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內浦 지역 누정문학 연구: 忠淸水營의 永保亭을 중심으로

        이재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This writing was planned in a bid to look into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 cultural original form of Yeongbo-Pavilion, which was restored by Boryeong-si in November, 2015, and to be of what little bit of help to providing content data related to the regional culture. Through this writing, this study intended to aim to shed new light o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bay region which has failed to get close attention all the while, and further to look into literary transmission and realization aspects through the medium of the representative pavilion of scenic beauty of the bay region. On the one hand, Yeongbo-Pavilion, as the one of scenic beauty located within Chungcheong Suyeong, was the object of sightseeing as it embraced picturesque scenery of the west coast, but on the other, it is located at the place assuming an unusual character, in which a top priority was put on a duty of national protection for defense against the frequent invasion of Japanese raiders. Accordingly, the pavilion name of ‘Yeongbo’ includes national security, such as territory protection, harmony, and Yeomindongnak(與民同樂;A king shares the happiness with the people), etc., and a symbolic meaning of pleasure of landscapes intending to enjoy elegant landscapes eternally therethrough. This study looked into the foundation, history and meaning of Yeongbo-Pavilion through the documents written when Yeongbo-Pavilion was first founded in 1504, and the repairing records written afterwards. Also, this study considered the beautiful scenery possessed by Yeongbo-Pavilion, and its related literary works. Many literary persons of many generations made a tour of Yeongbo-Pavilion noted for its scenic masterpiece, and recorded their excitement by grasping and expressing the beauty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tidal changes of the bay region in a literary sense, including the surrounding scenes of Yeongbo-Pavilion. The landscapes of the bays and islands made by low hills and tidal changes created a superb view peculiar to Yeongbo-Pavilion, which used to make this Pavilion become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of the Chungcheong bay region. Comparing to other regions, the research on Nujeong(Pavilion)literature of Chungcheong-do has failed to get attention in particular all the while, and actually, its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are in a insufficient state. This study considers that Nujeong(Pavilion)literature of Chungcheong is in need of continuous concern and introduction of bibliographic data as well as diverse provision of basic data for its restoration hereafter. 본고는 2015년 11월에 보령시에서 복원한 영보정의 역사 문화적 원형의 모습을 살펴보고 지역 문화와 관련된 콘텐츠 자료를 제공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기획한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내포지역의 문화사를 재조명하고 나아가 내포의 대표 명승 정자를 매개로 한 문학적 전승과 구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영보정은 충청수영 안에 위치한 명승 정자로서, 서해안의 절경을 품고 있는 유람의 대상이지만 한편으로는 잦은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는 국가수호의 책무가 우선이었던 특수한 성격을 지닌 곳에 위치하였다. 따라서 ‘永保’라는 정자 이름에 국토 수호와 人和, 與民同樂 등의 安保와 그를 통해 영원토록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고자 하는 景觀之樂의 상징적인 의미를 담은 것이다. 본고에서는 1504년 영보정이 처음 창건되었을 때 지은 기문과 이후 지어진 중수기를 통해 영보정의 창건과 역사 및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영보정의 승경과 그와 관련한 문학적 작품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역대 많은 문인들은 내포 지역의 地勢와 潮水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고 영보정 주변 풍광을 문학적으로 묘사하여 절경으로 이름난 영보정을 유람하고 그 흥취를 기록하였다. 낮은 구릉과 조수 간만의 차가 만들어내는 만과 섬의 풍경들은 영보정 특유의 절경을 이루어내고 이 때문에 충청 내포의 대표적인 유람지가 되기도 하였다. 다른 지역에 비해 충청의 누정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고 축적된 연구성과도 미비한 실정이다. 차후에 지속적인 관심과 문헌자료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申從濩의 生涯 및 『高靈世稿』의 內容과 體制 考察

        이재숙 어문연구학회 2003 어문연구 Vol.43 No.-

        Shin. Jong-ho. a newly rising scholar, was not only a representative poet in the Chinese poetry but also in the age of King Seong-jong (in the end of 15C). Because the collection of Shin's works has not been known to academic world, there are no studies about his works until now. Goryungsego is the collection which was written by Shin, Joo, Shin, Jong-ho and Shin. Hang, 3 generations of the Shins of Goryoung. Goryungsego was made by Shin. Jam who was a Shin, long-ho's son in 1549. Goryungsego was composed of 8 volumes and10 works. 80 percent of the contents were written by Shin, Jong-ho. In this study, I introduced the contents and style of Goryungsego and illuminated Shin's lifetime and friendship through the new materia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松山 權載奎의 漢詩 硏究

        이재숙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This paper is considered the conscious aspect of Jae Gyu Gwan, Song San who had lived the gloomy and tragic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Guhanmal to liberation and Korean conflict by his chinese poems. It is aimed to find the creative trend of modern poem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timely value of Son San's chinese poems. Jae Gyu Gwan, Song San left about 1,300 chinese poems, the collection of his works is shown time-series poems from 1895 to July, 1950 escaped to Mungyeong by Korean Conflict after liberation. His conscious aspects are as follows; ① In the status invaded by Japan and lost the sovereignty of a nation, he recognized its reality but cut the world, rejected the system, the Western culture, new education, others forced by Japan. Chinese poems of Song San are expressed his frustration for national ruin and the self-comfortism to resist to Japan by cultivating younger students with the sage's studies and Confucianism. ② Especially, his chinese poems are found a lot of the respect and love for Zhu Xi and the clearly successional consciousness for Confucianism. By this thought, his chinese poems matched rhymes from Zhu Xi's poems. ③ Landscape poems of Song San are divided into 2 kinds of the aspect expressed the sorrowful indignation by landscape travels and the self-examination by nature. Chinese poems of Song San are succeed to the traditional style of Chinese literature and are expressed patriotism and loyalism. Many works shown patriotism in the period of the national ruin that are understanded as contributing to reinforce the mind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by chinese poems in the declined period to create chinese poems. Moreover, he withdrew into Taoism and created landscape poems with the realization for one thought of Eastern philosophy which have to remove the improper mind by keeping the good conscience and cultivating human nature, they are found as Taoism-typed poems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in modern times. 본고는 구한말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과 6.25 전쟁 등의 암울하고 비극적인 시대를 산 송산 권재규의 의식양상을 그의 한시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근세 한시 창작 경향과 송산 한시의 시대적 가치를 자리매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송산 권재규는 1,300여수의 많은 한시를 남기고 있는데, 그의 문집에는 을미년(1895)부터 해방 후 6.25전쟁에 문경으로 피난을 갔던 경인년(1950년) 7월까지의 시가 시기별로 수록되어 있다. 이에 대한 의식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일제 침략과 국권강탈의 현실상황에서 송산은 어찌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고 속세와 단절함으로써 일본이 요구하는 제도, 서구 문물, 신교육 등을 거부하였다. 송산의 한시에는 亡國의 鬱憤을 절박하게 토로하고 聖賢의 학문과 儒學을 통해 후학들을 양성하여 일제에 항거하려는 自靖意識이 표출된다. ② 특히 그의 한시에는 朱子에 대한 존모의 뜻과 儒學에 대한 투철한 계승의식이 많이 드러난다. 이러한 주자 존모 사상에 기인하여 그가 지은 한시 작품에 가장 많이 차운한 대상은 역시 朱子의 시이다. ③ 송산의 산수시는 산수기행을 통한 비분강개함을 토로한 측면과, 자연의 대상물을 통한 道體의 성찰 등 두 층위로 읽혀진다. 송산의 한시는 근세 한시의 다분화한 의식경향 중에서도 한문학의 전통 양식을 계승하고 憂國意識과 節義意識을 표출하였다. 특히 망국의 시기에 우국의식을 표출한 무수한 작품들은 쇠락한 한시 창작 시기에 한시를 통해 전통 유학자들의 의식을 강화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도학에 침잠하여 존양성찰의 깨달음의 의미를 담고 있는 일련의 山水詩들은 근세 전통 유림의 道學詩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 KCI등재

        騎驢子 宋相燾의 생애와 저술에 관하여

        이재숙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Song Sang-do, who penname was Giryeoja, wrote Giryeo supil ('Giryeo's Writings') as his 30-year-long personal tracing of patriot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till, there exists insufficient study of Song's life and scholarly network, while nothing has been known about his writings other than Giryeo supil. In this light, the thesis is undertaken to have a specific review of Song Sang-do's life and scholarly connections, organize Song's writings other than Giryeo supil, and establish their significance and value. First of all, Song Sang-do's scholarly network has been verified based on old letters related to Song, the preface and postscript to Giryeo supil, and the newly discovered preface by Yi Do-bok with the penname of Husan. What is known through these is that based on his home learning, Song took up Sino-Korean studies and afterwards, benefited from the teachings of Kim Yeong-ju with the penname of Tandang and Yi Jeong-ho with the penname of Dongjeong. Further,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of Giryeo supil has been met with a close review through a survey of testimonials from descendents and erstwhile neglected historiographic writings. Second, I have reviewed the content of Hyojeon ('Filial Duty') and Yeoljeon ('Patriotic Duty'), which constitute an addendum to Giryeo supil. The scrutiny of their characteristics has been perfonned through a survey of descriptions of personages from the perspective of filial duty and patriotic passion and by examining the original references for Song Sang-do's quotations. It has been verified that information on cases of filial duty and patriotism found in Gyeongsangbuk-do form the majority, which is believed to have value in respect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Gyeongsangbuk-do. Third, apart from the edition of Giryeo supil, I have also looked at such writings that Song Sang-do applied himself to as Goryeosa ('History of Goryeo'), Joseon wangjosa ('History of Joseon Dynasty'), and Jungguksa('History of China'). These are also biographies, which provides brief biography of noteworthy figures for the specific dynasty. While most of the biographic descriptions are brief and simple, some of them are attached with the author's comment marked as anseol ('further reflections'). These writings demonstrate that equipped with a staunch conviction and mission, Song Sang-do devoted himself to recording historical fact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publishing historiography. My interpretation in that regard is that in the peculiarly dismal era where locals had to deal with the demise of the nationhood, all that Song Sang-do could do as a single Confucian scholar was writing and publishing historiography on the nation. I want to take this opportunity to hope that lives of many patriots striving for national independence, which have so far been neglected, are brought to light in our time and thereby continue, while further studies are conducted on the other writings by Song Sang-do and their values are going to be appreciated. 기려자 송상도(1871~1946)는 일제 강점기 애국지사들의 義烈 행적을 30여 년 동안 손수 쫓아다니며 《기려수필》을 저술하였다. 송상도에 대한 생애와 학맥 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펀이고, 《기려수필》이외 송상도의 저작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본고는 송상도의 생애와 학맥 등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기려수필》 이외 송상도의 저술들을 정리해보고 그 의미와 가치를 자리매김하고자 작성되었다. 첫째, 송상도와 관련된 고문서 간찰과 《기려수필》의 서문과 발문, 새로 발견된 후산 이도복의 서문을 바탕으로 그의 학맥을 구명하였다. 이를 통해 가학을 바탕으로 한학을 배우고 이후 탄탕 김영주, 동정 이정호에게서 수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손들의 증언과 잊혀진 기사들을 정리하여 《기려수필》의 편찬 과정과 배경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았다. 둘째, 《기려수필》 부록에 해당하는 과 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기려수필》의 부록에 실린 ·의 인물 기사목록을 정리하고, 송상도가 발췌한 원전 기사전거를 검토하여 그 특징을 살폈다. 무엇보다 경북지역의 효열에 관한 이야기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경북지역 전통문화와 관련하여 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기려수필》 편찬과 함께 송상도가 심혈을 기울인 저작 《고려사》, 《조선왕조사》, 《중국사》 등의 역사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역시 인물전의 성격이며 왕조별로 주목할 만한 인물들의 略傳 형태로 기술되어 있다. 대체로 간략히 소개되어있으나, 간혹 송상도의 인물평이 "按說"로서 달려있다. 이러한 저작들을 통해 일제강점기 역사현장의 기록과 역사서 편찬에 확고한 신념과 사명감을 갖고 오랜 기간 동안 송상도가 심혈을 기울였던 것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이는 亡國이라는 특수하고 암울한 당대에 일개 선비로서 독립을 위해 송상도 자신이 할 수 있었던 일은 저술과 우리나라 역사서 편찬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그동안 조명되지 못하였던 많은 독립지사들의 삶이 이 시대에 재인식되어 독립운동의 정신이 길이 이어질 수 있길 바라며, 아울러 여타 송상도의 저작에도 연구가 확대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기를 기원한다.

      • KCI등재

        논산 문화유적의 한문학적 형상화 고찰

        이재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1 No.-

        본 논문은 논산의 문화유적에 대해 한문학 자료를 통해 드러나는 논산 고유의 경관과 풍속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대표적인 사찰이라 할 수 있는 개태사와 관촉사를 중심으로 논산지역 사찰에 대한 옛사람의 감회와 생각 등을 엿보았다. 기호 유학의 대표적인 본거지인 논산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황산정 및 팔괘정에 관련된 한시 작품을 살펴 기호 유학의 전승과 존모에 대한 후대 사람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논산지역은 문화유적 뿐 만 아니라, 설화, 문화재, 생활, 풍속, 역사, 종교 등, 어느 지역보다 풍부한 문화관광 자원과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리적 환경과 물산, 인문학적 콘텐츠 요소가 다양하고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그것의 편린에 지나지 않을 정도의 한문학 자료를 분석하고 논산 문화유적에 대한 형상화와 제 양상들을 살펴보았다. 전통문화와 관련한 문헌자료의 조사와 번역 및 자료 수집은 지역 정체성과 정신적 가치를 구축하는 데에 가장 선행되어야 할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논산 지역의 문화 콘텐츠와 활용에 충분한 자료조사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부족한 논고를 마무리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scenery and customs unique to Nonsan, which is revealed through Chinese-language literature of Korea on Nonsan's cultural relics. In addition, it also looked into our ancestors’ feelings and thoughts, etc. about the temples in Nonsan, with the focus on Gaetae Temple and Gwanchok Temple, which are temples representing Nonsa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san, the home of Giho Confucian School, Chinese-language poems related to Hwangsanjeong and Palgwaejeong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enerations of people about the tradition and presence of Giho Confucianism. This showed that Nonsan has not only cultural relics but also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and spiritual values more than any other region, including folktales, cultural assets, life, customs, history, and religion. Furthermore, it has diverse and abundant geographical environment, the physical production and the humanities content elements. This paper analyzed just a small fraction of related Chinese-language literature and looked at the representations and features of Nonsan cultural relics. The research and translation, and the collection of materials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re the basic tasks that should be most preceded in building regional identity and spiritual values. It concludes with raising the need for sufficient data research and study for cultural content of the Nonsan area and its utiliz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산수유 유산균 발효액의 모발성장 효과

        이재숙,박장순 한국생약학회 2011 생약학회지 Vol.42 No.3

        The bacterial growth and pH of Cornus officinali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during fermentation were evaluated. As the results, the number of the fermentation after fermentation always remained higher than 6 log CFU/mL and the pH of those ranged from 4 to 6. To evaluate the effect of Cornus officinali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on hair growth promotion in C57BL/6 mice, Six weeks old mal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cluding normal group (saline), negative control group (essence base), positive control group (minoxidil) and experimental group (Cornus officinalis and animal milk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mixed in negative control). And they were applied topically with test materials for 8 days. Hair regrowth effect in experimental group using gross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positive control group. Body weight and food intake of four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nus officinali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can be used practically for hair growth or prevention of hair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