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랑스 미술과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이은적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4

        미술교육은 현대미술현상을 수용하면서 그의 다양하고 모호한 특성으로 교육 내용과 교수방법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이런 관점에서 프랑스 미술과 교육과정 연구에서 미술세계, 특히 현대미술과의 관계 속에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성되는 양상과 가능성에 대한 설명을 찾아보며, 아울러 변화되는 교과의 개념 및 특수성도 살펴본다. 프랑스 미술교육학의 활발한 연구는 현대미술이 안고있는 불명확성, 모호함에 침체되고 무력해지기보다는, 오히려 반전하여 그 특성을 미술교과 목표 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현대미술문화의 이해, 문제제기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자기 판단과 비평의식, 열린의식의 신장을 강조하면서 프랑스 미술교육은 미술교과의 특수성을 강조하면서, 따한 다른 교과에 상응하면서 일반교육목표에 접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 KCI등재후보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각문화의 교육 내용 및 목표 탐색

        이은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변화하는 사회, 문화 현상과 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교육을 추구하는 추세 속에 시각문화교육 담론이 대두되며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교과서 반영이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제기로 출발하여 시각문화와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개념과 논의 내용을 살펴보며 시각문화의 교육 내용 및 목표를 다음과 같이 도출해본다. 첫째,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는 시각 문화로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며 미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이미지의 의미 전달 방식을 이해하고 제작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형성하도록 한다. 셋째, 대중문화에 새겨진 의미와 사고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비평적 사고를 형성하도록 한다. 넷째, 다양한 영상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며 영상 이미지 시대의 창조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한다. 다섯째, 대중문화에 한정하는 협의의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고급문화 영역인 시각예술 영역으로 학습이 전이되는 효과로 종국에는 광의의 시각문화교육이 실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교육 내용 및 목표의 도출은 시각문화교육 내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적 역량과 구성요소에 대한 프랑스 담론

        이은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The usage of the term "competency" in France has spread with grand success. This term appeared in the field of professions and has been transmitted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Competency does not mean the possession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but the capacity to mobilize and combine them in order to solve a task or adapt to the new situ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of the cultural competencies, specifically why they are important and what their components are. The cultural competencies refer to the capacity to participate in a culture, the capacity to find a world, and to construct the knowledge and the self through the culture. They also mean the capacity to access to different cultures with an open mind, understanding their differences and accepting them with critical esprit. In the Arts Disciplines Curriculum, th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 five broad categories: 1)artistic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conceive, project, and make art works, 2)cultural competencies (cultural comprehension) as a capacity to analyze art works, 3)technical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utilize materials, tools, media and to put the skill in practice, 4)methodological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conduct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o master the different steps of the work, 5)attitudinal competencies as attentiveness and participation in the debate with open mind. 프랑스에서 ‘역량’의 용어 사용은 큰 관심 속에 확산되고 있다. 이 용어는 직업 세계의 담론에서 먼저 등장하고, 그 후 교육계에 전해졌다. 역량은 지식, 기능, 기술 등의 단순한 소유가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이들을 가동시키고 융합하는 능력, 즉 특정 과제 수행을 위해 지식, 기능, 태도의 총합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프랑스의 담론을, 문화적 역량이 왜 중요하고 그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에 중점을 두며 검토한다. 문화적 역량은 문화를 공유하는 능력, 문화를 통해 세계를 발견하고 지식과 자신을 구성하는 능력, 열린 의식으로 다양한 문화에 접근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판별하고 이를 비평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으로 논해진다. 예술교과 국가 교육과정에서 기대되는 문화적 역량은 ①예술적 감성, 사고 역량, ②문화 이해 역량, ③기술적 역량, ④방법적 역량, ⑤태도적 역량의 다섯 범주로 구분하여 각 하위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시대로의변화에 따른 미술교육 콘텐츠 탐색

        이은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1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으며, 과학기술과 인간의 융합으로 우리는 포스트휴먼이라는 존재로 진입하고 있다. 시대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교육의 변화를 준비하여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을 살펴보고 변화되어야할 미래의 미술교육 콘텐츠를 탐색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4차 산업혁명이 바꾸는 미래의 모습과 미래의 인간인 포스트휴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의 방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교육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변화되어야 할 미술교육 콘텐츠를 정보기술에 감성과 문화를 더하는 융복합 미술교육, 소프트웨어 역량과 연계하는 미술교육, AI의 예술적 활용과 그 가치 판단에 대한 교육, 포스트휴먼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그리고 미래 사회 적응력과 진로를 위한 미술교육이라는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미래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새롭게 투입되어야 할 교육콘텐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었고, 그 실현을 위한 교육현장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학교 급별 구분 없이 개괄적인 교육 콘텐츠를 모색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We are facing a huge wave of change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rough the fus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we are entering the Post Human existence. It is time to prepare for change of education to keep up with those changes. In this study, I searched for the contents for future art education that will meet the demands of the new society. In order to do this, I examined existing literature on the future of our world that will be impac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 Human. I also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general. Based on this examination, I derived five directions for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that need to be changed: convergent Art Education which adds sensitivity and culture to information technology, Art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software capability, education about artistic use of AI and its value judgment, Art Education as Post Human Humanities, and Art Education for future social adaptability and career.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specify what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added to future art curriculum and textbook.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 미술 교과 역량과 미술관(박물관) 교육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

        박물관은 대중에게 개방되고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비영리의 영구적인 기관으 로서 교육, 연구 및 향유의 목적을 위해 유형 및 무형의 인류 유산과 환경을 수집, 보존, 연구, 소통하며 전시한다. 미술관은 미술 박물관의 약칭으로 박물관 중에서 특 히 미술에 관한 자료를 위한 시설을 말한다. 그 외 역사, 민속, 과학 등에 관한 자료 를 위한 시설은 박물관이라 부른다.

      • KCI등재

        감정조절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은적,이선정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5

        This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adaptation to foster the capacity of emotion regulation. First, this research started with a literature review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regulating capacity of emotion and Art Education. Secondly, researchers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theory of emotion regulation capacity. 'Being honest with emotions and empathy', 'Anger and annoyance', 'frustration from failure and joy with successful experience', ‘pleasure and happiness' were picked as the targeted emotions and classes were planned with various art pieces that represented diverse emotions. Third, researchers applied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to students and analyzed how this program, specially images affected students to increase their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their behavior and thoughts with qualitative methods. Appreciating various art images offer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emotions and objectifying them, which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ying attention to emotions and having empathy of others' emotions. Finally, students developed their ideas about matured awarenes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tarted to share their emotions openly and properly. 본 연구에서는 감정 및 감정조절 능력, 그리고 미술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심화하고, 이를 적용한 ‘예술 작품과 함께하는 감정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프로그램을적용하고 그 효과를 예술 작품이 감정 조절 능력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와 행동 변화에 어떤역할을 하였는지에 초점을 두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작품 감상을 통해 지각 능력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감정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게 되면서 더 잘 공감하게 되었고, 자신의감정에도 더 솔직하게 되었다. 또한 예술 작품에서 표현한 다양한 감정들을 통해 자기감정을새롭게 돌아보며 객관화하는 성숙함을 보였으며, 표현활동과 서로의 작품 감상활동으로 미술을 통한 치유 효과가 있었다. 그 외에도 미술교과 측면에서도 예술 작품을 인간의 감정과 연결시키며 미술에 대한 이해와 흥미가 구체화되고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을 더욱 더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구현해가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강화 수업, 논의와 실제 -미술(교육)의 본질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is paper examines discussions and practices in character reinforcement-centered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art. First, it is discussed,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about what the unique and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art subject can contribute to human development. Next, the lesson contents reflecting this view are selected and teaching approaches to the contents are suggested. The discussions are presented with five suggestions for the lesson contents that: (1) embody from a discussion abou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sensitivity and moral sensibility, and between aesthetic awareness and ethical awareness; (2) plan discussions on how the uniqueness of creation and interpretation in art can promote self-esteem, followed by instructions that embody the discussions; (3) conduct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develop openness, critical thinking; (4) carry out the discussion that critical reading of a visual culture can promote critical thinking and moral judgement ; and (5) conduct discussions on how communicating with art images can giv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oneself and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From these ways that reinforce the lessons centered on character in art subject, there are two implications. They are: (1) the art textbooks and curriculum should reveal the contents that contain moral lessons for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the nature of art(education) ; and (2)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eacher training education that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nature of ar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중심 수업 강화를 위한 논의와 실제를 미술의 본질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우선 미술, 미술교과 내용이 그 본질적이고 고유한 특성으로인간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인성교육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러한 관점이 반영된 교과서 내용을 선정하여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의 논점에서 전개된다. 첫째, 미적 감수성과 도덕적 예민성, 미적 의식과 윤리적 의식과의 상관관계를 논하고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제시한다. 둘째, 미술에서의 창조와 해석의 고유성으로개성,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을 제시한다. 셋째,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통해 개방성,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인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제시한다. 넷째, 시각문화의 비평적 읽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 도덕적 판단력을 높일 수 있다는 논의와 이를 구현하는 수업 내용을 살펴본다. 다섯째, 미술이미지와의 대화는 자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주어 인성교육을 실현한다는 논의와 그 수업내용을 살펴본다. 이어서 교과서에서 인성 교육 내용을 명료하게 드러내야 하며, 이를 수업에서 의미 있게 엮어내기 위해서는 교사의 능력이 전제되므로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적태도 미적체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소고

        이은적 한국조형교육학회 2003 造形敎育 Vol.0 No.21

        For a Comprehension on the Notions of the Aesthetic Attitude and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Art Education 주제어(Key Word): 미적 태도(aesthetic attitude),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 미적 지각(aesthetic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