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해 웅천읍성의 고고학적 검토 : 체성부 축조수법과 구조를 중심으로

        이일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Ungcheoneupseong (Uncheon Town Fortress) served as a strategically important defensive structure against attacks by the Wakou (Japanese pirates) during the Joseon Period. Located close to the Jepo Waegwan (Japanese settlement) and the sea path between the South Sea and the West Sea, i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trade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Japan. The structure of the fortress and the techniques used to build its stone walls provide a considerable amount of information on how town fortresses wer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local governance and national defens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first thing to note about Ungcheoneupseong Fortress is that it reveals that different techniques were adopted to build the different sections of the stone walls. It also confirms the use of a method of piling fortress walls in tiers, which was a typical method of building fortress walls along the seashore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Second, the East Gate is the largest ongseong (a small ancillary stone wall built outside the main fortress to protect the gate) among those built along the south coast. Third, chiseong (specially reinforced defense positions) show evidence of the types of improvements made as discu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building methods and the processing of stone materials of this facility show more developed techniques than others built along the south coast. Fourth, the existence of moats, defensive wooden stakes, stone embankments and land bridges over moats were identified. Two moats were built, including the 300m-long stone embankment, along the stone walls. There were also two types of land bridges over the moats, i.e., one built with silt mixed with stones, and a wooden hanging bridge, which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ntrance to this town fortress. Fifth, Ungcheoneupseong Fortress is typical of the buildings constructed along the southern seashore. It was built in 1434, the 1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When it was originally built, it had a square shape, but it was later rebuilt in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changes in its ancillary facilities. It is one of the few structures built on level ground among the fortresses built along the seashore. Scholars regard it as a historically important material, as it displays elements of the various fortress building techniques adop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reafter. 웅천읍성은 역사적으로 제포왜관과 인접해 있어 일본과의 경제교류활동 및 군사적으로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남해를 거쳐 서쪽으로 진출하는 해로상의 중요한 길목으로서 일찍부터 인식되어 대 왜구방어전선의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겸한 중요한 성곽이다. 따라서 이 읍성의 구조나 축조수법이 조선시대 연해치소성과 군사적 거점인 관방성의 축조수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웅천읍성에서 첫 번째로 주목해야 할 것은 체성부 내벽이 구간별로 다르게 축조되어 있으며 축성신도에 수록된 계단식축조수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조선 전기 축조된 연해읍성 축조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진해 웅천읍성의 동문지는 편문식 옹성으로 문지와 옹성은 체성과 동시에 축조되었고 둘레와 평면플랜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규모 중 상당히 큰 규모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치성의 경우는 세종연간의 축성 논의에서 나타나는 치성 축성의 양상과 그 전후시기 의 축성양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곳으로 최근 조사된 남해안 지역 연해읍성 치성에 비해 그 축조수법이나 석재 가공도로 볼 때 보다 발전된 양상이다. 넷째, 웅천읍성에서 조사된 해자 및 해자 내 목익과 호안석축 및 통행시설인 육교부가 확인되었다. 특히, 해자 호안석축이 300m 미터가 확인된 웅천읍성 해자는 체성부의 명면플랜에 따라 축조된 2개소의 해자가 확인되었으며 그 축조수법에 있어서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자를 통행할 수 있는 교량시설이 확인되었는데 이 교량시설은 토석혼축으로 이루어진 것과 목재를 이용한 도개식의 교량형태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도개식 교량형태는 해자의 출입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이 해자의 바닥에는 목익을 꽂아 방어수단으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웅천읍성은 조선 세종 16년(1434)의 축성시기를 아는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연해읍성의 하나이다. 특히 웅천읍성은 조선전기 평지에 방형으로 축조되었다가 장방형으로 평면형태가 개축되면서 체성부 축조수법과 부대시설의 구조가 변화되는 읍성으로, 연해읍성 가운데 수개소에 불과한 명지성이며 세종연간과 그 이후시기에 나타나는 축조수법을 단일 성곽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성사적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기장 두모포진성에 대한 소고

        이일갑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해양문화재 Vol.14 No.-

        Dumopojinseong Fortress fulfilled its function as an important defense position in Busan, but it was abandoned and left unrepaired following the relocation of the Dumopojin naval base after the Imjin War (1952-1958). Its structure and the methods used to build it are very significant for the study of fortress-related history. Regarding the record which states that the fortress was built right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in Sampo started by the Japanese in 1510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it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y remodeled an existing structure, as there was already a fortress at the site, though it was perhaps a more primitive structure such as a wooden rampart or a castle with wooden walls. Built at a site where a river flows into the sea, the castle served its purpose in repelling incursions by the Wako (Japanese pirates) effectively. During the Imjin War (1592-1598), Japanese invaders built their own fortress and linked it to Dumopojinseong Fortress in an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the topographically advantageous position. To build Jukseong-ri Japanese Fortress, the Japanese took the materials they needed from the nearby Dumopojinseong Fortress and Gijang Walled Town. Both the fortress and town were damaged and left unrepaired after the war. While Yeonjinboseong Fortress was built in the shape of a boat in a place where a river flows into the sea, Dumopojinseong Fortress was rectangular in shape, although the two fortresses were located in the similar place where the stream flows into the sea. Overall, Dumopojinseong Fortress displays the mixed features of a fortress built on flat land and a mountain fortress. Dumopojinseong Fortress was previously thought to be pentagonal, but this study found it to be a rectangular structure that was built to defend the naval base by extending the northwe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its outer walls. 두모포진성(豆毛浦鎭城)은 임진왜란을 거친 후 복구되지 않은 채로 두모포진이 이설되기 전까지 부산지역 중요 국방요새로서 그 기능을 다하여 왔으며 그 구조와 축조수법은 성곽사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모포진성은 1510년(중종 5) 삼포왜변이 발발한 직후 축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때 이미두모포진 성곽이 축조되어 있었다. 즉 1510년(중종 5) 축성된 두모포진성은 개축된 것으로 볼 수있다. 과거 보루성으로 축조된 토성 내지 목책성이 잔존해 있던 것을 이때에 이르러 개축한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두모포진성은 바다와 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 축조되어 있어 바다에서 내륙으로 진출하는왜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요충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이러한 지형적 이점은 임진왜란시 왜군에 의해 죽성리왜성 축조로 연결되었으며 두모포진성 역시 죽성리왜성의 일부에 포함되었던 것이다. 특히 죽성리왜성 축조시 각종 자재의 조달을 두모포진성과 기장읍성 등에서 하였다. 이로 인해 두 성곽의 훼손이 이루어져 임진왜란 이후에도 복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통상 바다와 하천이 맞닿은 곳에 위치하는 조선시대 영진보성 평면은 주형으로 확인되고 있다. 반면에 동일 지형에 설치된 두모포진성은 방형으로 축조되었다. 이것은 두모포진성이 저지성구릉을 활용한 평산성에 가까운 것이라 할 수 있어 특이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두모포진성은 성곽 평면형태가 오각형으로 알려졌으나 금번 연구를 통해 북서-남동 체성부가약간 길게 축조된 방형 영진보성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양산 신기리산성에 대한 소고

        이일갑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4 文物硏究 Vol.- No.26

        Yangsan city, Gyeongsangnam-do Singiri acidic mountain town Singiri 20, bukjeongdong acid 20, which is located in San hogyeri 112,260 Street, is situated in the province and its adjacent areas in normal sulfuric 157,074㎡ area. January 21, 1963 has been designated as Historic Site 97. Were identified before and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in Singiri acid dongbyeok identity is part chochuk walls. Building a proper layer of conducting 品 shaped exterior walls have been installed and the air mass bochuk this was confirmed conducted ethnic brought about by 5㎝ distance from the proximal end toward the inside wall height 1.7m (total 3.2m) about this.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remaining walls is estimated to be composed of at least three times over the outside shot, but can differ depending on the period since the chochuk reconstruction. Thus, as early as the time chochuk itgetda can be estimated in the mid to late 05 century to 07 century.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maintaining the functionality of the castle until the Joseon period, when viewed as being presumed to be retroactive to rectify togipyeon Silla and Unified Silla period in the province of giwapyeon artifacts, and the minutes of the Goryeo Dynasty giwapyeon cheongsagi pieces, porcelain pieces, including a large amount of and is identified as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times the number of renovations since chochuk. Therefore,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used by the captain continued, Ulsan, ipbo of Eonyang Longshan county property (入堡用山城) through shipbuilding and electricity, as well as the Unified Silla period considered, including the production period is used to geumjeongsan castle built Singiri acid production is. It was found that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to identify the remains Singiri acid based between Silla, go, the Nakdong River basin of bleach fight sahoesang time when the review process and comprehensive view more details. Itgetda can also note that the non sapryang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value fired in defense and attack south of Silla go Singiri Acid production. 신기리산성은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읍 신기리 산 20, 북정동 산 20, 호계리산 112,260번지에 위치하고 있는데, 면적은 157,074㎡로 성황산 정상과 그 인접한 지역에 자리잡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97호로 지정되었다. 신기리산성 동벽 체성부에서 통일신라시대를 전후한 초축성벽이 확인되었다. 이 성벽에는외벽기단보축이 설치되어 있고 品자형의 바른층쌓기를 실시하고 기단부에서부터 내벽쪽으로 약 5㎝ 간격으로 들여쌓기를 실시한 높이 1.7m(전체 3.2m) 가량이 확인되었다. 잔존 성벽의 현황에 따르면 초축 이후 수개축이 구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적어도 총 3차례 내외에 걸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초축시기가 빠르면 5세기 중후반에서 7세기로 추정할 수 있겠다. 또한 성내에서 신라토기편과 통일신라시대까지 소급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편, 고려시대의 기와편과 분청사기편, 다량의 백자편 등의 유물이 수습되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까지 성곽의 기능이 유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초축 이후 최소 3차례 이상의수개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양산 신기리산성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 전기를 거쳐 금정산성이 축조 사용되는 기간까지 양산을 비롯하여 기장, 울산, 언양 군민의 입보용산성(入堡用山城)으로 계속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볼 때 신라, 가야, 백제의 낙동강유역을 사이에 둔 투쟁과정과 당시 사회상을 파악하는데 신기리산성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산 신기리산성은 신라의 남쪽 방어와 가야 공격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던 삽량주의 치소성으로 비정된다고 할 수 있겠다.

      • 南海岸 沿海邑城의 垓字考

        李日甲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6 文物硏究 Vol.- No.10

        남해안 연해읍성은 기존에 존재하던 산성이나 고읍성에 비해 그 축조수법 및 부대시설의 설치가 전대와는 다른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축성양상 가운데 단일성벽으로 이루어진 읍성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甕城, 敵臺, 女牆, 垓字 등이 설치되게 된다. 이 가운데 읍성의 관점에서 가장 1차적인 방어시설이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守城武器가 해자였다. 垓字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어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해자’와 관련된 용어는 󰡔朝鮮王朝實錄󰡕에서 사용되는 것만도 ‘垓字’, ‘坑坎’, ‘濠池’, ‘塹濠’, ‘隍池’, ‘海子’, ‘池壕’, ‘垓子’, ‘塹’, ‘池濠’, ‘壕’ 등이 사용되고 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增補文獻備考󰡕에는 ‘垓子’ 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는 그 축조양상과 수법이 중앙정부의 관리감독 아래 과거에 비하여 훨씬 통일된 規式과 축조수법을 가지고 축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축조된 연해읍성의 해자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이 각각의 읍성별로는 차이를 보인다 하여도 문지와 체성부의 해자와의 간격이 1 : 0.5의 간격비율을 유지한다. 이것은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을 기준으로 문지와 해자 사이에서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에 비해서 반으로 감해져서 축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의 축조 시 상하부 너비의 비율이 1 : 1.5 비율을 유지하며 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연해읍성 해자 내에서 木杙이 설치되어 있는 양상은 3가지 유형으로 파악된다. 첫째, 해자 전면에 목익을 설치하는 것과 둘째, 해자 중심 부분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과 셋째, 해자의 濠岸石築에 연한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연해읍성 해자에는 읍성 내외 출입을 위한 陸橋施設이 확인된다. 이 陸橋部는 성내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유사시 垓字를 넘어 적이 읍성 내로 진입하기에 좋은 시설임을 감안하여 효과적인 읍성의 방어를 위해서는 육교부의 파괴가 요구되므로 석재를 이용한 견고한 육교시설보다는 나무를 부재로 사용했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이상의 양상으로 볼 때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 및 해자 내 목익과 호안석축 및 통행시설인 육교부는 조선 전기 읍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me to show quite a different phase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 and ancillary facilities compared to existing mountain castles and ancient castle. To reinforce the defence of a eup castle composed of single castle wall among castle construction, a strong fortification, defence stand, defence wall, moat and so on. From the viewpoint of a town castle, the most primary defence facilities and the strongest defence weapon was a moat. A moat as one of defence facilities to enhance the castle grooving the earth and using a hurdle such as a natural river, was defence facilities universally used regardless of the western and Eastern world. The terms related to a moat in our literature were a moat, ganggam, hoji, haeja(垓字), ganggam(坑坎), hoji(濠池)․Pitfall(塹濠), hwangji(隍池), haja(海子), jiho(池壕), heja(垓子), cham(塹), jieho(池濠), ho(壕) in Joseon Dynasty chronicles (󰡔朝鮮王朝實錄󰡕), which is recorded as a moat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n be certified that the construction phase and technique was far unified method and technique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central method compared to the past. The moat of Coastal Twon Castle built up like this shows the interval from the main castle part by each town, maintaining the interval ratio of 1:0.5 in that of a gate and the moat, the main castle part and the moat. This means that it was constructed with the interval of Munji and moat reduced half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based on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Also in constructing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was kept. And the phase of Mokik (木杙) installed in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s understood as 3 types. First, installing Mokik at the front of the moat, Second, installing it intensively at the center of the moat, Third, installing it at the edge of Coastal stone structure. The overpass facilities for entrance to the town is confirmed. This overpass part is an important stricture to enter into the castle, given that it is for entering an enemy castle beyond the moat, and it can be thought to have been a easily-recoverable wood bridge rather than a stone using sturdy overpass facilities. Looking at the above phases, the moat in Coastal Town Castle, Mokik in the moat, Coastal stone structure and overpass part as a passage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in studying on coastal town cast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남해안 연해읍성의 雉城 小考 : 河東邑城의 치성을 중심으로

        李日甲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7 文物硏究 Vol.- No.11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Chisung, 雉城) at a town castle located at a small town along the coast waters of the south sea were representative fortifications, which were built as a set of structures and a town castle's subsidiary facilities along with impregnable protective castle walls, castle gate grounds, moats, and lower defensive and offensive walls built on top of a castle(Yeojang, 女墻)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o those data is re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fortifications at the coastal towns of the south sea at that time. In case of Gyeongsang-do, there existed town castles built in a location where provincial higher administrative units along with Daedohobu(a kind of local administration, 大都護府) and barracks at Gyeongju, Gimhae, and Changwon, and the town castles showed a difference in size from other town castles belonging to the lower administrative units by one point five to two times. These aspects show that the higher level the administrative units, the mor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and besides, at the town castles having barracks and naval barracks, the much larger number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he town castles were planned and built in comparison with other town castles built at general counties or prefectures. The basic numerical value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own castles was divided into 6-site-location and 12-site-locati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other words, the two type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as follows; the 6-site-location consisted of four fully-grown bulls and two right-left symmetrical castle forms at the main gate site ; the 12-site-location consisted of four fully grown bulls with two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respectively at the left and right of main gate site. Therefore, the fact that more than 12 location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built proves that the Joseon people fortified their defensive facilities to protect town castles from the Japanese pirates at that time who frequently committed provocative acts especially at th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Joseon people's fortifications project once centered on Hasam-do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urned its most emphasis on the coastal areas of Gyeongsang-do, i.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Among the coastal town castles, inland town castles and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Youngjin Castle(營鎭堡城) was the square type ground plan used for building for the longest time and the next was a rectangular-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and the last was a rectangular form. It is found that in the former times on King Sejong's 15th year ruling period(1433), there had been a lot more frequencies of a rectangular square with almost the same ratio of length over width, which was used either by Naesangseong where barracks and town administration commonly co-existed or by town castles built in the higher level unit towns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Next, from after the 15th century through the 16th century, the ground plan for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as mainly a regular square and a rectangular; in contrast,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diminished or extinguished. Likewise, in case of naval forces Youngjin Castle built before and after the 15th century, the regular square had been a main-stream, and such convention was passed through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periods to the later period of Lee's Dynasty. In addition, in King Sejong's 15th ruling period(1433), rules and forms for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own castles were applied, and accordingly,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were built; however a square form and a rectangular form were also continuously used in buil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Besides, in case of rectangular formed castles, it is found that it had been longer used than the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and also the standard for building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wasn't observed well at that time. Up to this time,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fact that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had various ground plans with different length and width in the same town castle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and the length of periods for castle construction. However,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built with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castles to serve mutually supplementary functions and that's why a square, a rectangular, and a rectangular-base-with-narrow-flat- upper-section form were used together in buil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inland town castles in Youngnam District including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 construction was done with width and length decided by its surrounding geological condition or castle circumference and in case of Youngjin Castle-the higher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mmand system, it had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built with a greater length and width. Next, the five-meter length standard[which was the established rules and forms at that time] of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usually observed and they were built near th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In addition, such rules and forms of five-meter are found in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Youngjin Castle built during King Sungjong and Jungjong periods and the same with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later built Dongrae town castl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rules and forms of five-meter-long measurement had been observed continuously through the whole periods of Jeosun Dynasty. Therefore, coastal town castle built along the south sea areas, as indicated in case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use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in their numbers and size of defensive facilities inclu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districts' during the same periods, which fact proves that the coastal areas along the south sea, due to military function as a strategic stronghold against Japanese pirates invasion, were under strict castle-construction control from the government, thus consistently carrying out with castle-construction project.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은 읍성에 축조된 대표적인 방어시설로서 甕城門址, 垓字, 女墻과 더불어 조선시대 읍성 부대시설에서 세트로 축조되고 있어 남해안 연해읍성의 방어시설의 구조와 축조수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경상도의 경우 경주, 김해, 창원 등의 대도호부와 병영이 설치된 상위 행정 단위 및 군대의 상급지휘체계의 지휘관이 위치하는 곳에 축조된 읍성이 하위 행정단위의 읍성에 비해 치성수가 1.5배 내지 2배가량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행정단위가 상위 일수록 치성이 증가하며 또한 병영 및 수영이 설치된 내상성일수록 치성의 숫자가 일반군현에 축조된 읍성 치성에 비해 많은 숫자로 계획되어 축조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읍성에 설치되는 치성의 기본적인 수치는 읍성의 4성우와 주요 문지의 좌우 적대를 갖춘 6개소의 형태와 4성우와 각 문지 좌우에 각각 2개소가 설치된 12개소의 두 가지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처럼 남해안지역의 연해읍성에 12개소 이상의 많은 치성이 설치되는 것은 왜구의 침구로부터 읍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시설의 강화에 따른 것으로 조선 전기의 하삼도에 집중된 읍성 축성사업이 특히 경상도 연해 즉 남해안 연해읍성의 축조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겠다. 남해안지역 연해읍성과 내륙읍성 및 영진보성 치성 가운데 정방형 평면플랜을 가진 치성이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축조 사용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방대형이 나타나고 마지막으로 장방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세종 15년(1433)을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에는 정방형이 훨씬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읍성은 공통적으로 병영과 읍치가 공존하는 내상성이거나 행정구역 단위 가운데 상급단위의 고을에 설치된 읍성들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5세기이후 16세기를 거치면서 치성의 평면플랜은 정방형과 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방대형의 형태는 쇠퇴하거나 소멸되고 있다. 또한 15세기 전후에 축조되는 수군 영진보성의 경우에도 정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선시대 전기에서 중기를 거쳐 후기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정방형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세종 15년(1433) 치성 축조 규식의 적용 이후에는 방대형의 치성이 축조되고 있지만 정방형과 장방형의 치성도 계속해서 축조되고 있다. 더구나 장방형 치성의 경우에는 방대형보다 오래기간 지속적으로 축조되는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방대형의 축조를 규식화한 축성방침은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을 비롯한 영남 내륙읍성의 치성에서 정방형, 장방형, 방대형의 치성이 혼용되는 이유는 치성 간에 길이의 차이를 두어 상호보완토록 하고자 함이다. 또한 지형적인 조건이나 성 둘레에 따라 너비와 길이가 정해져 축조되는 것과 더불어 상위지휘체계의 영진성 일수록 치성의 길이와 너비가 더 크게 축조되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의 길이는 비교적 5m라는 규식이 일정하게 지켜지며 축조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치성 길이 5m의 규식은 성종조와 중종조에 축조되는 영진보성의 치성에서도 일괄적으로 확인되고 있고, 17세기에 축조되는 동래후기읍성의 치성에서도 길이가 5m로 확인되고 있어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의 길이는 5m로 조선시대 전 기간 내내 계속적으로 지켜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은 치성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 치성을 비롯한 방어시설의 숫자 및 규모에 있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 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조선후기 동래읍성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이일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The fortified walls of fortresses built or remodele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including Dongnaeeupseong Fortress tended to be around three kilometers long. The technique used to build the foundations of the outer walls of this section is very different from that used to build the former section, i.e. a wooden foundation was laid first, followed by a layer of stones, after which the base and outer walls were built using flat stones and rubble. As regards the slope of the outer walls, an analysis of this section shows that they were slightly inclined at the bottom, but were upright at the top. This suggests that a new method of building outer walls had spread to local military and administrative footholds by the period in question, though only to a limited extent as it was not applied to fortresses for lower units of towns. The shape and size of bastions did not change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s for the moat,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moat and its outer walls is about 45 meters. The moat and outer walls were built in different periods, as shown by the painting of The Magistrate of Dongnae Welcoming Japanese Envoys. The moat in the section in question appears to be shallower than that of the earlier section, and the vestiges of bridges were found there. In fact, a number of wooden bridges were built over the moat in both sections, i.e. here and there in addition to places close to the gate. Furthermore, a total of 28 wooden spikes, some of which were driven into the bottom of the moat, have been found. The later section of Dongnaeeupseong Fortress differs from that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 terms of its structure, size, ancillary facilities, and so on. Thus, it is judged reasonable to view it as a typical fortress of that area, where a new construction method was adopted in the sixteenth century. 최근까지 이루어진 전기 동래읍성 고고학적 조사 결과 세종 28년(1446) 축조된 동래현성은 규모와 축조수법에 있어 조선 전기 연해읍성 성곽프로세스를 충실하게 이행한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반면에 1731년에 축조되는 후기 동래읍성은 구조와 규모, 체성 축조수법, 부대시설 설치유무 및 축조수법 등이 전기 동래읍성을 포함하여 조선 전기 연해읍성과는 다른 성곽프로세스가 확인되고 있다. 즉 다른 성곽프로세스는 우선 후기 동래읍성을 포함한 17세기 이후 축조 되거나 개축된 부목이상 읍성 성둘레는 10,000척을 상회하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 동래읍성 체성 기단 축조수법 역시 전기 읍성에서 확인되는 지정목 위에 잡석지정하는 수법과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또한 규형(圭形) 체성, 성석 그렝이질, 규격화된 가공성석을 사용하는 성곽축성프로세스는 “도성이어처” 뿐만아니라 후기 동래읍성에서도 확인된다. 이것은 임진왜란 이후 잔존하는 왜성에서 일정부분 영향을 받은 것은 확실하고, 그 이면에는 서양성곽에서 영향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17세기 이후 성곽프로세스 신경향이 군사적, 행정적 상위단위인 부·목(府·牧) 등에 확산이 일부 이루어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향의 적용은 일부 상위 행정단위에 한정적이었다. 규모와 형태로 볼 때 후기 동래읍성 치성 중 방형치성은 조선시대 전기간 동안 계속 축조된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후기 동래읍성 체성과 해자사이 거리가 45m로 확인된 것은 해자와 체성 축조시기 차이에 기인한 것이며, 동래부사접왜사도(東萊府使接倭使圖)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후기 동래읍성에 해자가 축조되지 않거나 혹은 전기 동래읍성 해자를 배수로로 사용하였다는 견해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후기 동래읍성 해자는 조선 전기읍성 해자보다 깊이가 얕고 해자 내 교량시설 하부구조가 확인된다. 또한 전기와 후기에 걸쳐 성문 주위뿐만 아니라 곳곳에 목재교량이 설치되어 있다. 후기 동래읍성 해자에서 목익 흔적이 확인되어 조선 후기에도 계속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후기 동래읍성은 조선 전기 읍성과 비교하여 구조 및 규모, 부대시설 등에서 그 유형을 달리하는 것으로 16세기 이후 조선 성곽 축조 신경향이 도입된 지역거점성곽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17세기 전후 지방성곽 축성에 대한 연구

        이일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3 石堂論叢 Vol.- No.85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made few systematic efforts to reinforce the defenses of its three southern provinces against Japanese pirat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at part of its defense strategy related to fortress structures and fortification techniques. Despite the general tendency, some parts of Hanyang Fortress and other fortifications in and around the capital of Joseon, defensive facilities built to protect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eupseong), fortresses built to defend strategic places (yeongjinboseong), and mountain fortresses built as wartime shelters (sangseong) show the structures and techniques of a fortification architecture that was newly introduc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new features were characteriz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olygonal masonry (grengi gongbeop) technique to the outer part of a curtain wall, and the standardization of square and rectangular stone block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fortifications. Other new features included the installation of “root stones” (geunseok) in the foundations of outer walls and the adoption of battlements designed to enable the effective use of small firearms. Another notable feature of the fortifications built in this period was the construction of outer walls that sloped outwards, show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fortification architecture. During this same period Joseon also tried to exploit certain fortifications which the invading Japanese forces had built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ner walls of Joseon fortresses, the core-and-veneer method was applied to all types of fortifications, while in some rare cases bricks or tiles were used rather than untrimmed stones. Some of the fortifications built around the seventeenth century also had semicircular “jar walls” that proje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 while the fortifications built to defend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s had a “cylindrical path” (yongdo) that linked an outwork with the main part of the fortification. A classic example of the yongdo can be seen at Namhansanseong Fortress, which was used as a refuge by the royal family of Joseon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se new architectural features were mainly adopted at fortifications built to protect major provincial administrative units such as “Dohobu” and “Mok”, rather than lower administrative units such as Gun (i.e. county) and Hyeon (i.e. prefecture). The use of bricks and/or tiles was also limited to fortifications that performed special functions, such as the Outer Fortress in Ganghwa and Hwaseong Fortress in Suwon, and, though rarely, to the battlements of a limited number of prefectural fortifications (eupseong). However, the popularity of bricks and tiles as fortification building materials did not last long, largely due to economic reasons and their poor durability compared with stones. The jar wall and cylindrical path were also used for a limited number of mountain fortresses (sanseong) built to defend strategically important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Other distinctive features of fortification architecture that were introduc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but failed to spread nationwide include the arched gate, the post-and-lintel system, and a modified type of arched gate. In conclusion, the new trends of fortification architecture adopt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uld not be introduced across the entire country for a number of reasons. For example, unlike in the early phase of the Joseon dynasty, no major state-financed fortress construction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due to the inability of the ruling class to bear the financial burden of the high wages that would have to be paid to the builders of fortresses. Furthermore, there was a general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defense following a prolonged period of peace, while the development... 17세기 전후 조선의 국방전략이 하삼도 왜구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시설물 신축은 물론 새로운 성곽 구조 및 축조수법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한양도성과 주변 성곽과 지방 읍성 및 영진보성, 산성의 일부에서는 이러한 양상과 달리 17세기 전후 새롭게 도입되는 성곽의 구조와 축조수법이 적용되었다. 이 성곽축성 신경향으로 체성 외벽면석의 그랭이공법 채용 및 방형 성곽석의 규격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체성 외벽기단부에 근석 설치, 체성 여장 구조가 소화기 사용을 위한 총안 형태 다양화로 발전한다. 체성 외벽 축조는 16세기 이전에 비하여 체성 경사각의 사선화가 채용되고 이것은 임진왜란 시 축조된 왜성의 영향에 기인한다. 아울러 왜성 재활용도 일부 이루어진다. 내벽 축조는 외벽석축내탁식축조수법이 모든 유형의 성곽에 적용되고, 일부이지만 전석이 사용된다. 체성 외벽 하단부에는 반원형치성유구가 축조된다. 지방거점산성 등에서는 본성에 덧붙여 용도가 재설치되는데, 17세기 초, 남한산성 등에서만 설치되는 것이 지방거점산성에서도 설치된다. 특히 이러한 성곽 축성 신경향은 행정위계상 도호부, 목 등이 설치된 지역에 한정하여 적용되었고 하위단위 군현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체성에 전석을 사용하여 축조한 것 역시 강화외성과 수원화성을 비롯한 일부에 한정되었고, 읍성 등의 성루 앞쪽 치첩에 사용되었으나 짧은 기간에 유행하였다. 이러한 것은 경제적인 이유 및 내구력이 석재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에 기인하였다. 또한 17세기 전후 성곽 축성에 축조되는 용도, 반원형 치상유구 등도 지방거점산성 내 영진이 설치된 곳에 축조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여타 성곽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행정구역인 부목군현 가운데 부목 지역 치소성 및 지방거점산성의 정문인 성문을 중심으로 홍예식 및 평거식과 변형 홍예식으로 개축되었으나 전국적인 축성공역으로는 이어지지 않은 듯하다. 따라서 17세기 전후 성곽 축성의 신경향이 조선 전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한 한계성을 드러낸 것은 조선 전기와 같은 중앙집권적 대규모 축성공역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 조선 전기와 달리 축성에 동원되는 인력에 대한 임금 지불에 따른 국고 고갈에 대한 지배층의 부담, 오랜 평화기로 인한 국방력 강화에 대한 인식 약화, 화약무기 가운데 소화기의 발달 및 소화기로 무장한 소총병 위주 군편제에 기인한 성곽무용론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남해안지역 조선시대 영진보성에 대한 일고찰

        이일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1

        Coastal Fortress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defense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Eup fortress near sea.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astal Fortresse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dividing it into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Coastal Fortresses as well as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astal Fortresses Stadium was used during the early 15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 during the mid-seventh century, and the outer walls we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In addition, although some Coastal Fortresses were constructed using the method of building stairs inside the body section and the private staff member system, most Coastal Fortresses was constructed with the method of building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s and installation of auxiliary facilities are not confirmed in Coastal Fortresse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astal Fortresses which belongs to the private sector of the army and Susugun in Gyeongsang Provi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Imperial City, which is located in Tongjeyeong Fortress, the remaining techniques of reuse and construction can be found in the installation of the Western army, the expansion of horizontal fleet,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and some dwarf systems. Coastal Fortresse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s found to have maintained or left the body parts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남해안지역 조선시대 영진보성은 연해읍성과 더불어 조선시대에 국방체계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관방유적이다. 이러한 영진보성을 조선전기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축조수법으로 보다 세분하여 영진보성의 축조수법을 3단계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서 영진보성 체성부 축조수법은 조선전기인 15세기 초와 조선중기 17세기에는 장방형, 방형의 외벽면석이 사용되었고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사이에는 입수적한 장대석의 외벽면석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체성부 내벽 계단식 축조수법, 사직선 기단 등이 일부 영진보성에서 축조되었으나 대부분의 영진보성은 외벽석축내탁식 축조수법으로 축조되었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는 국방체계의 변화에 따른 축조수법 및 부대시설 설치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선시대 후기에도 경상도지역 육군․수군 절도사영에 소속된 영진보성의 축조수법에는 큰 변화를 발견할 수 없다. 다만 수군 통제영이 소재한 통영성의 경우에는 포루의 설치와 성석 크기의 규격화 및 수평기단, 각종 부대시설의 확충, 일부 왜성의 영진보성으로 재사용과 축조수법이 잔존하고 있어 조선 후기에 서양과 명, 일본 등에서 도입된 성곽축조기술에 영향을 받아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은 조선전기에 축조된 체성부를 그대로 유지 보수하거나 퇴락한 상태로 방치한 것으로 파악되어 15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체성부 축조수법은 일관되게 유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