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자호(李慈鎬) 한국일본어학회 2018 日本語學硏究 Vol.0 No.56
This paper is a survey about the phenomenon whereby ‘禮拜堂’ was replaced by ‘敎會’. The terms ‘禮拜堂’ and ‘敎會’ have begun to be used and settled with Christian meanings since the 19th century. The two terms have been used differently in Chinese, in that ‘禮拜堂’ refers to building, and ‘敎會’ refers to organization. Originally ‘禮拜堂’ was used as a religious term of Buddhism, but as Japan accepted Christianity from the Western world in the 19th century, the term ‘禮拜堂’ became a Christian term. As a result, the two terms ‘禮拜堂’ and ‘敎會’, once used differently, has reduced to ‘敎會’, so that ‘敎會’ now covers both ‘building’ and ‘organization’. Korean followed suit. The Chinese suffix ‘堂’ has attached to ‘敎會’ and became ‘敎會堂’. Thus, ‘敎會堂’ was given same meaning with ‘禮拜堂’ - that is building. Now that the suffix is eliminated, ‘敎會堂’ returns to the same form of ‘敎會’, but still has the meaning of ‘禮拜堂’.
이자호(李慈鎬)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2
This study examined notation of the word champagne, the liquor from France, and changes in its concept. Studies on modern vocabulary interchang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ave focused mainly on Chinese words. In contrast, this study examined vocabulary interchange through association with the notation of a kanji and the Hangul Alphabet. Significantly, this study shows the conceptual change in transliteration of the word champagne "三鞭酒", which was received from Chinese to Japanese, and from Japanese to Korean. Through English-Chinese dictionaries, "三鞭酒" was received from Chinese to Japanese. In Korean, after 江華島條約(1876), "三鞭酒" became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owever, the notation in Chinese changed from "三鞭酒" to "香檳酒", and from 1945, "三鞭酒" was created from "三鞭丸", the conventional analeptic efficacious medicine. In the Hangul Alphabet, "샴페인" begun to be used by Koreans after the 1950s, and recognition that "三鞭酒=샴페인" disappeared after the 1970s. In particular, analeptic efficacious medicine "三鞭酒" was formally imported from China in the 1990s, and it may be said that "三鞭酒", which was once a name of French liquor, accomplished the change to a name of Chinese efficacious medicine.
이자성(李子成)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2 No.3
본 논문은 전자정부 연구의 편향성 극복과 국가정보화 정책의 지평 확장이란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IT정책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와의 전자정부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분석내용으로는 공공정보화 분야의 전자정부사업, 정보화관련 법ㆍ제도화, 공동연구 네트워크, 정보격차를 중심으로 말레이시아의 정보화 현황을 분석하고, 이 내용을 SWOT 분석틀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결과로는 (1)강점요인에 CEO의 강력한 정보화 추진의지, 체계화된 전자정부 사업과 포털사이트 정비를 들 수 있고, (2)약점요인으로 정보인프라 구축 및 활용의 지역격차, 정보이용의 정보격차, 전자지방정부 구축 미약이 있다. (3)기회요인으로는 외국기업에 투자유치 및 기회 제공, 이동통신율의 증가추세, 정보화분야의 높은 시장잠재력이 있고, (4)위협요인으로 외국기업간 경쟁심화, 선점국가의 우대, 인적 네트워크의 취약, 말레이시아의 인지도 취약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세분화한 전략으로 (1)SO전략에는 정부간 다양한 협력체계 구축, 한국정보화의 홍보가 있으며, (2)ST전략에는 관계자간 교류활성화로 인적네트워크 구축, 전자정부 사업의 차별화가 있다. (3)WO전략에는 전자지방정부의 인프라 제공, 정보화 교육 및 연수 제공이 있고, (4)WT전략에는 공동연구망의 활용 및 연구자간 교류 확대, 취약한 인프라에 대한 한국정부의 적극 지원을 들 수 있다.
이자호(李慈鎬)(Lee, Ja-Ho)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8 No.-
2006年、韓国の大韓イエス教長老会(統合)の総会で新しい主の祈りと使徒信経を使うことに議決した。2002年、その改訂案が出てから四年の準備を経て成し遂げられた成果である。 この改訂を迎え、本稿では韓·中·日、三国の使徒信経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天主教と改新教とにその影響関係が異ってい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天主教の場合は、韓国と日本、ともに中国の初期天主教教理書に載っている使徒信経による影響をうけたと見られる。一方、改新教では初期には天主教と同様な傾向を見せるが、だんだん天主教とは違う独自の使徒信経を制定するようになる。すなわち、日本ではヘボン(Hepburn)の三要文が使徒信経の土台になっているが、それに基督用語の和語化が進み、「交通(コウツウ)」→「交通(マジワリ)」→「交わり」へと用語の変化が見られる。韓国では1890年代を境に天主教の影響から脱皮した使徒信経が出るが、賛美歌(1897年)にはじめて「通功」から「交通」へと用語の変化が見られ、以後「交通」だけが用いられる。これには、日本語の使徒信経が影響を及ぼした可能性があると思われる。
이자성(李子成)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1
지방분권 및 지방화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지방정부와 NGO간 파트너십 구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NGO 활동에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NGO참여 관련 제도 및 정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NGO 및 공무원은 파트너십 형성 및 구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을 활성화시기 위해서는 두 집단간의 파트너십에 관한 인식과 운영의 양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에 대해 상호간에 어떻게 인식하고 실제 운영하는지를 분석하고 파트너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인식관점에서 파트너십형성, 지역NGO 종합지원, 정보제공 및 획득을 보고, 운영관점에서 정책참여, 협력ㆍ연계, NGO 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NGO와 경상남도공무원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내용은 SPSS 15.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t-test,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파트너십 인식 분야는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 형성에 있어 두 집단 모두 인식이 낮고, NGO종합기관 필요성에 대해 공무원은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정보제공 및 획득 용이성은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파트너십 운영 분야는 두 집단 모두 현재 참여형태는 의제형성과정에 간담회ㆍ공청회ㆍ토론회 등의 의견제시 등의 참여방식이 많고, 협력ㆍ연계분야는 상담ㆍ교육ㆍ홍보ㆍ캠페인에 집중되어 있고, NGO 지원형태는 금전적ㆍ재정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첫째, 다양한 정책참여 통로 확보 및 참여단계 확산이다. 둘째, NGO가 정책 및 시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공개 확대와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산뿐만 아니라 교육, 운영,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NGO중간지원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NGO 유형별 파트너십 인식격차 완화, 협력기회 및 분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자호(李慈鎬)(Lee Ja-Ho) 일본어문학회 2011 일본어문학 Vol.53 No.-
本稿では、江戶末期から明治初期にかけて、化學用語がどのように收容、変化したのかという過程をよく反映していると推測される『增補訂正英和字彙』に載せられている化學用語(559語)の性格と中國語(『英華字典』)との關連性について明らかにした。 化學用語(559語)には、基本用語も見られるが化合物の名称が80%以上を占めている。語種面では、漢語(字音語)が主に用いられている。現代の化學用語とは異り、「oxygenated water.」に對して「含酸素水」という譯語を付けた後,「過酸化水素」を補足しているなど化合物の命名法が完全に確立する前の過渡的な化學用語の姿を見ることができる。 『英華字典』との比較を通して中國語の影響についても調べたが、從來から用いられていた「炭酸」「硝酸」など30語(總559語)だけが一致している。『增補訂正英和字彙』では單語形式の化學用語あるいは外來語が相当使用されているのに對して『英華字典』では句形式あるいは漢語の化學用語が用いられているからである。このような違いは、20世紀の初期、中國が日本の化學用語を受けいられるようになる一因になったと思われる。
이자호(李慈鎬)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4 No.-
本稿では、近代日本の代表的な英和辞書『增補訂正英和字彙』(1882)と 韓国開花期の代表的な韓英辞書『韓英字典』(1911)を資料に、専門用語838語とそれに使われた字音接尾辭の異同について分析した。両国間にはどんな語彙および字音接尾辞の交流があったのかその一面を明らかにするためである。その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 1)一致する単語は62語で、総838語のうち7.4%にすぎない。まだ、 1900年代初期、両国間の語彙交流は活発ではなかったかもしれない。 2)一致する単語には42種の字音接尾辞が使用され、総223種の 18.8%を占めている。学問名に使用した「-学」が12語に用いられ一番多い。使用度数は低いが、「-省」のように近代日本語の影響をうかがわせる例も見えはじめる。 3) 『韓英字典』には、「萬有定律」,「相思別曲」のような例があり、韓国語 のほうが字音接尾辞の活用にまだ積極的ではない様相を示している。 本稿は、専門用語とそれに使用された字音接尾辞に限ったものである。 今後、字音接尾辞の変遷および3字漢字表記語全体にその範囲を広げて調べる必要が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