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전 2차 계통에서 아민의 pH 제어 특성 연구

        이인형(Rhee In-Hyoung),안현경(Ahn Hyun-Kyoung),박병기(Park, Byung-Gi),권혁준(Jun, Gwon-Hyuk),송찬호(Ho, Song-C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8

        최근 경수로형 원전 2차 계통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수처리제를 암모니아에서 에탄올아민으로 전환하였으나, 적용 후 복수 및 저압급수가열기 영역에서의 pH가 감소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pH 제어제로 사용 할 수 있는 아민을 조사하였다. 대체아민 조사 결과 최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일 아민은 존재하지 않았다. 암모니아는 상대휘발 도가 높아 증기에 많이 분포되어 증기 응축수인 복수에서 pH가 높으며, 상대휘발도가 낮은 에탄올아민은 습증기 영 역의 pH를 높여 유체가속부식을 억제하므로 증기발생기 철 슬러지 유입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복수 및 저압급수계통에서 pH가 높은 암모니아와 습증기영역의 유체가속부식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한 에탄올아 민(ETA)을 혼합 주입하는 복합아민을 선택하면 2차 계통 재질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증기발생기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H control agent in PWRs, to insure the integrity of steam generator, was changed from ammonia to ethanolamine(ETA) which decreased pH at condensate system and low pressure feedwater heater drain system, so that several amines wer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amine. There was no single alternative amine to meet the optimum condition. The more volatile ammonia provides the higher pH in condensate, while the less volatile ETA increases the pH in wet steam area. Thus, the combined amine of ammonia and ETA is able to equally raise the pH in both region so that the flow accelerated corrosion be reduced in the every system of the secondary side and the integrity of steam generator be also improved in pressurized water reactors (PWRs).

      • KCI등재

        Buffer Intensity of Ammonia and MPA in Water-Steam Cycle of PWRs

        이인형(Rhee In-Hyoung),안현경(Ahn Hyun-K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아민(암모니아 또는 MPA)은 가압경수로 원전 2차측 부식을 방지하는 최적 pH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지 않는 물-증기 순환 영역에서 모든 아민은 평형상수에 따라 2차측에서 서로 다른 pH를 나타낸다. 부식 제어에서 pH는 유일한 인자가 아니므로 두 번째 변수, 즉 불순물의 유입 또는 부식 반응으로 인해 H+가 추가되거나 제거 되었을 때 안정된 pH를 지속하는 능력인 완충세기의 고려가 필요하다. 온도를 고려한 완충세기는 2차측 최적 pH 제어제 선정과 유체가속부식의 특징을 기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PWRs의 전체 운전범위에서 암모니아와 MPA의 완충세기를 조사하였다. 낮은 온도(25~100℃)에서는 암모니아 그리고 높은 온도(150~250℃)에서는 MPA가 부식 억제를 위한 충분한 완충세기를 나타내었다. 완충세기 측면에서, i) 최적 pH 제어제 pH 범위는 pH(T)- 1 ≤ pKa(T) ≤ pH(T) + 0.5, ii) 아민 용액은 부식 억제를 위해 충분한 완충세기(β)를 가져야하 고, iii) 최대 유체가속부식은 βB/β 비율이 최저인 온도에서 최대를 나타낸다. Amines, ammonia or 3-methoxypropylamine (MPA), are used to maintain the optimized pH for the prevention of corrosion in the secondary side of Pressurized Water Reactors (PWRs). They are differently dissociat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hich is not same in each location of the water-steam cycle. pH at the operation temperature depends on temperature of fluid and equilibrium constants of water and amines. Thus, every amine provides the different pH in the entire secondary side so that pH is not only the sufficient parameter in corrosion control. The secondary parameter, i.e., buffer intensity, is the ability to maintain a stable pH when H+ are added or removed due to the ingress of impurities or the reaction of corrosion. The buffer intensity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best pH control agent for secondary side a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reason why the flow-accelerated corrosion(FAC) rate may demonstrate the bell-shape curve over temperature. The buffer intensities of ammonia and MPA were reviewed over the entire operation temperature of PWRs. The sufficient buffer intensity is provided for the inhibition of corrosion by ammonia in low temperature (25~100℃) and by DMA in high temperature (150~250℃). In terms of buffer intensity, i) the best pH control agent is an amine with pKa(T) range of pH(T)- 1 ≤ pKa(T) ≤ pH(T) + 0.5 and ii) the amine solution should have sufficient buffer intensity, β to inhibit corrosion, and iii) FAC rate may be maximum at the temperature, where βB/β ratio is lowest.

      • KCI등재후보

        복합아민 적용에 따른 원전 2차 계통 부식생성물 거동평가

        정현준,이인형,김영인,JUNG, Hyunjun,RHEE, In Hyoung,Kim, Young In 한국압력기기공학회 2014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Vol.10 No.1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water treatment of pressurized water reactor secondary side by the mixed amine of ammonia and ethanolamine, from the standpoint of corrosion control, as compared with all volatile treatment of ammonia.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 systems have switched a secondary side pH control agent to minimize the corrosion in the moisture separator/reheater and feedwater heater systems and the transport of corrosion products into steam generator. As results of field test, pH was increased in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et steam area of moisture separator/reheater and the concentration of Fe were decreased by more than 50% as compared with water treatment of ammonia.

      • 수분 회수에서 염의 효과

        윤형준(Yoon Hyoung Jun),이인형(Rhee In Hyoung),안현경(Ahn Hyun Kyoung),정현준(Jung Hyun-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중수승급기 충진재의 부식원인인 염분 유입 및 열분해로 인한 산화물 형성 과정 조사를 위해 zeolite의 열분해 및 염분 유입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원자력 발소의 dryer 모사 장치를 만들어 열분해 특성 조사 실험을 하였다. zeolite 열분해 특성 조사 결과 zeolite에 고온의 증기를 통과시키면 가수분해가 일어나 구조가 바뀌게 되며, 500~700℃에서 완전히 열분해 된다. 그리고 열분해가 일어난 zeolite에 염분이 유입되면, zeolite의 H⁺와 염분의 Na⁺ 가 자리바꿈을 하게 되고, 수중에 H⁺ 와 Cl⁻ 가 존재하여 HCl이 형성될 것으로 조사되었고, 실험 결과 pH가 4.5, 4.53, 4.72, 4.64, 4.86, 5.03, 4.61로 낮게 측정되었다.

      • KCI등재

        온도의 영향에 따른 니켈페라이트의 입자 크기 분포 연구

        안현경(Ahn Hyun-Kyoung),이인형(Rhee In-Hyoung),정현준(Jeong Hyun-Jun),박병기(Park, Byung-Gi)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6

        PWR 정지화학 조건에서 모사실험하여 니켈페라이트 입자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농도가 Li 0.1 ppm, B 2000 ppm인 모사실험 용액의 온도는 300 ℃에서 0.625 ℃/min의 비율로 150 ℃까지 감소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150 ℃를 유지하였고 이때의 압력은 2500psi 이하로 유지하였다. 수소 농도 5, 15, 25 cc/㎏ H₂O 일 때 온라인으로 입자 분포를 측정하였고 용해된 니켈 농도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온도 감소 시 세 가지 수소 농도일 때 모두 총 입자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온도가 감소하고 일정하게 유지될 때 입자는 작아졌다. 입자 크기 분포 변화의 정도는 H₂ 15cc/㎏ H₂O 일 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니켈 이온의 농도는 온도가 감소하고 수소 15 cc/㎏ H₂O 일 때 증가하였다. 이 결과 니켈 페라이트는 온도 변화 시, 수소 15 cc㎏ H₂O 일 때 불안정 한 것으로 보여 진다. The particulate behaviors of nickel ferrit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simulated PWR shutdown chemistry conditions. Temperature of the simulated water with concentration of 0.1 ppm Li and 2,000 ppm B was dropped from 300℃ to 150℃ with a rate of 0.625 ℃/min and then constantly maintained at 150℃ under the pressure of 2,500 psi. The on-line particle counting and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nickel dissolved were performed under 5, 15 and 25 cc/㎏ H₂O dissolved hydrogen.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otal particle count in the simulated water was not greatly changed for three hydrogen concentrations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However, particles were smaller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then maintained constantly. The degree of variation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greater at 15 cc/㎏ H₂O dissolved hydrogen than any other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s. Concentration of nickel ion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was higher at 15 cc/kg H₂O dissolved hydrogen than any other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s. Theses results show that nickel ferrite is unstable with temperature variation and at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of 15 cc/㎏ H₂O.

      • KCI등재

        퇴적토에 담지된 금속 및 탄소전극에 의한 전기 생산 특성

        송형진(Song, Hyung-Jin),이인형(Rhee In-Hyoung),권성현(Kwon, Sung-Hyun),조대철(Cho, Dae-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2

        철, 황동, 아연, 구리 등 금속과 탄소섬유를 양전극으로 한 해양 퇴적물 전지를 구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알 아보았다. 금속 전극으로는 철, 황동, 아연, 구리판과 탄소전극으로는 graphite felt가 사용되고 환원부 전극은 graphite felt로 하였다. 해안 퇴적토에 서식하는 미생물군에 의해, 또는 빠른 금속 부식반응에 기초한 산화작용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고 아연/철 전극에서 최대전류가 7.7 A/m2, 철 전극에서 최대 6.9 W/m2 의 전력밀도가 형성되었다. 탄소 천을 감싼 복합금속전극 시험결과 금속전극만 사용한 경우보다 전기특성이 60%정도 향상되었고 이는 미생물 증식과 부식 에 의한 산화피막 형성이 지연된 결과로 여겨진다. 산화전극부의 ORP는 실험시간 내내 일정하였으며 구리전극 사용 시 유기산 형성으로 추정되는 약한 pH 강하가 일어났다. 전극부와 전해질 부분의 전기저항을 계산한 결과 전기 생 산의 주 영향인자는 부식반응 조절과 미생물의 전자 이전활성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ne-chambered sediment cells with a variety of anodic electrodes were tested for generation of electricity. Material used for anodes was iron, brass, zinc/iron, copper and graphite felt which was used for a common cathode. The estuarine sediment served as supplier of oxidants or electron-producing microbial habitat which evoked electrons via fast metal corrosion reactions or a complicated microbial electron transfer mechanism, respectively. Maximum power density and current density were found to be 6.90 W/m2 (iron/zinc) and 7.76 A/m2 (iron), respectively. Interestingly, copper wrapped with carbon cloth produced better electric performance than copper only, by 60%, possibly because the cloth not only prevented rapid corrosion on the copper surface by some degrees, but also helped growing some electron-emitting microbes on its surface. At anodes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ORP) was kept to be stationary over time except at the very initial period. The pH reduction in the copper and copper/carbon electrodes could be a sign of organic acid production due to a chemical change in the sediment. The simple estimation of interfacial, electrical resistances of electrodes and electrolyte in the sediment cell that a key to the electricity generation should be in how to control corrosion rate or microbial electron transfer activity.

      • KCI등재
      • 다양한 수화학 조건에서 ETA의 열분해 특성 평가

        정현준(Hyunjun JUNG),이인형(In Hyoung RHEE),김영인(Young 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은 물/증기 순환 계통으로 계통재질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아민을 이용하여 계통수의 pH를 약염기성 상태로 유지하고 탈산소 및 환원성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아민은 유기화합물로 열분해 반응, 산화분해 반응 및 촉매분해 반응 등에 의해 다른 아민 및 유기산으로 전환되며, 생성된 유기산은 물보다 상대휘발도가 낮아 증기발생기 내부에 농축되어 양이온 전도도 증가 및 pH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운전조건에서 pH 제어제인 에탄올아민의 열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 Pt 나노입자의 탄소강 침적특성

        정현준(Hyunjung JUNG),이인형(In Hyoung RHEE),강신영(Sin-young Kang),김영인(Young-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 수화학 조건에서 Pt 나노입자의 탄소강 침적특성을 조사하였 다.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은 탄소강 배관의 유체가속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계통수의 pH 및 ECP와 같은 수화학 인자를 제어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유체가속부식은 발생하고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되어 건전성을 훼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t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탄소강의 산화피막을 개질, 탄소강 배관의 유체가속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Pt 나노입자의 탄소강 침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Pt 나노입자는 탄소강 표면에 나노입자 크기를 유지하며, 균일하게 침적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