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이탈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적응스트레스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이인숙,박호란,박현정,박영혜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4

        본 연구는 북한 이탈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적응스트레스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파악하고 대상자들의양육행동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추후 북한이탈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간호 중재를 모색하기 위해 2009년 8월 13일부터 11월 27일까지 하나원에 입소한 105명의 어머니들을 대366 이인숙∙박호란∙박현정 외 1인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6(4), 2010년 10월북한 이탈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과 양육 효능감, 적응스트레스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6(4), 2010년 10월367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양육 행동’은 아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또는 비난, 부정적 감정표현, 적대적 훈육, 무시와 같은‘거부/제재’의 행동이 가장 많았다. 둘째, 양육효능감에서는 대상자들이 부모 역할에 대해 인식은잘하고 있으나 부모 역할에 어려움을 느끼는 항목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적응 스트레스는 하위 영역별로‘지각된 적대감’이 가장높았으며,‘ 향수’가 가장 낮았다. 넷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중등도이상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이 79.5%였으며, 대상자의 75%에서 증상이 3개월 이상지속되었다. 다섯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온정수용형 양육행동은 양육효능감, 문화충격과 두려움, 기타 적응스트레스 및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약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북한 이탈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이 그들 자녀를 건강하게 성장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추후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하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양육행동은 어머니들의 인지만으로 평가했으나, 추후 북한이탈 어머니 및 아동이 인지한 양육행동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평가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북한이탈 어머니들의 양육행동과각 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논의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셋째, 북한 이탈 어머니들이 양육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필요로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이인숙,Lee, In-Sook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1 No.1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

      • KCI등재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인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10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otel workers' healh statu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1 randomly selected servers from a hotel located in Seou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OVA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Tukey’s post hoc), multiple regression were done with the SAS(Version, 9.01) program. Results: The health status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occupation. The health status and the subordinate concepts such as social function, role limitation-physical and bodily pai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 status of foods & beverages workers were emotional labor, physical 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In culinary, they were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the experience of seeing a doctor. The workers in room-service were affected by experience of quitting. Conclusion: To improve health status of the hotel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physical environment,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e enhanced. As the frequency of seeing the doctor affected their health status,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and systematic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과 건강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한 호텔에서 임의 표집하였으며 총 261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AS(Ver. 9.0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X²-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Results: 직종별 건강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사회적 기능, 신체적 역할제한, 통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음료 종사자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 물리적 환경,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었고, 조리종사자들은 직무만족도, 외래방문 경험이었다. 객실종사자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직경험이었다. Conclusion: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음료 종사자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고 감정노동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을 높일수 있는 방안과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외래방문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 지역 법과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과의 관계

        이인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본 연구는 법과대학에서 법학 전공과목을 수강중인 2학년 법과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136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13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안전의식은 4.17점으로 비교적 높은데 반해 안전행동 실천은 50.46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소방안전행동 실천은 성별과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의식은 안전행동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차 미래의 주역으로서 법학을 전공하여 안전한 정의사회 구현을 담당할 인재로 성장하게 될 법과대학생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파악해 보았으므로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들 대학생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practice of junior law students in an univers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ness between them. The subjects were 135 majored law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subjects was as high as 4.17 points, on the other hand, practice of safety behavior was moderate with 50.46 points. Fire prevention ac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afety behavior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safety related education for law students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order to promot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behavior practice.

      • KCI등재후보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인숙,조광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만 5세 된 자폐유아를 대상으로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 다차원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하여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긍정적 행동지원에서 강조하고 있는 환경적 사건의 제거나 수정을 통해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대체행동의 교수 및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반응의 유도와 같은 포괄적인 행동지원 전략이 중점적으로 적용되었다. 기초선과 중재, 유지기간의 행동관찰을 통해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방법을 적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행동지원은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 모든 환경에서 대상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 환경에서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고, 유아의 여러 주요 환경에서 팀 접근 중심의 다차원적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을 해결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home, kindergarten, and community settings on problem and appropriate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autism who engages in challenging behavior. The child's mother,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jointly conducted a series of functional assessment and developed a comprehensive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implemented in the home, classroom, and neighborhood play ground for three months. To investigate intervention effects, this study employ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showed that getting attention and preferred items were positive reinforcers that served as functions of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 However, the child engaged in higher levels of challenging behavior during transition periods and non-preferred activities than during preferred activities. Before the intervention was introduced, the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that were provided by the researchers. They were instructed on the principals, assumptions, procedures, and method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fter the baselines were established, daily intervention was applied in each setting. During the intervention, a multicompon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were applied according to antecedent and consequent variables that trigger and maintain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Alternative communicative behavior skill instruction was also instructed to replace challeng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multi-set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appropriate behaviors and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 of the chil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이인숙,이미형,김희경,박정숙,손지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10월 6일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K 지역 소재 1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1,6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Chi-squ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자가진단척도(I-GUESS)는 고위험군이 6.1%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S-scale)는 잠재적 위험군 10.1%, 고위험군 0.8%로 나타났다. 인터넷 게임 및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신체적 문제는 36.0%가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눈의 피로가 20.4%로 가장 높았다. 정서적 문제는 18.5%에서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분노가 6.8%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문제는 21.8%가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부모와의 갈등이 10.3%로 가장 높게 보고되었다. S-scale 점수와 I-GUESS 점수에 따른 주 사용 콘텐츠를 조사한 결과, S-scale 점수와 I-GUESS 점수가 높을수록 중계방송콘텐츠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GUESS와 S-Scale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I-GUESS와 S-Scale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I-GUESS 점수가 고위험군 일수록, S-scale의 고위험군 비율도 높게 나타났으며, S-scale 점수가 고위험군 일수록 I-GUESS 점수의 고위험군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변수를 고려하여 예방의 관점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및 부모 교육 컨텐츠 개발이 시급함을 제언코자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Internet game and smartphone usage statu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6 October 2018 to 30 September 2019, and 1618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GUESS rating was 6.1% in the high-risk group, and, the S-scale ratios were 10.1% for the potential-risk group and 0.8% for the high-risk group. Physical problems related to Internet games and using smartphones were experienced by 36.0% of the students, with eye fatigue being the highest at 20.4%. Emotional problems were found in 18.5% of the students, with anger being the highest at 6.8%. Social problems were experienced by 21.8% of the students, conflicts with parents being the highest at 10.3%.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main content based on S-scale and I-GUES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scale ratio and the I-GUESS rating, the more broadcast content was used. The correlation between I-GUESS rating and S-scale ratio showed that the higher the I-GUESS rating, the higher the S-scale ratio, and the higher the S-scale ratio, the higher the I-GUESS rating.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preventive perspectiv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과 공동체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이인숙,송민선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1

        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alism is important for providing quality nursing care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and adapting to changing roles in a range of situ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on nursing professionalism for nursing student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160 students in a nursing department of university in D city was used in June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was above the middle level and differed according to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activity continuity significantly.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 sense of community (r=.47,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r=.51, p<.001).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a sense of community (p<.001)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p<.001); this model could explain 37.9% (F=20.38, p<.001). Therefore, nursing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a range of activities linked to their field, nurture a sense of community, and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help build pride as a nurse and establish nursing professionalism.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양질의 간호제공과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 정립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공동체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6월 D광역시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 재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6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봉사활동 동기, 봉사지속성 여부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은 차이를 보였다. 봉사활동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r=.47, p<.001), 간호전문직관과 봉사활동 만족도는 정상관관계를 보였다(r=.51, p<.001).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동체의식(p<.001), 봉사활동 만족도(p<.001)로서 이들의 설명력은 37.9%였다(F=20.38,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에게 전공분야를 연계한 다양한 봉사활동에 대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며, 봉사활동이 지속되도록 관리함으로써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간호사로서의 자긍심과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