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國語 借字表記의 末音添記 'ㅅ' 音字考

        이윤자 숙명여자대학교 2003 숙명語文論集 Vol.- No.5

        Since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the principle of borrowed-character- notation (借字表記) in Korean, which borrowed and used meanings and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periods when they were used, comprehensively include various vocabulary-notation such as persons' names, places' names, official titles, things' names as well as sentence-notation such as Hyangchal (鄭札; Sima writings writing down Hangul by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sounds and meanings) . Leedu (更讀; the way of Korean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 Gukyul(口訣; Korean letters' suffixes added to aid the reading of Chinese texts). This study collected all related documents to examine usages and distribution-looks of the borrowed-character-notation (借字表記) principle during ancient times of Korean that added 'ㅅ' final consonant to end sounds of stems or syllables when borrowed Chinese characters, but exclude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al order of letters. Above all, in vocabulary notation, the final consonant 'ㅅ' was pronounced as lsi, for example, the Three Kingdoms'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pronounced it as /s/; ‘斯,西,尸,叱,次’. This notation way continued to the period when they wrote Hangga (縋廠; old Korean folk ballads), which showed a particular' notation way to use the final consonant. The principle of adding 'ㅅ' final consonant to end sounds, which was shown in Hyangchal (鄭札) is thought to be letters like 'lit' and 'Ee,' adding 'ㅅ' final consonant in Sima . Koryo Hangga (縋廠). In particular, it is hinted that 'ㅅ' sound was pronounced in link at that time because Hyangchal (鄭札) that notated Hangga (縋廠) notated like '叱' and '史' that added the final sound behind translated letters from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叱' was used in the Leedu(更讀)' s principle of adding 'ㅅ' final consonant to end sounds, of which notation is the same as 'ㅅ' final consonant added to end syllables, whereas of which sound and category look different. On the other hand, the Gukyul(口訣 principle of adding 'ㅅ' final consonant to end sounds was observed in Seokdokugyol ((釋讀口訣) documents from the mid 12th century to end 13th century. The borrowed sound, 'ㅅ' was '七' notation, so that, in general, Seokdokugyol(釋讀口訣) documents observed the regulation of adding end sound more thoroughly than Hangga (縋廠). The Avatamska Sutra of the mid 13th century frequently shows examples that omitted '七' notation added to the end, which was not the case of Hangga (縋廠) and proves the notation principle of Sueui(隨意生; following meanings of characters). The above study told that the principle of Borrowed-Character Notation(借字表記) that the ancient Korean added 'ㅅ' final consonant to end sounds offered functions as well as quality to the middle ages' Korean, according to notation ways and distributionlooks.

      • KCI등재

        Meigret 에서 Port-Royal 까지 불문법에서의 접속사 : 1550 년에서 1660 년까지를 중심으로

        이윤자 한국불어불문학회 1999 불어불문학연구 Vol.38 No.2

        Cet article a pour but d'e´tiduer la notion de conjonction dans les grammaires de Meigret jusqu'a` Port-Royal et d`expliquer comment se classait la conjonction. Les grammairiens que nous avons e´tudie´s sont les suivants: Meigret, Ramus, Robert & Henri Etienne, Maupas, Oudin, Chilfet, Arnauld & Lancelot. En faisant la synthe`se de leurs the´ories de la notion de conjonction, on peut de´finir la conjonction comme un mot invariable(inde´clinable) qui lie deux mots, deux propositions ou deux phrases avec quelque signification. Le classement de la conjonction varie selon les grammairiens. Ils la classent par cinq espe`ces au moins, dix espe`ces tout au plus. Mais la diffe´rence entre eux n'est pas tre`s importante, parce que leurs classements e´taient purement se´mantiques ou logiques. Ils n'envisageaient pas la valeur grammaticale de la conjonction, ni ne comprenaient la fonction de la proposition. La syntaxe n'intervenait pas a` l'inte´rieur de la conjonction, donc la distinction de la conjonction de coordination avec celle de subordination n'e´tait pas faite jusqu'a` la grammaire de Port-Royal. Les grammairiens franc¿ais e´taient tout a` fait sous l'emprise de l'analyse du latin. C'est pourquoi l'imperfection de leurs e´tudes peut e^tre un re´sultat tre`s naturel. Malgre´ leur insuffisance, elles sont pre´cieuses, car c'est par elles que la syntaxe franc¿aise cammenc¿ait a` s'e´clairer peu a` peu.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이윤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Korean learners have a system to some ext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thereby coming to receive the Korean learning in a little more deepened contents than before. This course is classified in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Korean education. Out of it, General Academic Purpose in the curriculum is called ‘College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nect a strategic method of proactive reading for the writing construction in college Korean learners. Teaching composition through a complementary role in the reading and writing function can maximize a teaching-learning effect. Also, the reading education can may develop the writing ability. The writing education improves the reading ability. Hence, it become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writing-construction eduction using the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is progressed wit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the stage before writing by using a strategy after reading in line with a learner's writing level through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 after seeking an effective teaching model. The strategies after reading, which are used at this time, are properly applied to the writing construction, thereby allowing a learner to remember the previously-acquired knowledge, to create an idea of writing, and to possibly express by structuring the writing contents.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 진학 후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어 기존보다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의 한국어 학습을 받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로 분류하고, 그 중 교양 교과과정의 한국어를 ‘교양 한국어’라 한다. 본 연구는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해 선행적 읽기의 전략적 방안을 연계하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 기능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통해 작문을 지도하는 것은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읽기 교육이 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쓰기 교육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된다.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을 적용한 작문 구성의 교육은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한 후, 선정된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맞는 읽기 후의 전략을 이용하여, 쓰기 전 단계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진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읽기 후 전략들은 작문 구성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이전 습득 지식을 기억하고, 작문의 아이디어를 생성하며, 작문의 내용을 조직해서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朝鮮館譯語」의 의미장 접근법으로 본 중국 사이관(회동관) 역관의 한국(조선)어 교육 방법 연구

        이윤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외국어 학습에서 어휘는 의사소통의 기본요소로 단계별 교육이 진행될 때 언어학습의 성패를 좌우한다 할 수 있다.이에 한국어 교육의 어휘교육 분야에서도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인식되고,학습에 상승적 효과를 줄 수 있는 구체적 어휘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다양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국내 유학생들의 어휘 확장을 위한 어휘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고,이에 중국 고대 역학서 문헌에서 보이는 대역 어휘집의 성격과 구성방식에 눈을 돌렸다.특히 중국 명대 역관 양성기관인 四夷館의 교재인 『華夷譯語』 중 조선관 교재인 「朝鮮館譯語」(會同館 刊行)의 구성과 체제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어휘적 생산성이 높은 한자어를 이용하여 ‘어휘-의미’의 구조와 분류를 살펴보았다.또한 중국의 전통적 어휘접근 교육과 현대 어휘 교수법의 하나인 “의미장 접근법(semanticfieldapproach)”과의 교수-학습 비교를 통해,현대 외국어 어휘교육의 측면에서 「조선관역어」의 바람직한 조선어 어휘 교육과 지도의 가능성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과적 어휘 교수법과 어휘교육을 찾는 다양한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각 언어권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할 한국어 교육의 대안을 마련하는 시점에서,중국 명대 사이관(회동관) 역관의 조선어 교재인 「조선관역어」에서 보는 어휘 활용과 어휘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논의는 현대 한국어 어휘교육에 대한 제안과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