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민자 공동체의 공간적 경관

        이자원,Lee, Jaw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The diversity of urban landscapes is established by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language, color, and their movement, which are the building environment, street patterns, and people. With the increase of foreign migrants in Korea, new guidelines are needed in terms of local community administration and land policy. Administrative, sociological, and geograph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migrants since the 2000s, bu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for making safe and healthy communities through which different cultures and lifestyles of each country and ethnic group undergo some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host society. There are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lack of statistical data and the representation of a minority proportion of foreign resi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ore elements of the integrated strategy of the local community, the residential behavior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migrants must first be identified. 도시 경관의 다양성은 건축물과 가로패턴, 그리고 사람들의 인문적 특성 이른바 언어와 색과 움직임 등의 동태적 특성에 의해 정립된다. 한국의 해외이주민의 증가와 함께 지역사회의 행정과 국토정책상 새로운 지침이 필요하다.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외국인 이주민에 대해 행정, 사회학적, 그리고 지리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각 국가별 민족별 상이한 문화와 생활양식이 기존 주류사회와 어떠한 통합 과정을 거치고 안전하고 건강한 공간성을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밀한 실험은 미흡한 상황이다. 통계적 데이터의 결핍된 부분과 소수 비율의 외국인 거주자에 대한 대표성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의 통합적 전략에 대한 핵심요소를 지표화하기 위해서 외국인 이주자들의 거주지 행태와 공간적 특성이 우선 파악되어야 한다. 통계적으로 계량화하기 어려운 소수의 공동체에 관한 공간적 요소를 분석을 위해 경관적 접근을 실험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그래서 우리는 ‘직접 소통’하고 있는가?: 청와대 국민청원 수사비평

        이자원,박동숙,백지연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1

        본 연구는 청와대 국민청원의 취지로 알려진 ‘정부와 국민 간의 직접소통’이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민들이 청원 내용에서 요구하는 정부의 역할과 청 와대가 답변을 통해 제시하는 스스로의 역할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라는 연구문제 를 설정한 뒤 495개의 청원글과 답변글을 대상으로 수사비평을 실시했다. 수사비평 중 에서도 역할비평의 분석 틀을 적용해 국민이 요구하는 정부의 역할과 정부가 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하는 스스로의 역할을 비교해, 정부가 추구하는 ‘직접 소통’의 의미가 실 제로 어떻게 실행되어 왔는지를 보다 분석적인 접근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역할비평의 분석 틀의 네가지 동사형태는 정서적/도덕적 행동(enotional/moral action), 서사적 행동(narrative action), 행위적 행동(behavioral action), 수행적 행동 (performative action)으로 나뉜다. 분석 결과, 청원글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구체적 인 정책적 행동이나 참여에 대해 요구’하는 ‘행위적 행동’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답변글에서는 ‘있는 사실을 그대로 설명’하는 ‘서사적 행동’과 ‘의지나 다짐’을 드러내는 ‘수행적 행동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따라서 청원글을 게시하는 주체와 그 내용에 대해 답을 하는 주체 사이의 역할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를 기반으로 지난 4년간 진행되어온 청원 내용과 답변의 전반적인 양상의 흐름, 주제나 청원 항목별로 가지는 특징, 답변하는 주체의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 동향 연구

        이자원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기후변화는 평균 온도의 변화 및 극심한 기후 현상의 형성 등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사용의 급증과 함께 증가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이 기후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기후변화로 인해 빚어지는 이상적인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주력하여 왔다. 그러나 기온 상승 등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은 극심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등으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로 이어지면서 이에 대한 적응 기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국지적으로 혹은 국제적 협약을 통하여 적응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는데 이는 사회와 경제적 기반과 매우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난에 대해 세계 각국의 적응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의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전개될 재난에 대한 대응을 위해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Climate Change may be a change in the average weather conditions or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weather events with respect to an average, for example, greater or fewer extreme weather events. Most of the observed temperature increase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caus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greenhouse gases, which result from human activity such as the burning of fossil fuel and deforest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For reducing the amount of future climate change, many countries has been focusing on mitigation as activities that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or enhance the capacity of carbon sinks. However,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environmental policy and action plans are to prevent “dangerous” human interference of the climate system. Thus, other policy responses, adaption has to be included. Even societies with high capacities to adapt are still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Planned adaptation is already occurring on a limited basis. The barriers, limits, and costs of future adaptation are not fully understoo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may be planned, e.g., by local or national government, or spontaneous, i.e., done privately without government intervention. The ability to adapt is closely linked to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도시 성장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자원 국토지리학회 2015 국토지리학회지 Vol.49 No.2

        In midst of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 had jeopardized the future of civilization of humanity. The human-oriented growth preferential approach has garnered the value of “sustainability” for its ideology moving forward having realized its exhaustion and limitation, and thus has promoted the exploration of strategies in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ets regarding such process. Though “sustainability” has been engaged in various fields of studi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ts boundaries of definition or its application is still obscure to this day. The idea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urban affairs sparked by the mass-movement toward the urban area and the built environment as an aftermath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likewise, the approach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must be prioritized. 19세기와 20세기의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 속에서, 환경파괴와 오염의 심각성은 인류 문명의 미래를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인간 중심의 성장 우선적 사고는 자연환경의 고갈성과 유한성을 깨달으며 ‘지속가능성’을 새로운 가치 이념으로 받아들이고, 경제, 사회, 환경의 각 부문에서 지속적인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지속가능성’은 전세계 각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지속가능성의 용어적 사용의 의미와 실천은 모호하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구의 도시밀집과 도시의 건조환경으로 인해 빚어진 ‘도시문제’ 해결의 수단으로 등장하였고, 따라서 도시공간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대한 접근이 우선적으로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선진국 지리학사를 통해 본 지리교육의 중요성

        이자원,김은혜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Geographer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enomena, processes and features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humans and their environment. As space and region provide a background for a variety of topics such as economy, health, climate, plants and animals, geography is highly interdisciplinary. We can educate our next generation to be able to realize the values of the national land and understand how to love our land, preserve our environment, and make our community better with geographical concept. We researched and fou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geography through the case study of advanced nations in some countires in Europe, US, and Japan. Furthermore, we analyzed of compulsory education for some case nations comparing with our educational system to emphasis on education of geography within the school system. 지리학은 지표상의 인간과 관련된 공간상의 제 현상과 삶의 과정 및 이와 연관된 환경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리학의 주제인 지표상의 공간과 지역은 경제와 인간의 질적 삶, 기후 및 자연의 생성 등 지표 상 제 현상의 장소적 배경이 된다. 지리교육을 통하여 땅과 인간에 관한 현상 및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국토의 소중함을 인식하는 교육은 우리의 터전을 가꾸기 위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선진국의 지리학사를 통하여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역할을 살펴보고, 각국의 지리교육과정을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지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Interpretation of the Ideal City Model for Enhancement of Good Urbanism

        이자원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2

        As new paradigm i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issues risen from urbanization, reinterpretation of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s ideal city models are utilized as guidance to urban environmental reform. Le Corbusier is one of the leading urban scholar from the 20th century whose research and studies in urban architecture and planning provided valuable lessons. In particular, his efforts to explain cities as programs instead of shapes have served as clues regarding urban sustainability and its solutions. His sketches that explain land in terms of maps allow for facilitated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such issues, and they describe utilization methods for optimal urban accessibility. His works reflect the views of Howard and other previous ideal city thinkers, and helped shape newly developed intellection such as New Urbanism with design ideas. This philosophy – which places the city as a nucleus of residential density which prioritizes the stability of a community, and places significance on the equal and fair distribution of the sun, space, and nature – serves as clues for the solutions to the current urban issues. Above all, the concept of harmony and uniformity of the whole are important components for the preservation of space and community. In addition, changes to the land use and the location of roads as an effect of road extensions and facility layout and whether these affect the land value or the land cost can be considered from a real estate perspective.

      • KCI등재

        중·소하천 유역 홍수해 방재의 제도적 체계 구축을 위한 사례 연구

        이자원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2

        Natural hazard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occur frequently around the globe, and have garnered attention in regards to human life and the ecosystem. Small and medium-sized stream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some regions are aligned to hazardous flooding, and thus, preventing and managing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and adaptation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flood prevention system to the current Korea River Act and related laws, such as Response Act of Flood, and analyzes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integrated flood management. The study furthermore looks into international cases to find a better method for prevention or adaptation of natural hazards. The system for the reduction of our country’s disaster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recovery, configuration of the four-step disaster safety laws such as the River act,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is relatively organized. However it lacks the binary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 coordination implemented in Japa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wareness from an early age, as well as vigilance to disaster response that can minimize damage must be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중소하천은 홍수로 인한 침수 및 범람 위험도가 크기 때문에 유역 특성에 적합한 홍수관련 대응, 방어 및 관리기술의 개선과 적응기법이 구축되어 홍수해를 저감해야 할 것이다. 홍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강우 예측부터 다양한 홍수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되어야 하는데, 인적 경제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예경보기술의 개발과 교육 및 관리 기술 등의 개발을 통해 수동적인 피해 복구사업에서 벗어나 적극적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가적인 홍수 방재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 하천법과 자연재해대책법 등의 관련 법률을 살펴보고, 지역별 중소하천 유역의 홍수와 관련된 관련 제도 및 대응법을 분석하여 통합홍수관리 개념을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모색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홍수예경보시스템과 하천법의 제도적 분석과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최근 극심한 홍수해의 경험이 있었고, 홍수해에 취약한 강릉시와 김천시, 포항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재난 저감을 위한 체계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네단계로 구성이 되어 있고 하천법과 재난안전법 등의 제도적 정비가 비교적 체계화 되어 있는 반면, 실천적인 재난 대비 교육과 훈련 체계 및 대응체계가 다소 미흡하기 때문에, 재난에 대한 인식을 교육 뿐만 아니라, 실제 재난에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후변화 예측 하에 전개될 재난에 대한 적응기법 모델링을 위한 선진국 사례 연구

        이자원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2

        일반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은 저감과 적응 전략으로 구분되고, 국제적으로 두 전략이 구현되는 추이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기후변화 대응정책은 주로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완화전략에 집중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지금까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기인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피해가 선진국보다는 일반적으로 재해의 취약성이 큰 후진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선진국의 경우 재해에 대한 대응보다는 경제적 관점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정책의 초점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는데, 2012년까지 단기적으로 기후변화 대한 적응 전략이 강화된 행동 대응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의한 재해의 직접적 대상이 되는 후진국의 경우,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하기에 아직 기술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부족한 기반을 가지고 있어 효과적 대응 전략을 구사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적응 전략은 상대적으로 그 사례의 연구나 개발이 미약했다고 판단된다. 저감 전략과 적응 전략은 분리된 전략이 아니라 균형적인 비율로 함께 추구되어야 하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두 전략을 효과적으로 마련하여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응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선진국의 기술 개발을 통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적응기법과 비교하며 이를 후진국에 적용가능한지를 파악하였다. The international climate effort has focused predominantly on mitigation, reducing green hous gas emissions to prevent dangerous climate change. The next stage of the international effort must deal squarely with adaptation coping with those impacts that cannot be avoided. This is both a matter of need, as climate change is now underway, and a matter of equity, as its impacts fall disproportionately on those least able to bear them. It also may be a condition for further progress on mitigation. Indeed, substantial new mitigation commitments post-2012 may be politically feasible only if accompanied by stronger support for adaptation. This paper examines underlying issues and lays out an array of possibilites getting through the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To set the issue in context, it looks first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regions and evolving nature of human adaptation to climate. It then highlights key issues in their circumstance of their infrastructure, and summarizes and assesses international adaptation efforts fo d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