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원형을 원용한 콘텐츠에 관한 고찰 - 각운의 『선문염송설화』와 현행 예불문을 중심으로 -

        이점숙(영석)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20 No.-

        三敎了父는 숙종12년(1686) 각운의 『선문염송집설화』를 重刊하면서 「重刊拈頌說話序」에서 언급하기를, ‘빨리 키우려고 벼의 싹을 뽑아 올렸다가 말라죽게 하는 어리석음은 해로운 짓이긴 하 나, 해파리가 새우의 눈과 귀를 빌어 몸을 지탱함은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서술하고 있다. 새우의 눈과 같이 작은 안목으로, 천천히 벼의 싹이 자랄 수 있도록 후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편으로 『선문염송집 에 관한 『설화』를 지은 연기를 전하고 있다. 본 논고는 『선문염송집』이라는 문화 원형은 한국 선문화 콘텐츠에 기반이 되고 있다는 것의 착안이다. 문화원형이란 그 문화를 기반으로 상상 혹은 창작되어진 문화콘텐츠의 핵심의 소재인데, 문화원형으로서의 『선문염송집』으로부터 援用된 『선문염송집설화』는 『선문염송집』에 『설화』를 회편하여 재조하고 또 중간하는 과정에서 칙수와 표제를 붙임에 따라, 원형을 원 용하여 재해석하고 분류하며, 재편되고 변형되면서 새로운 문화창달을 하게 된다. 이에 문화콘 텐츠를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선문염송집』과 『선문염송집설화』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전 반부 논점이다. 나아가 『선문염송집설화』의 판본에서는 고칙에 大覺世尊釋迦牟尼佛이외에 兜率, 周行 등 주 로 二字語로 칙명을 달아서 음각하고 說話를 添入하여 會編한 형태를 보이다가, 그 후대에는 龜庵의 『禪門拈頌三家集』혹은 草衣의 『禪門拈頌選要疏』등의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 은 변함없는 주체이자 문화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선문염송집』이 수세기를 통하여 막대한 문 화적 가치를 실현하는 중에서 서로 다른 문화현상이지만 하나의 문화원형으로부터 원용되어 폭 넓게 문화콘텐츠가 형성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문화원형으로서 혜심의 『선문염송집』은 고칙과 염송을 전개하는 데에 고칙과 염송이라는 틀 을 흔들림없이 전개하는 내면에 그의 편집의도를 전하고 있다. 즉, 고칙을 통하여 제시하는 거친 언어 가운데 그의 사상은 미세한 ‘칠분류’로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칠분류가 확연히 드러나게 되는 『선문염송집설화』의 판본에 보이는 제2의 ‘술이부작’은 더 나아가 세계불교에 유례없는 대한불교 조계종 현행 예불문의 ‘칠정례’라는 문화현상을 창달하게 되었다고 추론해 본다. 현행 예불문에서 ‘칠정례’의 분류는 1950년대에 월운스님에 의해 성립하게 되는데 대표적 인 예불문의 문형을 선연구물에 의해 살펴보고, 현행 예불문이 문화원형으로서의 『선문염송집』으로부터 원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보는 것이 후반부의 논점이다. 조사의 언설을 그대로 전하면서 새로운 것을 이끌어내는 혜심의 편집의도는 서로 다른 문화가 소통하고 새로운 문화창달을 할 수 있는 전략이 아닐 수 없다. 새로운 문화현상은 문화원형에서 그것을 벗어나는 데에 충분한 상상과 창작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선문염송집』과 『선문염 송집설화』가 보여주는 편집의도는 결국 리드미컬하고 드라마틱하게 스토리텔링의 감동을 주는 ‘7장르’의 현행 예불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유추해 본 것이다. Considering the core subject matter of contents is cultural archetype, this essay attempts to apply it to Seonmun Yeomsongjip(禪門拈頌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It's because the contents having accepted ever since Seonmun Yeomsongjip Seolhwa(禪門拈頌集說話, 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compiled, which has its roots in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substantialized the great cultural value over a few centuries. It is the main point in the first half of this essay to argue that the whole process is contents, in which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been compiled and reedited labeling the number of Gochik(古則, 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and the title to and classifying it in another form. Furthermore,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hich consists of adding Seolhwa(說話, the Hwadu commentary) to Seonmun Yeomsongjip(禪門拈頌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the intaglio of disyllabic words as the title of Gochik(古則, 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such as Daegak Sejon Seokgamoni Buddha(大覺世尊釋迦牟尼佛, The Great Awakening The World-honered One Sakyamuni Buddha), Dosol(兜率, The Tushita Heaven), Juhaeng(周行, Dharma tour) etc on the wood-printing block edition of it, and it has been published as the compilation with the addition of Seolhwa(the Hwadu commentary). Since then, it was transformed into Seonmun Yeomsong Samgajip(禪門拈頌三家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three houses of Seon School) by Guam(龜庵) or Seonmun Yeomsong Seonyoso(禪門拈頌選要疏, Annotation of the Essence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by Choui(草衣). This is to develope new cultural contents by adapting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hich might be an invariant main agent and cultural archetype, and also to create new culture by reinterpreting, classifying, reediting and transforming it on and on. First of all, Hyesim(慧諶) compiled and edited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ith the intention of keeping the unchangeable principle of Gochik(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and Yeomsong(拈頌, the Evaluation and Odes). In other words, he subdivided into seven classifications lea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atriarches with describing their statements intactly through Gochik(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This seven classifications is clearly illustrated in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by Gakwoon(覺雲), from which the creation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Chiljeongrye(七頂禮, the Buddhist service with seven bows to Buddha) in Korean Yebulmun(禮佛文, Prayer for Buddhist service) should be said to be originated. The classification of Chiljeongrye(the Buddhist service with seven bows to Buddha) in Korean Yebulmun(Prayer for Buddhist service) was composed by Wolun(月雲), which is viewed as the creation with adapting cultural archetype. It can be said to be cultural strategy that two different cultural systems interact each other. New cultural phenonenon is developed through the creative working and good imagination out of cultural archetype and by overcoming it. The spirit of 'not making up but describing(述 而不作)' represented in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should be regarded as the recomposition of Korean Yebulmun(Prayer for Buddhist service) made up of seven genres, which has the impression of a rhythmical and dramatic storytelling.

      • KCI등재

        『雪竇頌古集』에 관한 考察

        이점숙(영석)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선종에서 언어형식을 빌리는 것은 義理禪에 불과하다고 하거나 문자선이라고 평하기도 하지만 송대에는 문학을 통하여 표현하는 새로운 전통이 수립되었다. 선의 새로운 전개라고 할 수도 있는데, 조사의 語要(고칙)와 후학의 견해에 해당하는 댓구가 합쳐져서 頌古와 拈古, 그리고 拈頌集, 公案集으로 발달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拈頌·公案集의 박차를 가한 雪竇의 문학적 세계와 또 그의 頌古에 중점을 두고 그 동안 선행되었던 연구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송고문학은 天禧년간(1017~1021)에 성립된 汾陽善昭의 汾陽頌古 가 始原이지만 여기에서 더 나아가 雪竇重顯의 송고는 汾陽頌古 와 더불어 불과 수년이내 문학적으로도 더욱 완성도가 높은 雪竇顯和尙明覺大師頌古集 (天聖4年 1026, 이하 약칭 雪竇頌古 )이 편찬되었다. 그 중 呂夏卿이 쓴 雪竇의 塔銘에는 雪竇7部集( 洞庭語錄 , 雪竇開堂錄 , 雪竇後錄 , 瀑泉集 , 祖英集 , 拈古集 , 頌古集 )이 전해진다. 그 7部集 중 頌古集 은 圜悟克勤의 碧巖錄 에 수록되어져 入藏되고 또 유포되면서 더욱 세간에 회자되었다. 이러한 雪竇의 頌古集 의 구성을 통하여 典據를 살펴보면 ⑴ 어록을 전거로 하는 것: 조주록, 운문록, 분양록, 지문광조의 어록, 풍혈연소의 어록 등 ⑵ 등사를 전거로 하는 것: 조당집, 전등록, 광등록 ⑶ 경전을 전거로 하는 것: 화엄경, 유마경, 금강경, 수능엄경 ⑷ 전술한 텍스트 이외 분양송고 등을 전거를 하고 있다 雪竇頌古 의 구성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100칙의 송고는 운문종의 제1세 雲門文偃(864~949)의 법어에 관련된 18칙과 그 제자나 운문종 계열의 선사들이 7칙, 합하여 25칙이나 수록되어 있어 雲門宗의 집대성이요 종전이라고 할 수 있다. 운문의 3구가 대변하듯이 뛰어난 언어적 방편이 설두중현에게 계합하였으리라. 방편이 없는 선은 이상에 불과하다. 그러나 사변에 빠진 禪은 死句로 전락한다. 중도의 법에 이를 수 있는 一聲의 송은 운문의 법신을 일깨우고 진진삼매로 들게 하는 방편이었던 것이다. Getting aid from linguistic forms in Zen Buddhism has been considered nothing but WiLichan(義理禪). However, this was viewed in a different way in Song dynasty when the new climate of Zen Buddhism was expected. During that time, Zen masters' YuYao(語要, Gu-Ze;古則) and their disciples' comments on it were combined and developed into SongGu(頌古), NianGu(拈古), NianSongJi(拈頌集), GongAnJi(公案集). This thesis contemplates XueDou's literature and his SongGus' that accelerated NianSongGongAnJi(拈頌公案集)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e origin of SongGu(頌古) literature is FenYangShanZhao(汾陽善昭)'s SongGu that was published during TianXi years(天禧年間, 1017-1021). Within a few years after that, XueDouChongXian wrote XueDouXianHeShangMingGiaoDaShiSongGuJ i( 雪竇顯和尙明覺大師頌古集 , in short, 雪竇頌古 written in CheonSh eng year 4, 1026) that was appreciated to have the greater literature value than FenYangShanZhao's. The XueDou's monument has the 7 Department Collection of XueDou(雪竇7部集) including DongTingYuLu(洞庭語錄) , XueDoukaiTangLu(雪竇開堂錄) , XueDouHouLu(雪竇後錄) , BaoquanJi(瀑泉集) , JuYingJi(祖英集) , NianGuJi(拈古集) , SongGuJi(頌古集) ) on it written by LuXiaQing(呂夏卿). His SongGuJi(頌古集) became widely well-known after it was quoted in BiYanLu(碧巖錄) written by HuanWuKeQin(圜悟克勤). The references that were used in XueDou SongGu(雪竇頌古) were (1) The Analects of Patriarchs (語錄) : ZhaoZhouLu(趙州錄), YunMenLu(雲門錄), FenYangLu(汾陽錄), YuLu(語錄) of ZhiMen GuangZuo(智門光祚), YuLu of FengXueYanZhao(風穴延沼) and so on, (2) DengShi(燈史): ZhaoTangJi(祖堂集), ChuanDengLu(傳燈錄), AnDengLu(廣燈錄) (3) Sutras(經典): Avatamsaka-sutra(華嚴經), Vimalakirti-nirdesa-sutra(維摩經),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金剛經), Surangama-sutra(首楞嚴經) (4) the extra texts that were not included the above: FenYangSongGu(汾陽頌古) and so on. One of its most prominent features in its structure is that XueDou SongGu 100Ze(雪竇頌古百則) has 25 Ze(則) in total which is composed of 18 Chiks related to a Buddhist sermon taught by the master YunMen WenYan(雲門文偃(864-949)) in the first generation and 7 Chiks from his disciples and masters in YoonMoon sect. Because of this feature, this BaiZe(百則) has been considered WenYan sect's compilation and the most important text. As spoken by WenYan's Three Phrases(3句), the prominent linguistic expediency seemed to be suited forXueDouChongXian(雪竇重顯) Zen without expediencies is nothing but an ideal. But Zen that attaches to discrimination falls into dead phrases. A song(頌) from one-voice that enables to achieve the truth about The Middle Way(中道) is thought to be an expedience that awakened YunMen's The Low-Body(法身) and brought him into Samadhi(三昧).

      • KCI등재

        고려시대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이점숙(영석)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한국선종에서 고려시대의 조사선 수용과 간화선의 수용과정은 한국적 선수행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물이 있지만 한국의 산문에 유입되는 선사상적 차이점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고 조사선 사 상을 표방하는 간화선, 혹은 간화선 수행법을 예시하지만 조사선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한국 선사상에 있어 중요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선사상적 차별성을 밝히기 위해 시대적 선사상의 조류를 먼 저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의 선종의 전통은 나말여초 입당 구법승들에 의해 산문선을 형성하게 된 것에 기초를 둔다. 제 산문은 간화선이 체계화되기 이전, 마조계 조사선의 수행법을 수용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선종이 다소 위축되었으나, 12세기 이후 가지산문의 圓應國師 學一(1052∼ 1144)과 사굴산문의 慧照國師 曇眞을 계승한 默庵坦然(1070~1159), 그리고 이자현에 의해서 고려 선종계를 조직적이 고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북송대의 선사들과 교류하면서 선적과 함께 송대의 선풍을 도입 하여 고려에 새로운 선풍을 확립하였던 것이다. 고려 중·후기의 보조지눌은 三門을 제시하는 것과 아울러 정혜결사를 전개하는 수행전통으로부터 비로소 간화선 전 통이 펼쳤으며 그의 제자 진각혜심에게 계승되었다. 특히, 13세기말 수선사를 중심으로 유입된 선적을 통하여 간화선 의 수용은 14세기 말경에는 선문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혜계 몽산덕이 등을 탐방하고 유학한 많은 고려의 선 승들은, 본분종사의 가풍으로 화두를 참구하여 의심이 끓어지지 않도록 하고, 화두를 타파한 뒤에는 본분종사를 찾아 가 묻고 바른 깨달음인지 아닌지를 결택받는 간화선의 수행체계를 확립하게 되었다. 간화선의 수행체계는 사실 조사의 고칙을 이끌어 참구의 방편으로 삼는 것이므로 조사선의 경향과 동시에 화두 참구 라는 간화선의 중층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 위에서 간화선 수행체계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Seon in Korea’s Koryeo Dynasty,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看話禪)perform the acceptance process of Korean culture in line to say that identitywill be an important discussion. Although there are many intruder, entering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 do not have to specify. Josaseonsimilar to Ganhwaseon, or Ganhwaseon calls Josaseon and similar cases. Thismay be committing critical err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ne on theprehistoric era to uncover the ideological distinction first bird mentioned. The fact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GanhwaseonGochik(古則) radiation led to a way of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trend ofthe layered structure ganhwaseon a buzzword meditation(話頭參究) imitation. These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ganhwaseon system will ever perform.

      • 특집논문 : 선전(禪典) 번역의 제 문제 -대장경의 선전체계와 『선문염송집』의 번역을 중심으로-

        이점숙 ( Jeom Sook Lee ),영석 ( Seok Young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2 전자불전 Vol.14 No.-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Seon Buddhist texts as the part of Korean Tripitaka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Seon Buddhism as wells as linguistic and literaty context in general. Since Seon Buddhist texts, however, are not systemically categorized, this article suggested a way to categorize and translate Seon texts in publishing the Korean Tripitaka after some research on the Tripitaka in other languages. The main poin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Seonmunteomsong, Which is included in Koryeo pitaka and the Anthology of Korean Buddhist Texts, is excluded. Instead, Weolun`s Seonmunyeomsong·Seonmun yeomsong seolhwa was investigated and has been found out that the retranslation and ree diting has strength as well as weakness. Second, When we translate Seonmuyeomsong into Korean, we need to enhance readability by transforming the explanations on the old master`s phrases and poeme into regular statements. When we publish it in E-Book, retranslation and reediting might be necessary.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reduce mistakes in seon dialogues on which dialectics are used in common. Marking punctuation on the original texts and dictionary of dialectics might be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e translation. Established rules for translation should be mad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dharma lineage, and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must be provided with footmotes. Forth, the result of the analyzation of various sentence patterns of Seonmun yeomsong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are interpreted very monotonou sly. If it`s again translate Will help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feeling must clearly. Most mistakes and inappropriate expressions in translation of Seon dialogues come from the translation of colloquial style sentences into written sentences.Seon dialogues are vivid expression of the place in which the masters encountering the world and method to recover the sense of daily life. Unless the translation deliver the vividness of the Seon dialogues,it is useless. When Seonmun yeomsong is translated withfine quality, the identity of Korean Seon tradition will be shown up cle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