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0세 정년의무제 하에서 고령자의 근로관계 종료 규율을 위한 소고

        이율경(Lee, Youl kyung)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6 노동법논총 Vol.37 No.-

        Low birthrate and aging demographics in Korea is bringing about super-aged society in near future, and that future society will cause decrease in total population as well as producing population which probably leading negative effects in national economy and society. In order to solve such coming issues, we can think of making the most of aged people continue working. Recent amendment of Act on Prohibition of 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Aged Employment Promotion to stipulate mandatory retirement age of 60 would be a good example. However,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retirement age, we need to construct shields to protect elderly employment first. Protecting elderly employment means decent work that could eliminate job insecurity. In this view, unfair termination of elderly needs to be restricted by acts. In this study, the author divided unfair termination into two; first, elder employees are forced to resign, second, gradual downwards of working conditions leading to termination. The first case of unfair termination is not fully protected due to the case law that strictly appling declare of will in Civil Law. The second case of unfair termination cannot be protected because there are not any measures to adjust the discrepancy of interests between employee and employer. This article reviewed constructive dismissals in UK and the dismissal to change working conditions in Germany and tried to find a holistic alternatives.

      • KCI등재

        내부고발 근로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

        이율경(Lee, Youl-Kyung)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0 노동법논총 Vol.49 No.-

        이 글은 내부고발 근로자에 대한 보호방안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먼저 내부고발 근로자 보호의 의의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현행 노동법제와 판례를 통해 내부고발 근로자 보호의 한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유럽연합에서 채택된 내부고발자 보호지침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다. 이 지침은 내부고발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요건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내부고발에 따른 사용자의 침해이익의 보호 뿐 아니라 근로자의 내부고발 권리와 공익의 실현을 위한 합리적 균형을 시사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마지막으로 내부고발 근로자 보호방안으로서, 내부고발 대상범위의 확대, 내부고발 내용에 대한 합리적 믿음의 해석, 내부고발절차의 마련, 보복금지와 면책조항, 구제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 way to protect against whistleblowers.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protecting whistleblowers is first emphasized, and the limits of whistleblower protection are identified through current labor laws and precedents. The next chapter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the ‘Directive on the protection of persons who report breaches of Union Law’ adopted by the EU. This directive specifically stipulates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to highly protect whistleblowers, which suggests a reasonable balance for the realization of workers’ whistleblowing rights and public interests, as well as protection of employers’ infringement benefits.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as a last resort to protect whistleblowers, this article tries to deal with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labor law. In other words, this paper proposes the way abou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whistleblowing, rational beliefs on the contents of whistleblowing, the provision of whistleblowing procedures, prohibition of retaliation, exemption clauses and remedies.

      • KCI등재

        청년고용촉진특별법상 청년할당제의 법적 쟁점

        이율경(Lee, Youl-Kyung)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2017 노동법연구 Vol.0 No.43

        이 글은 청년고용촉진특별법상 청년할당제와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는 법적쟁점을 살펴보고, 이 제도의 적용에 따른 위헌성과 관련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청년할당제는 공공부문에서 일정 비율의 청년을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일시적으로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문제의 근원적인 구조를 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궁극적 개선책이 되지 못한다. 무엇보다 제도 시행의 결과 다른 연령층의 기본권을 제한하게 되거나 또는 그들을 차별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내재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로부터 청년할당제의 위헌성 시비는 계속 제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동 제도는 현행법에 따라 한시적으로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청년 미취업자의 고용촉진정책은 청년실업 문제에 대응하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해당 법률은 상시법으로 전환하는 입법적 고려가 요청된다. 아울러 고용의 양적 확대 뿐 아니라 현행 일자리의 질적 개선을 통해 청년 고용이 촉진 내지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quota system of the youth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Youth Employment and reviews unconstitutionality of the system. The youth quota system is the compulsory scheme that public institutions should employ some young workers of fixed rate. But this is not fundamental solution because it could not correct the problem’s essential structure. Furthermor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rule, it may violate the older’s basic rights or discriminate against such people. From that point, the youth quota system is implicit in the constitutional challenge.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is system should be temporarily enforced as prescribed by law. However the Act needs to be transferred from the law with expiration date to the permanent law so that the youth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can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addition,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policy should be made to encourage young workers to increase employment through the quality improvement of current jobs as well as the quantitative growth of employment.

      • KCI등재

        연령평등과 정년제의 딜레마에 관한 법적 검토

        이율경(Lee, Youl-Kyung) 한국노동법학회 2017 노동법학 Vol.0 No.61

        In aged society, it is very essential for the elderly worker to continue working. Thus the mandatory retirement system faces a challenge which is an age discrimination. The age limit system is at odds with the principle of an age discrimination prohibition in theory so it may be argued that the mandatory retirement system should be removed. But that position could be reserved if the system and the regulations of an age discrimination prohibition have a function of the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the elderly’s employment. On this point, the article seeks to address of the issue how the mandatory retirement system keeps a balance with an age equality. Firstly, this article considers the age equality based on the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 and the relation of coexistence. Secondly, It focuses particularly that the mandatory retirement system’s development should be achieved in direction of a guarantee of the right to work and a protection from the age discrimination.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섬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연구

        이율경 ( Youl Kyong Lee ),안경환 ( Kyung Hwan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연안 사주섬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총 118개의 식생자료를 획득되었다. 좌표결정법에 의해 식물종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RIM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총 12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으며, 건생형과 습생형으로 대분류 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사주와 염습지를 대표하는 하는 식생형으로 건생형은 해송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군락, 띠군락, 물억새군락, 갯메꽃군락, 습생형은 개수양버들-산조풀군락, 갈대-산조풀군락, 쇠보리-갈대군락, 갈대군락, 새섬매자기군락, 나문재-칠면초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간적으로 건생형 초본과 염습지의 갈대군락 및 새섬매자기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해안 사주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해안가에서는 새섬매자기군락이 관찰되었다. 현존식생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구성하는 식생유형은 새섬매자기군락, 염습지 갈대군락, 건생초원식생이다. 대부분의 사주섬 가장자리에는 염습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그 외곽에 새섬매자기군락이 발달하고 있다. 해안 사구식생과 염습지 식생은 각각 말단사주섬의 전방과 후방 지역에 분포하였다. This study aim that defini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stal environment and different sand bar communities, as well as to analyze their spatial distribution of barrier isla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urvey method follow by Braun-Blanquet (1965) and there a total of 118 releve´s were undertaken,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ith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oA) and that to applied these releve´s with the RIM (Kim and Kim, 2006) program and that to classification used the SYN-TAX 2000 program (Podani 1979). On the basis of about 118 phytosociological releve´s, the vegetation of xeric and hydric type was arranged in twelve plant communities: Xeric type-Pinus thunbergii community,Vitex rotundifolia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and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Hydric type-Salix dependens-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Calamagrostis epigeios-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 KCI등재

        화엄늪 식생의 분포특성에 따른 습지 관리방안

        안경환 ( Kyung Hwan Ahn ),이율경 ( Youl Kyung Lee ),임정철 ( Jeong Cheol Lim ),최태봉 ( Tae Bong Choi ),조항수 ( Hang Soo Cho ),서재화 ( Jae Hwa Suh ),신영규 ( Young Kyu Shin ),김명진 ( Myung 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3

        본 연구는 화엄늪 습지보호지역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올바른 식생학적 보전 및 복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식생자료는 2008년과 2013년에 Braun-Branquet의 방법을 적용하여 총 117종(미동정종 포함)의 식물종이 포함된 29개가 획득되었다. 식물군락은 총 8개로 구분되었으며, 수분조건에 따라 건생형(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산철쭉군락-전형하위군락, 참억새하위군락, 미역줄나무군락)과 습생형(진퍼리새군락-전형하위군락, 왕미꾸리꽝이하위군락, 참억새하위군락, 바늘골-끈끈이주걱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습생입지에 발달하는 습생형은 습지보호지역 내에서 보호의 핵심 대상으로 습지의 함몰된 공간 또는 물골 주변에 주로 발달하였다. 면적은 습생형이 전체의 약 3.8%에 불과하였으며, 습지보호지역 안에서 참억새가 우점하는 건생형이 약 51.5%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습지보호지역 내에 다양한 수목들이 침투해 있었다. 2008년에는 교목성 수종 8종(총 228개체)과 관목성 수종 6종(총 51개체)을 포함하여 총 14종의 침투식물들이 관찰되었으며, 2013년에는 오리나무 2개체가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엄늪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 식생유형, 공간분포 변화 및 침투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핵심·완충·전이지역의 구획화 관리 등을 통한 능동적이고 가변적인 설정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restoration plan for vegetation in the Hwaeom wetland protected area. Total 29 phytosociological releves consisted of 117 plant species (unidentified species contained) was made during field studies conducted at 2008 and 2013 applying Braun-Branquet method. The collected vegetations were arranged 8 plant communities and thus divided hydric types (Drosera rotundifolia-Eleocharis congesta community, Carex forficula-Molinia japonica community) and xeric type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community, Tripterygium regelii community, Carex gifuens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under moisture conditions. The hydric types growing in hydric conditions distributed along hollowed out ground or the water channel that have a key qualification to protect. In the wetland protected area, the hydric vegetation types were mostly covered about 3.8% and the xeric types dominating by Miscanthus sinensis were most wildly distributed about 51.5%. Various woody plant species invaded the place. In 2008, invasion plants observed with total 14 species - 8 tree species (227 individual), 6 shrub species (51 individual) and alders (Aluns japonica) found in 2013. We suggested finding out that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Hwaeom wetland should be setting up plan focused on activity and variability such as continuous monitoring (changing vegetation types, spatial distribution, invasion plants) and zonation management (core zone, buffer zone, transition zone).

      • KCI등재

        생태,자연도를 활용한 생태취약성평가와 보전전략

        박지훈 ( Ji Hoon Park ),김태경 ( Tae Kyung Kim ),이용훈 ( Yong Hoon Lee ),안경환 ( Kyung Hwan Ahn ),임정철 ( Jeong Cheol Lim ),이율경 ( Youl Kyong Lee ),고영호 ( Young Ho Go ),강선홍 ( Seon Hong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4

        국토의 자연자원 관리와 건강한 생태계의 이용과 보전, 복원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생태·자연도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자연도는 생물서식처 개념이 강하며, 특히 1등급 지역(별도관리지역)은 중요 핵심지역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 1등급지를 대상으로 생태취약성을 평가하고, 거시적 수준에서 선제적이고 합리적인 보전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태취약성은 1등급 지역의 주변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교란 잠재성을 생물 서식환경에 대한 생태적 취약성으로 등급화한 것이다. 대상은 개발압력이 높은 수도권 일대를 대상으로 다중 격자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적 교란 가능성이 가장 낮은 생태취약성 A등급은 전체의 40.5%, B등급은 36.2%, C등급은 21.5%, 생태취약성이 매우 높은 D등급은 1.8%로 나타났다. 즉, 1등급지 주변에 최소한 1개 이상의 3등급지가 존재하는 격자는 C등급과 D등급으로 전체의 23.3%에 해당되었으며, 주변에 완충지역을 계획하는 등의 생태적 보전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공간분석을 통해 입지적으로 완충지역을 조성하거나, 하천 생태공간의 기능축을 연결하거나, 거시적으로 산림의 생태축 보전전략이 제안되었다. 또한, 정밀한 수준에서 시·군별 공간탐색 사례를 통해 생태취약성 총량제 개념과 같은 생태보전 전략이 제안되었다. Ecosystem and Nature Map(ENM) is utilized at the national level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the country. It is also used to conserve, restore, and use healthy ecosystems. It strongly includes the biological habitat concept. Therefore, 1 grade in ENM is classified as very important district of interest. This study evaluated the ecological weakness of 1 grade district in ENM and carried out establishing preemptive and efficient conservation strategy. In this study, ecological weakness is ranked based on current and future potential of disturbance. Target area is 1 grade district in ENM which is capital area where high develop pressure exists. This target area is analyzed by multigrid method. As a result of analysis, A grade which means ecological weakness is very low occupied 40.5% of the total area, and B grade which means ecological weakness is low occupied 36.2% of the total area. C grade which means ecological weakness is high occupied 21.5% of the total area, and D grade which means ecological weakness is very high occupied 1.8% of the total area. The regions of ecological weakness C and D grade need conservation strategies such as building up ecological buffer zone through space analysis with the view of macroscale or connecting river function and forest network. This study also suggest the strategy of ecological conservation such as total volume control concept in ecological weakness through examination of accurate spatial analysis of cities and coun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