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의 인식 차이: 대학일자리센터를 중심으로

        이은진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8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해외취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국가 차원의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 또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청년들의 국제 경쟁력 향상, 국가 이미지 제고 등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단순노동 업무, 저(低) 질의 일자리, 일자리 미스매치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에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면서, 특히 시행측과 참가측으로 나눠 서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석 및 비교해보았다. 분석 결과, 시행측에서는 세 가지 유형, 즉 정부지원⋅기업선택 중시형, 스펙⋅현지연수 중시형, 흥미적성⋅동기유발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참가측 또한 세 가지 유형, 즉 해외경험 중시형, 흥미적성 중시형, 진로적성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양측의 모든 유형이 공통적으로 동의하거나 부정하는 진술문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두드러지는 차이점으로, 시행측은 대체적으로 정부지원금의 중요성을, 참가측은 양질의 취업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tering into the 2000s, as overseas employment has risen, overseas employment programs at a national level have also been increased. It can be fair to say that those program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young people as well as enhancing the image of Korea in the world. Despite all those advantages, however, some problems have been revealed, mostly about poor-quality work and job mismatch between job seekers’ interest and job opportunities offered by the government’s program. With that said, this study has explored and compared what different thoughts stakeholders on the overseas employment programs have, in particular by dividing the respondents into two sides, providers’ and recipients’. According to the result, for the providers’ side, it has shown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recognition types: government support⋅company-type centered, background⋅on-the-spot training centered, and personal interest⋅motivation centered. For the recipients’ side, three types have also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overseas experience centered, personal interest centered, and career centered. Unfortunately, two sides have had no single similar factor but mostly had different opinions on the overseas employment program: particularly securing quality jobs.

      • KCI등재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이은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studie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on women. Previous studies about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s with new terms of ‘sexual self-assertiveness’ and ‘sexual self’ were examined in the context of several couple relationships. Researchers reported the correlation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s with dating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This study found that violating a person’s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produced bad results on woman’s mental health. The psychological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included the following: gender stereotype, dating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sexual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view, researches with the concept of a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were explained and enriched to a new term of specialized concept. Lastly,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

        이은진,오성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milia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 childcar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model. 205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ents were sampled.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study and validity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measure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familiarith with multicultural was found to include a typical understanding but their perception of its necessity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with i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efferences in parents' familiarity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or job nor with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한 설문지를 배부․회수한 후 205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부모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의 배경변인인 연령, 학력, 다문화 교육 경험 유무, 직업 및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다문화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유아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의 경험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역량접근과 헌법 ― 역량관점으로 본 기본권의 세 가지 이해를 중심으로 ―

        이은진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1

        본 논문은 인간의 다양성에 집중하며 다양한 환경에 처한 인간에게 실질적 자유(역량)를 향유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살피는 역량접근을 헌법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헌법에 대한 접근법으로서 역량접근을 누스바움의 이론을 중심으로 간략히 검토하고(Ⅱ), 기본권의 영역에서 역량접근이 강조하는 지점이 무엇인지 확인한 후(Ⅲ), 교육권에 대하여 그 적용(Ⅳ)을 살펴보았다. 역량접근은 다양한 개인적・환경적 차이를 가진 사람들이 실제로 선택하고 행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이론이다. 누스바움은 개인이 가진 능력에 그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정치적・사회적・경제적 환경을 더한 것을 결합 역량이라고 부르고 존엄성 있는 삶을 위해 핵심적인 결합 역량을 국가가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인간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가능성에 집중하는 것은 소수자 보호에 민감하고 평등과 사회보장 등의 영역에서 국가의 적극적 역할을 긍정하는 헌법적 접근법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누스바움의 이론을 직접적으로 헌법에 적용하는 것은 이론의 추상성 및 모호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여, 역량을 기본권의 구체화에 도움을 주는 권리의 목표 내지 내용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권을 통합적 기본권으로 이해하며, 기본권의 주체를 행위주체성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인간의 다양성과 삶의 맥락을 존중하는 관점과 함께 기본권 문제를 접근할 때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실제로 교육권에 적용하여, 교육권의 자유권적 측면을 설명하고, 행위주체성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교육권을 구체화하며, 교육권을 보장할 정책에 있어 교육권 주체의 다양성이 반영될 수 있는 방법인 참여를 강조한다. This paper is study aimed at utilizing the capabilities approach in constitutional law, which focuses on human diversity and examines what is necessary for human beings in different circumstances to enjoy substantive freedoms (capabilities). To achieve this, the paper briefly reviews the Capability Approach, centering on Nussbaum's theory as an approach to the constitution (Ⅱ), identifies key points emphasized by the Capability Approach in the realm of fundamental rights (Ⅲ), and examines its application to the right to education (Ⅳ). The Capability Approach is a theory that seeks to identify what is needed for individuals with various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to make real choices and take action. Nussbaum defines combined capability as the competence of an individual, complemented by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competence. She argues that the state must guarantee essential combined capabilities for a life of dignity. This focus on human potential suggests a constitutional approach that is sensitive to protecting minorities and affirming the active role of the state in areas such as equality and social security. However, this paper contends that directly applying Nussbaum’s theory to the constitution is difficult due to the abstractness and ambiguity of the theory. Instead, it suggests a way to understand capability as the goal or content of rights, which helps embody fundamental rights. This approach is particularly meaningful when viewing fundamental rights as integrated rights, considering the agent of fundamental rights as an entity with agency, and addressing fundamental rights issues with respect to human dignity and the context of individuals' lives. Applying this approach to the right to education, the paper explains the aspects of liberties in education rights, seeks to embody education rights to enhance agency, and emphasizes participation as a way to reflect the diversity of agents in policies guaranteeing educatio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