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상샘눈병증 환자의 안와감압술에서 2차원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의 4가지 parameter의 유용성

        이종석,이화,장민욱,백세현,이태수,Jong Suk Lee,Hwa Lee,Min Wook Chang,Sehyun Baek,Tae Soo Lee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9

        Purpose: To present easily measurable 2D orbit computed tomography (CT) reference data that can be used in a preoperative study for orbital decompression and classification of individual orbital morphologies.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77 patients with orbital contusion (42 Asian males + 35 Asian females = 154 orbi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th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September 2012 to June 2013. Patients with orbital wall fracture, retrobulbar hemorrhage, or eyeball rupture were excluded. Medical records including 2D orbit or facial bone C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4 orbital parameters (orbital length, OL; globe length, GL; GL/OL ratio and 2D cone angle) were measured. Results: The average OL was 42.53 ± 2.46 mm (35.63-49.09 mm) and average GL was 24.83 ± 1.09 mm (22.75-28.13 mm). The average GL/OL ratio using these 2 parameters was 0.59 ± 0.04 (0.50-0.68). The posterior cone angle was on average, 45.96 ± 5.91° (29.35-60.04°). Conclusions: Simple measurement of 4 parameters using 2D orbit CT and classification of Asian individual orbital morphology may help in the choice of the most effective surgical technique for decompression surgery in thyroid eye disease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9):1267-1271

      • KCI등재

        고속 통신 시스템을 위한 40GHz CMOS 전압 제어 발진기의 설계

        이종석,문용,Lee, Jongsuk,Moon, Yong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3

        고속 통신을 위해서 0.11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40GHz 전압 제어 발진기 (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ior)를 제작했다.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에서 동작하는 VCO는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하여 스마트 바이어스 테크닉을 사용하였고 스파이럴 형태의 인덕터와 출력버퍼를 추가하여 LC형 구조로 설계했다. 제안하는 VCO의 동작범위는 34~40GHz이며, 이 주파수 대역은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 시스템에 적합하다. VCO의 측정결과 -16dBm의 출력파워와 16%의 동작범위, 38GHz 중심주파수에서 -100.33dBc/Hz(@1MHz)의 위상잡음을 갖는다. 또한 1.2V 전원에서 PAD를 포함한 전체 소모전력은 16.8mW이다. VCO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FOMT의 값은 -183.3dBc/Hz로 이전의 VCO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다. For an high speed communication, a 40GHz VCO was implemented using a 0.11um standard CMOS technology. The mm-wave VCO was designed by a LC type using a spiral inductor, and a simplified architecture with buffers and a smart biasing technique were used to get a high performance. The frequency range of the proposed VCO is 34~40GHz which is suitable for mm-Wave communication system. It has an output power of -16dBm and 16% tuning range. And the phase noise is -100.33dBc/Hz at 1MHz offset at 38GHz fundamental frequenc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VCO including PADs is 16.8mW with 1.2V supply voltage. The VCO achieves the FOMT of -183.8dBc/Hz which is better than previous VOCs.

      • SCOPUSKCI등재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 추출물의 확산 특성

        이종석,전법주,정일현,홍인권 ( Jong Suk Lee,Bup Ju Jeon,Il Hyun Jung,In Kwon Hong ) 한국공업화학회 1995 공업화학 Vol.6 No.2

        최근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추출공정은 비교적 휘발성이 낮은 생화학 물질의 분리와 고분자 물질의 분획 기술로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정설계와 scale-up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확산계수와 같은 전달특성에 관한 데이타의 부족은 상업적인 수준의 기술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에서 지배적인 속도 메카니즘이며, 장치설계에 중요한 변수가 확산특성이므로 초임계유체 내에서 추출물의 확산계수를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이 추출공정의 설계와 효율적인 조작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유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capillary peak-broadening법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 내에서 naphthalene의 확산계수를 308.15∼328.15K와 175∼275bar의 압력 범위에서 정량적으로 결정하였고, 일정 온도에서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낮은 압력 범위에서는 확산계수에 미치는 압력의 영향이 크고, 높은 압력범위에서는 압력의존성이 작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임계유체계의 압력과 온도의 변화는 밀도, 점도 및 몰 부피와 같은 유체의 전체적인 물성을 변화시켜 용질의 확산특성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기존의 액체계에 대한 확산계수 상관식 중에서 Matthews-Akgerman식의 확장적용이 실험적으로 측정한 데이타와 잘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has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as a technique for the separation of an available component from the material of low volatility and the fractionation of polymers, but the lack of data for transport characteristics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extraction process design and scaleup has hindere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o a commercial level. Because diffusion is the dominant rate mechanism in extraction process, the ability to predict the diffusion coefficient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process design and efficient operation. In this study, binary diffusion coefficients of naphthalen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ere measured by using the capillary peak broadening(CPB) method. Quantitative measurements were obtained by SFC in the temperature range 308.15∼328.15K and at pressures between 175 and 275bar. The experimental values of the diffusion coefficients have a magnitude of 10^(-4)㎠/s and were approximately in the range 0.5598∼1.1914×10^(-4)㎠/s. The influence of pressure on the diffusion coefficients at higher pressure range was less than that at lower pressure. A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it is clear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fluid such as density, viscosity and molar volume determined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solute in SC-CO₂. Among the various theoretical equations, the Matthews-Akgerman equation provided a more successful correlation for the experimental data.

      • KCI등재

        Salvia의 생장(生長)과 개화(開花)에 미치는 Dikegulac과 Ancymidol의 효과(效果)

        이종석,Lee, Jong Suk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6 No.1

        salvia의 생장억제(生長抑制)와 측지발달(側枝發達), 개화반응(開花反應) 등(等)에 관(關)한 dikegulac과 ancymidol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salvia 품종(品種) Bonfire를 공시(供試)하여 dikegulac 0.06%, 0.12%(엽면살포(葉面撒布))와 ancymidol 50 ppm, 100 ppm(엽면살포(葉面撒布)) 및 0.1 mg/pot, 0.5 mg/pot(토양주입(土壤注入))을 처리(處理)하였다. dikegulac 처리(處理)는 정아(頂芽)의 생장(生長)을 저해(沮害)하여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키고 측지(側枝)의 발달(發達)을 유도(誘導)하여 개화경수(開花莖數)를 증가(增加)시켰으나 개화기(開花期)는 지연(遲延)시켰다. 또 잎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켜 관상가치(觀賞價値)를 증대(增大)시켰는데 특(特)히 chlorophyll a의 함량(含量)이 월등(越等)히 높아졌다. ancymidol 처리(處理)는 정아(頂芽)의 생장(生長)을 저해(沮害)하지 않고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켜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영향(影響)하지 않았으나 개화경(開花莖) 증가(增加)에는 0.1 mg 토양주입구(土壤注入區)를 제(除)하고는 거의 효과(效果)가 없었다. 또 잎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ancymidol 처리(處理)에 의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는데 dikegulac 처리구(處理區)와 마찬가지로 chlorophyll a의 함량(含量)이 현저(顯著)히 높아졌다. dikegulac은 salvia에서 매우 효과적(效果的)인 화학적(化學的) 적심제(摘心劑)로 사용(使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compare the effect of dikegulac (sodium 2,3 : 4, 6-di-O-isopropylidene-2-keto-L-gulonate) and ancymidol (${\alpha}$-cyclopropyl-${\alpha}$-(4-methoxyphenyl)-5-pyrimidinemethanol)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esponses of Salvia splendens cv. Bonfire, foliar spray of dikegulac at rates of 0.06 and 0.12% and ancymidol at rates of 50 and 100 ppm, and soil drench of ancymidol at rates of 0.1 and 0.5 mg/pot were treated. Dikegulac reduced the plant height and induced the lateral shoot development by disrupting apical dominance, and thus increased the number of inflorescences and retarded flowering date. Dikegulac treatment greatly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of leaf, especially chlorophyll a. Ancymidol reduced the plant height without disrupting apical dominance and retarding flower ing date, but did not increase inflorescence number except soil drench at rate of 0.1 mg/pct. Ancymidol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of leaf, especially chlorophyll a. Dikegulac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pinching agent and branching agent for salvia.

      • KCI등재

        실무활용을 위한 Manning 조도계수 관계식의 결정

        이종석,오지은,박영주,정재훈,Lee,Jong Seok,Oh,Gi Eun,Park,Young Joo,Jung,Jae Hoon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1

        본 연구는 Manning 조도계수의 실무활용을 위해 자연하천 1,875개와 식생하천 739개를 합한 2,614개 현장실측자료를 사용해 회귀 분석에 의하여 관계식을 결정하였다. Box-Wishker 분석에 의한 현장자료의 Manning 조도계수 분포는 자연하천의 179개 모래 자료에서 0.004~0.151, 992개 자갈 자료에서 0.008~0.250, 651개 조약돌 자료에서 0.015~0.327, 53개 호박돌 자료에서 0.023~0.444로 나타났고, 식생하천의 281개 초본 자료에서 0.015~0.250, 150개 관목 자료에서 0.016~0.250, 308개 교목 자료에서 0.018~0.310으로 각각 나타났다. 중요한 경향은 조도계수와 유량, 마찰경사 및 상대 잠수비 간의 관계로부터 얻었다. 자연하천과 식생하천에 대한 Manning의 조도계수 관계식은 유량과 마찰경사를 함수로 하는 멱함수 형으로 유도되었고, 무차원 전단속도 관계식은 상대 잠수비 관계로부터 얻었다. 현장실측 Manning 조도계수의 분포와 이들 관계식은 수공 실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termined to use with the hydraulic engineering field of relationships for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 by the regression analyzing the field measurements of flow resistance data which consist of the total 2,614 rivers for 1,875 and for 793 data in natural and vegetated rivers. The measured distribution of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s by the Box-Whisker Plots show the values which ranges from 0.004~0.151 for 179 sand, 0.008~0.250 for 992 gravel, 0.015~0.327 for 651 cobble, 0.023~0.444 for 53 boulder in natural rivers, and also from 0.015~0.250 for 281 grass, 0.016~0.250 for 150 shrubs, 0.018~0.310 for 308 trees in vegetated rivers, respectively. Significant trends are obtained between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s and flow discharge, friction slope and relative submergence.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s derived as the power law form with a function of the flow discharge and the friction slope, and the equations for dimensionless shear velocity developed as a relation of the relative submergence in natural and vegetated rivers. Relationships of these semi-empirical and Manning roughness coefficients in field measurements can be useful for hydraulic engineering practice.

      • KCI등재

        대두(大豆) 고저단백질(高低蛋白質) 품종(品種)의 성숙중(成熟中) 종실(種實)의 발육(發育)과 단백질(蛋白質) 및 그 구성분(構成分)의 변화(變化)

        이종석,Lee, Jong Suk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5 No.2

        본(本) 실험(實驗)은 대두(大豆)의 성숙중(成熟中) 종실(種實)의 발육(發育)과 단백질(蛋白質) 및 그 구성분(構成分)의 변화(變化)에 관한 고저단백질(高低蛋白質) 품종간(品種間)의 생리적(生理的) 차이를 밝히고자 고단백품종(高蛋白品種) 서해(西海)20호(號), 중단백품종(中蛋白品種) 광교(光敎) 및 저단백품종(低蛋白品種) Shelbv를 공시(供試)하여 종실(種實)의 발육상황(發育狀況), 단백질(蛋白質) 및 지방함량(脂肪含量) 변화(變化), disc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한 단백질구성분(蛋白質構成分)의 조성변화(組成變化) 등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大豆) 종실(種實)은 대체(大體)로 개화후(開化後) 22일(日)까지 완만(緩慢)히 그 이후(以後) 20~30일간(日間) 직선적(直線的)으로 급속(急速)히, 그후 5~15일간(日間) 서서히 건물중(乾物中)이 증가(增加)되어 최고(最高)에 달하며, 개화후(開化後) 12일(日)부터 27일(日)까지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는 반면에 지방함량(脂肪含量)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되고 그 후부터 개화후(開化後) 40~47일(日)까지는 단백질(蛋白質)과 지방함량(脂肪含量) 모두 서서히 증가(增加)된 후 성숙기(成熟期)까지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2. 고단백품종(高蛋白品種) 서해(西海)20호(號)는 광교(光敎) 및 Shelby에 비해 전(全) 성숙기간(成熟期間)에 대한 비율(比率)로 보아 성숙초기(成熟初期)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감소기간(減少期間)이 짧고 감소율(減少率)도 적었으며 그후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증가기간(增加期間)이 길고 증가율(增加率)도 큰 특성(特性)을 보였으나, 지방(脂肪) 축적(蓄積)은 일찍 정지(停止)되었다. 3. 저단백(低蛋白) 고지방품종(高脂肪品種) Shelby는 서해(西海)20호(號) 및 광교(光敎)에 비해 전(全) 성숙기간(成熟期間)에 대한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감소기간(減少期間)이 길고 증가기간(增加期間)은 짧았으며, 지방함량(脂肪含量)의 증가기간(增加期間)이 특히 길었다. 4. 종실(種實)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단백질구성분(蛋白質構成分)의 변화양상(變化樣相)은 품종간(品種間) 차(差)가 뚜렷하였고, 완숙종실(完熟種實)의 단백질구성분(蛋白質構成分)들이 모두 출현(出現)하는 시기(時期)는 종실(種實)의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감소(減少)가 끝난 시기(時期)와 대체(大體)로 일치(一致)되었으며, 상대이동도(相對移動度)가 가장 작은 단백질(蛋白質)(a'=Rm 0.03)이 개화후(開花後) 17일(日)까지는 존재(存在)하였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없었다. 5. 고단백품종(高蛋白品種) 서해(西海)20호(號)는 광교(光敎) 및 Shelby에 비해 단백질구성분(蛋白質構成分) a($a_1+a_2+a_3$)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이 성숙초기(成熟初期)에서부터 계속 높았고 개화후(開花後) 47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되었으나, 광교(光敎)와 Shelby에서는 구성분(構成分) a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이 개화후(開花後) 27일경(日頃) 이후(以後) 거의 변화(變化)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comparatively the accumulative patterns of protein and oil, temporal changes in electrophoretic components of proteins during seed development and maturation for the soybean varieties with high, medium and low protein contents. 1. The dry matter of the developing seed increases slowly for the first 22 days after flowering, followed by rapid linear increase for 20 to 30 days and further slow increase for 5 to 15 days attaining its maximum. During the period 12 to 27 days after flowering the protein content of seed increases rapidly while oil content increases rapidly. Following this period of rapid changes, there was period of slow increase until 40 to 47 days after flowering and no seizable further change in the content of both protein and oil. 2. The high protein variety, Saikai # 20, was characterized by shorter period and lower rate of decrease in protein content during the early period, followed by longer period and higher rate of increase in protein content, with earlier stop of oil accumlation during the seed development. 3. The low protein and high oil variety, Shelby, was characterized by longer period of decrease in protein content and shorter period of increase in protein content in contrast to the longer period of slow oil increase during seed development. 4. The temporal pattern of protein component accumulation during seed development was distinctly different among varieties differing in protein content. The time of distinct appearance of all the protein components identifiable in the matured seeds was in accordance with the end of d crease in the protein content of seed. A component having Rm of 0.03 which was absent in the matured seeds was identifiable during the first 17 days after flowering. 5. The high protein variety, Saikai # 20, had much higher compositioral ratio of the component a from the early days of seed development and it continued to increase until 47 days after flowering, while the increase in the composition of the component a stopped as early as 27 days after flowering in the other lower protein varieties. 6. The composition of the component b increased during the period from 17 to 42 days after flowering in all the varieties tested, but the rate of increase during the period was lowest in the high protein variety, Saikai #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