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생태문화와 양생; 영성 생태론 : "살아 있는 지구" 가설의 철학적 토대

        이을상 ( Eul Sa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8 No.-

        영성이란 본래 어떤 사람의 내면적 성찰을 가리키는 정신적 태도를 가리키는 개념이고, 생태론은 인간이 자연환경과 관계하는 방식을 다루는 학문을 이르는 이름이다. 이와 같이 내면적 성찰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지구를 대하는 우리의 관계방식, 즉 인간이 자연을 억압하는 ‘지배의 윤리’가 아니라 인간을 자연의 한 구성요소로 보는 ‘동반자의 윤리’로 거듭나게 해 줄 것이라는 믿음이 곧 영성 생태론의 입론이다. 오늘날 전지구적 규모의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에 직면하여 자연 그자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보아야 한다는 새로운 반성이 생겨났고, 이에영성 생태론은 개인의 의식변화를 촉구하고 사회운동을 새로운 양식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강력한 느낌과 동기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 이른바 ‘녹색정치’ 운동과 ‘에코페미니즘’ 운동의 태동이 그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녹색정치나 에코페미니즘의 활동에 관해 언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들 생태운동은 생태적 인식의 위기에 직면하여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아래서 우리는 이러한 인식의 위기를 불러온 고전 물리학의 한계와 이 한계에 도전하는 현대 물리학의 특징(2장), 특히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의 근본 특징과 동양 신비주의 사이의 상보성에 의한 과학의 영성 파악(3장), 궁극적으로 이러한 영성을 드러내는 ‘살아 있는 지구’의 자기 조절 능력(4장)에관해 살펴본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iritual attitude that has influence upon natural ecosystem of the earth. This spiritual attitude reflects on the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is result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in the modern times, and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mpaign to keep the earth safe from ecological crisis. So this spiritual attitude helps us construct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n the ordinary life. To establish this attitude, we have to examine the limits of classical physic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hysics, especially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theory(ch. 2). And then we need to reflect on the relation between modern western science and classical eastern mysticism, especially Hinduism, Taoism, and Zen Buddhism(ch. 3). Finally we inquire into the self regulation ability of ``a living earth`` hypothesis(ch. 4), from which we think the spiritual ecology is well explained.

      • KCI등재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을상(Lee Eul Sa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uman, but today it becomes problematic whether an embryo is a human being or not. This argument has been raised by a rapid developing of biotechnology such as prenatal genetic screening, embryonic reproduction etc. In the biotechnology an embryo is surely not regarded as a human being, but only a living material. It can cause a deep moral injure to think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For human being is a person in the moral sense, and a person has been only thought that can make us live freely. At last we have human dignity, when we live as a person. But the thought that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which is conceived by P. Singer in his Practical Ethics(1991). Further more Singer criticizes a Kant's view of human dignity as a 'speciesm' in the basis of a concept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 historical origin of Singer's concepts,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firstly and a speciesm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Kant's view of human dignity nextly. I have also examined that Kant's concept of autonomy has to be substituted by 'self-disposability' in Singer's bioethical viewpoint, but Singer's viewpoint is also criticised by Sandel's 'ethics of genetic enhancement' lastly.

      • KCI등재

        도덕적 생명 향상의 도덕성

        이을상(Lee, Eul-Sang)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3 No.1

        오늘날 도덕 문제를 약리학적 ‘치유’ 개념으로 보는 도덕적 생명 향상은 새로운 접근법이다. 도덕적 생명 향상은 사회적 갈등을 시민사회나 국가의 범위에 한정하지 않고, 범지구적 문제로 확대시켜 본다. 이 범지구적 차원에서 생겨나는 갈등을 페르손과 사블레스큐(Persson and Savulescu)는 극단의 ‘치명적 해악’이라 부르고, 이 치명적 해악의 해소를 ‘절박한’ 도덕적 명령으로 진단한다. 하지만 이 명령의 주체가 ‘국가’라는 점에서 해리스(J. Harris)는 도덕적 생명 향상이 (국가에 의해) 강제된다면, 이 강제가 인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게 될 것임을 우려한다. 해리스에 따르면 인간성의 핵심은 ‘의지의 자유’다. 여기서 도덕적 생명 향상이 절박하게 요구된다는 페르손과 사블레스큐의 주장에 맞서 의지의 자유가 우선해야 한다는 해리스의 주장 사이에는 큰 괴리가 있어 보이는데, 이 괴리를 라킥(V. Rakic)은 향상의 ‘자발성’ 확보를 통해 메울 수 있다는 중재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는 도덕적 생명 향상에서 당위와 자유가 어떻게 조화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이 ‘도덕적 생명향상의 도덕성’ 논증의 핵심이지만, 이와 함께 우리는 (미래사회에 당면하게 될) 도덕 문제의 해결에 과학의 직접 개입이 가져올 가능성과 정당성 확보도 함께 모색할 것이다. The moral bioenhancement today, which sees moral problems as a pharmacological ‘healing’ concept, is a new approach. This is new because moral bioenhancement expands social conflict to a global problem, not to the civil society or the state. Conflicts arising at the global level are referred to by I. Persson and J. Savulescu as the ‘ultimate harm’, and they diagnose the resolution of this ultimate harm as a ‘urgent’ moral imperative. However, in that the commanding authority of this order is the ‘state,’ J. Harris fears that if the moral bioenhancement is forced (by the state), this coercion will seriously undermine humanity. According to Harris, the core of humanity is ‘freedom of will’ Here, there seems to be a big gap between Persson and Savulescu"s claim that moral bioenhancement is urgently required (by the state’s mandatory) and Harris"s claim that freedom of will should take precedence. In response, V. Rakic proposes an arbitration plan that can fill this gap through securing ‘voluntary’ of moral bioenhancement. The key to these sets of discussions is how to reconcile state coercion and freedom of will in the situation of moral bioenhancement. While this is the core of the argument for ‘morality of moral bioenhancement’, we will also seek to secure the possibility and legitimacy of direct scientific intervention in solving the moral problem to be faced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신경과학이 철학적 반성을 필요로 하는 까닭은?

        이을상(Lee, Eul Sa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신경과학은 심리학적 술어들이 뇌의 활동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이 지점이야말로 신경과학이 철학적 반성을 필요로 하는 대목이다. 여기서 철학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상기 시킨다. 우선 심리학적 개념(속성)들은 인간 전체에 귀속시켜야만 비로소 의미를 얻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뇌나 뇌의 부분들에 귀속시키는 것은 전혀 ‘무의미’ 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무의미가 만들어지는 논리적 오류를 ‘부분-전체의 오류’라 한다. 이렇게 오류가 생겨나는 까닭은 일찍이 데카르트가 인간을 마음과 신체로 구분하고, 심리적 속성을 마음에 배타적으로 귀속시켰는데, 이러한 데카르트의 오류를 신경과학자들이 무비판적으로 답습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적 오류로 인해 신경과학자들의 언어 사용 및 심리학적 용어는 논리적-문법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때 언어 분석의 틀을 제공해 주는 것이 비트겐슈타인의 일상 언어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이다. 이러한 철학적 해석과 달리 과학에서는 ‘환원’ 이 필수적인데, 철학은 또한 과학의 환원적 방식이 신경과학에서 이념화되는 것에 반대한다. 이렇게 신경과학에서 이념화된 환원주의가 일종의 ‘환상’임을 들어 우리는 신경과학의 인식론적 반성을 촉구한다. Neuroscience believes that psychological attributes can be well explained by neural activities of brain. This belief meets with strong philosophical criticism. In this regard philosophy reminds us of the following; A psychological concept(attributes) can only have a meaning when we ascribe it to man himself, but ascribing it to brain or a part of brain results ‘nonsense’. This nonsense is called a mereological fallacy. This is originated from neuroscientist’s uncritical reception of Descartes’s error, which is consisted in body-mind dualism, ascrib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mind. For such logical fallacy are language-usages of neuroscience and psychological terms needed logical-grammatical analysis. Here L. Wittgenstein’s semantic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guages supplies a frame of analysis. Unlik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reduction’ is requisite for science, but philosophy also objects to be idealized reductional method of science in neuroscience. Such a idealized reductionism in neuroscience can cause a kind of ‘illusion’. This is why we ask neuroscience to reconsider a philosophical(especially epistemological) reflection.

      • KCI등재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이을상(Lee Eul-Sang)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2 No.4

        인간의 몸은 생물학적 실체인 동시에 사회적 실체다. 그러나 몸은 역사적으로 독자적인 이해의 범주를 형성하지 못했고, 그 실존방식도 시대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근대 이전의 몸 이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심신이원론에 기초하여 몸을 마음에 종속된 일종의 도구나 수단으로 간주했지만, 서양에서 '인신보호법'(1679)이 신체의 구속에대한 제한함으로써 몸, 즉 생명의 문제가 독자적인 정치권력의 핵심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근대 정치운동은 생명을 권리의 문제로 한정시켜 본 한계가 있다. 생명 그 자체가 지향하는 자기 가치는 '건강'이고, 그 본래적 의미는 '생의학'의 차원에서 규정된다. 이러한 생의학적 배려의 시선을 국가가 장악함으로써 국가는 이제 몸 지배의 새로운 길, 즉 생명정치를 열어간다. 이에 우리도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정치에 관해 살펴본다. 먼저 푸코의 생명정치 틀 속에서 근대 임상의학의 성격을 규명하고, 다음으로 아감벤의 생명정치 틀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고찰한다. 나아가 이러한 생명정치의 이념을 오늘날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뇌사판정'이나 '안락사 논쟁'에 적용함으로써 생명윤리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국가에 의한 죽음관리에 초점이 맞춰짐을 논의한다. It is said that human body is a biological and social substance. But it has never formed the category of independently understanding of the body, so it's existence showed a different phase as the times changed. Before the birth of modern times, human body was only a mean or instrument which was subjected to mind, whose concept is originated from the body and mind dualism. That was as same in the western as in the eastern world. A living body was appeared on modern political movement as the core of political power, since Habeas Corpus Act(1679) had stipulated the prohibition of the restraint of human body without legal permission in the west. But the western political movement has a limit that interprets the problem of body only in virtue of human right. The self-value of life is 'health', which is prescribed in the viewpoint of biomedical level. And politics controls the care of national health, from which biopolitics begins. So we observe biopolitics of M. Foucault and G. Agamben. We explain firstly the character of modern clinical medicine in the framework of Foucault's view of biopolitics and then how Agamben sees the death-management in the nazi concentration camp. finally we discuss the problem of being transformed bioethical problems about death or dying into that of death-management by the politics, as we apply a biopolitical idea to the brain death decision and euthanasia disputing, which often occurs in our ordinary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행복의 조건 : 우리는 ‘어떻게’ 행복을 느끼는가?

        이을상(Lee Eul Sa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9 No.-

        행복은 일상생활을 통해 우리가 느끼는 쾌(기쁨) 외에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쾌의 탐구야말로 오늘날 심리학, 특히 긍정심리학의 과제이다. 이러한 심리학의 과제를 완수하려면, -덕의 실천과 별도로- 우리의 정서적 삶이 어떤 신경경로에 의해 이루어지는지를 해명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신경적 문제가 있는 사람(예를 들어 사이코패스, 우울증 환자 등)은 덕을 실천하고자 해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신경과학은 종래의 이성적 통찰로는 알 수 없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신경상태의 확인만으로는 결코 유덕한 삶에 이를 수 없다. 이러한 덕의 실천이야말로 도덕적 에토스 확립의 정점이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이성적 통찰을 통해 일어났다. 하지만 종래의 이성적 통찰과 오늘날 의지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정서적 삶 사이에는 분명히 간극이 있다. 이 간극의 해소 없이 행복을 추구한다는 것은 요원한 과제일 뿐인데, 여기서 심리학의 고민도 깊어진다. 그리하여 도덕적 실천과 신경과학적 사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야 하는 임무가 심리학에 새롭게 부과되지만, 이것은 심리학의 논의를 넘어선 (메타) 물음이다. 이 물음의 해명이야말로 오늘날 도덕철학의 -그것도 융・복합학적 접근을 통해서만 가능한- 새로운 주제화라 하겠다. Happiness is no more than a pleasant mental state that we can feel everyday. How to seek happiness is the key subject of positive psychology, for which we also need a clear neural system so that our emotional life can be accomplished. This is an issue in people with neural problems (such as psychopathy or hypochondria) as they can not achieve such emotional clarity. In this sense neuroscience is thought of as a new approach that can replace the traditional rational insight which has been aimed at completing a virtual life. But there is also a limit: we can not reach a virtual life with only a confirmation of our transitive state. A practice of virtue which our moral ethos aims at, has been a problem of rational insight. Here is a gap between our emotional life and our rational insight in which an anguish of psychology results. So a task we should combine organically is band between neuroscientific fact and ethical practice; a new addition to psychology. But unfortunately psychology can not solve this problem by itself, for it is a meta-question arising beyond psychology. Thus an explication of this meta-question is, I believe, a new theory of moral philosophy; one that can only be explored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후보

        트랜스휴머니즘의 윤리 - 도덕적 생명향상 -

        이을상 ( Lee Eulsang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35 No.-

        The technological optimism that technological progress can complete humanity lies behind the movement of transhumanism. As long as transhumanism is based on technological optimism, the voices that worry about the imperfec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destruction of human nature by (incomplete) science and technology will not stop. In this regard, transhumanists advocate human moral improvement. This means a radical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There seems to be no consensus between bioconservatives who raised the question of the destruction of human nature as a serious ethical problem and transhumanists who argue that human nature can be changed (improved) rather than left fixed and unchanging. We first clarify the issue of the biologists and trans-humanists(Chapter 2). Next, we examine the meaning of `moral` in the moral enhancement and the principle of double effect(Chapter 3). Finally, we will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nhancement which newly implies the ethics of transhumanism(Chapter 4).

      • KCI등재

        인공지능의 자율성

        이을상(Lee, Eul-sang)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최근 언론보도처럼 4단계의 완전 자동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된다면, 그것은 말 그대로 ‘자율 기계’가 거리를 활보하는 셈이다. 그러나 도덕성이 담보되지 않는 자율 기계는 한갓 ‘터미네이터’에 불과하다. 이러한 터미네이터에게는 행위자로서 지위가 인정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행위자의 지위란 오직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존재자에게만 부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스토피아를 염두에 두고, 우리는 먼저 인공지능에 도덕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능조건으로서 ‘전자인격’의 개념에 관해 알아볼 것이다(2장). 전자인격은 인공지능의 자율을 바탕으로 확립된 것이다. 인공지능 체계 내에서 자율성 증대는 도덕성의 향상을 불러올 것이다. 이에 우리는 자율성과 도덕성의 ‘상보적’ 관계에 관해 고찰할 것이다(3장).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도덕성 극대화는 마침내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설 것이고, 여기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결정을 인간의 도덕적 결정과 같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4장). 그것은 곧 인공지능이 도덕적 책무를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이로써 우리는 인공지능과 인간적 삶 간의 조화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As recently reported by the media, if the fourth level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s commercialized, it will literally be an ‘autonomous machine’ walking the streets. However, an autonomous machine without moral guarantees is nothing more than a “terminator.” For Terminator, the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moral agent is not recognized. The status of an agent is conferred only on beings acting morally. With this dystopia in mind, we will first examine the possible conditions for imparting morality to AI (Ch. 2). This is the concept of ‘electronic personality’. The electronic personality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utonomy of AI. On the other hand, increased autonomy leads to improved morality within AI systems. Accordingly, we will consider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morality (Ch. 3). The maximization of autonomy and morality of AI will eventually go beyond ‘anthropocentrism’, but the key here is to make moral decisions made by AI the same as human decisions (Ch. 4). This is possible by allowing AI to “learn” moral accountability. In this way, we believe that harmony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life can also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