200% was clearly in cattle manure application. Especially, CM application in pasture increased CF application with respect to soil pH, organic matter (OM), and avaliable phosphorous (P₂O?) contents of s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