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마이클 더밋의 철학과 실재론-반실재론의 분류

        이윤일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Michael Dummett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ritish philosopher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Dummett’s main philosophical project is to demonstrate that theory of meaning can provide a definitive resolution of metaphysical debates, for example, the debate between realism(scientific realism, platonism in mathematics, etc.) and anti-realism(phenomenalism, intuitionism in mathematics, etc.). In his former philosophy, he thought that metaphysical debates were properly understood as debates about logical laws. So he equated acceptance of bivalence principle with realism, and the denial of bivalence with anti-realism. His global anti-realism insists that the meaning of sentence is tied directly to what we count as evidence for it. But in his later philosophy, the denial of bivalence brings with it only a very attenuated form of anti-realism. So. the classification of realism and antirealism is subdivided into 4 category as follows. 1.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 plus a reductive thesis = sophisticated realism. 2.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s which are non-reductive class(bare true) = naive realism. 3. Anti-realism that is the result of some reductive thesis = reductive anti-realism. 4. Anti-realism which is non-reductive = outright anti-realism. We can see that for this classification, he used the ‘reductionism’ as a principle of division. In this essay, I claim that we should not value Dummett’s philosophy a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Rather, we should see his work for the way in which it maps the semantic area,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theories of meaning. For this purpose, I will summarize a forming trace of his philosophy first, and then investigate his later major book mainly,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According to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all the metaphysical issues turn on questions about the correct meaning theory for our language. So, we should investigate how our language actually functions, and how we can construct a workable systematic description of how it functions. The answers to metaphysical questions will determine the answers to the metaphysical ones. Therefore, the questions which Dummett raised about the correct theory of meaning for our language are questions about what exists. In this aspect, I will evaluate him as a renewer of metaphysics in post-analytic philosophy. And I hope that in Korean philosophical academy society, the incorrect thinking that Dummett i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will be changed. 마이클 더밋은 20 세기 후반 영국의 분석철학을 대표하는 탁월한 철학자였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더밋은 도널드 데이비슨의 진리조건적 의미 이론에 맞서 검증주의적 의미 이론(verificationistic theory of meaning)을 제창하고, 이런 의미 이론을 바탕으로 반실재론(anti-realism)이라는 형이상학적 입장을 정립한 인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후 더밋은 자신의 전기 철학 중 일부 내용을 수정하거나 포기하고, 자신을 전반적 반실재론자라고 보는 상식적 평가에 대해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의 사상적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글로는 1982년에 쓴 논문 ‘실재론’과 1991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가 있다. 특히 이 책은 이전까지의 더밋 철학의 전반적 면모를 가장 잘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한 함축을 담고 있다. 후기 분석 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형이상학의 갱생을 이처럼 노골적으로 알리는 책 제목은 없었던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후기 더밋 철학의 이런 변화가 아직 우리 학계에서 검토된 일이 없으므로, 그 방향 전환에 대해 소개하고, 그 전환에 따라 실재론, 반실재론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 더밋의 후기 철학 내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 결과 논자는 후기 더밋 철학에서의 실재론-반실재론 지도가 전기 철학에서와는 다른 모습으로 그려졌다는 것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후기에 가서 더밋은 자신을 어떤 특수한 종류의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자로서 보아주기보다는, 다양한 의미 이론의 강점과 약점을 탐구하면서 그 바탕 위에서 여러 형이상학적 입장의 수용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자로서 보아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기 철학에서의 이가 원리의 부정과 반실재론 간의 긴밀한 연관은 후기에 갈수록 느슨해 졌으며, 실재론-반실재론이라는 각박한 이분법에서 벗어나 각 형이상학적 입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실재론적이거나 덜 실재론적인(또는 더 반실재론적이거나 덜 반실재론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논자는 그간 우리 학계에서 발표된 더밋 철학에 관한 논문들에서, 더밋을 마냥 반실재론만을 옹호하는 철학자라고 규정했던 상식적 평가도 재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KCI등재

        합리성과 실용적 실재론

        이윤일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3 No.-

        이 글의 목적은 내재적 실재론의 성립 이후 실용적 실재론에 이르기까지 퍼트남이 지나온 사고 노정을 살펴보고,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극단적 상대주의 사이의 중도 노선을 취하려는 그의 등거리 정책이 그의 합리성 개념에도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는 점을 밝힌 후, 실용적 실재론에 미친 실용주의의 영향을 드러내 보이는 데 있다. 퍼트남의 실용적 실재론은 내재적 실재론을 보완 발전시켜, 특히 개념 상대성의 현상을 강조하고 사실/가치 이분법으로 대표되는 일체의 이분법적 사유틀을 배격하는 경향이 있으며, 아울러 세계를 바라보는 상식적 인간들의 평범한 세계관을 옹호한다. 실용적 실재론은 극단적인 상대주의나 과학주의와 같은 절대적 세계관을 배격하고, 현존하는 인간들의 다양한 관심과 목적을 반영하는 상식적, 인간적인 실재론으로서, 신의 관점이 아닌 여러 가지 인간적 관점들을 존중하는 세계관이다. 합리성 개념과 관련하여 퍼트남은 합리성을 자연화하려는 과학주의와, 합리성을 한갓 주관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회의주의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상대주의를 모두 비판한 후, 대안이 될 수 있는 합리성 개념을 확보하고자 한다. 퍼트남은 합리성이 가치 중립적이라는 논리실증주의자의 주장에 반대하며, 쿤, 포이에르아벤트, 푸꼬, 로티처럼, 합리성을 주관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입장에도 반대한다. 퍼트남이 파악한 합리성은 관심 상대적이면서도 객관적이고, 가치를 담지하고 있으며, 목적 평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개념이다. 퍼트남의 실용적 실재론은 실용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실용주의의 중핵은 세계를 바라보는 유리한 고지 또는 신의 관점이나 3인칭 기술적 관점을 부정하는 대신, 행위자의 관점, 1인칭 규범적 관점에 우선성을 두는 데 있다. 퍼스의 가류주의, 제임스의 인간주의, 듀이의 이분법 배제 등은 모두 실용적 실재론에 깊이 스며 들어 있다. 그리하여 퍼트남도 인간의 실천과 행위를 중요시하고, 절대성에 대한 열망을 포기하며, 사실/가치 등의 이분법을 포기한다. 끝으로 퍼트남은 여타 미국 철학자들과는 달리 실용주의적 관점을 도덕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려 한 점에서 현재 미국 철학에서도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Key word:Pragmatic realism, Rationality, Conceptual relativity, Pragmatism, Indispensability. In his early time, Hilary Putnam was a scientific realist. But now, his philosophical veiw is called by several names, like a ‘internal realism’, ‘pragmatic realism’, or ‘realism with a human face’. He tries to explain not only how the metaphysical realist perspective has broken down in science itself, but also how Rotian relativism fails as an alternative to metaphysical realism. Metaphysical realist insists that a mysterious relation of ‘correspondence’ is what makes reference and truth possible. But Putnam's pragmatic realism is the renuncation of the notion of the ‘things in themselves’ and the notion of correspondence between our words and mind-independent objects. Pragmatic realism says that we don't know what we are talking about when we talk about ‘things in themselves’. It means that the dichotomy between intrinsic properties and properties which are not intrinsic also collapses. Pragmatic realism is willing to think of reference as internal to theories, provided we recognize that there are better and worse texts. ‘Better’ and ‘worse’ themselves depend on our historical situation and our purposes. There is no notion of Gods-Eyes View of Truth here. After all, Pragmatic realism is, at bottom, just the insistence that realism is not incompatible with conceptual relativity. Also Putnam insists that we should not let ourselves fall into either scepticism, scienticism(the idea that science, and only science, describes the world as it is in itself, independent of our perspective) or relativism with respect to our normative judgments, that is, rationality. Logical positivism(scienticism) and relativism fail to take adequate account of the rationality. Logical positivism insists that rationality must be reducible to objective, naturalistic term, while relativism treats rationality as merely subjecitve. But according to Putnam, relativism is self-refuting view like a solipicism, and logical positivism's insistence presupposes normative terms. Putnam illuminates that rationality is value-laden, objective, and purpose-oriented concept. Without this rationality, we have no world and no facts. And these conception of rationality are simply a part of our holistic conception of human flourishing. Putnam's pragmatic realism is under the influnce of American pragmatism. Pragmatism insists that practice has some kind of priority over theory, and everything turns on what sort of priority is claimed. The characteristic of Putnam's pragmatic realism is will to extend the pragmatic approach to the most indispensible area, that is, ethics. So, Putnam illustrates the standpoint of pragmatic realism in ethics by taking a look at some of our moral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