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평 실린더에서의 서리 생성에 대한 환경 변수들의 영향

        이윤빈,류인상,노승탁,Lee, Yun-Bin,Ryu, In-Sang,No, Seung-Tak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6 No.2

        It is known that frost formation on surfaces of the heat exchanger serious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ion system. Accordingly, defrosting should follow, and effective defrosting is possible only when both analytic tools and comprehensive experimental data on frost formation are assailabl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frost formation on a horizontal cylinder in cross uniform flow. Seve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inlet air temperature, inlet air humidity, air velocity and cooling surface temperature. Frost thickness, mass, surface temperature and cylinder inner and outer temperature were measur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cylinder. Thickness, mass, density,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rost layer were obtained from measured data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frost formation were analyzed. Data from experiments were correlated using dimensionless variable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규정 및 대학생의 인식 양상

        이윤빈 ( Lee Yun-bin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1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황을 단계적으로 점검했다. 이를 위해 ⑴ 대학 글쓰기 관련 이론과 교재에서 `학술적 글쓰기`가 규정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⑵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필자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론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한 상태에서 `공통성`의 내용을 규정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나, 그 사례는 충분하지 않았다. 둘째, 교재 영역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의 정의가 부재하거나 유형 분류의 기준이 모호한 가운데, 일부 대학에서 `독창성`과 `논증`을 그 핵심 요건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 글쓰기 강좌를 이수한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 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인식을 자주 노출했다. 이들은 특히 자신을 학술적 글을 작성하는 저자성(authorship)을 가진 주체로 설정하지 못함으로써 추가적인 혼란을 양산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학술적 글쓰기` 개념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기 위해서는 ⑴ 학술적 글쓰기의 다양성을 전제하되 이를 쓰기 주체, 쓰기 영역(담화 공동체), 쓰기 유형(장르)의 세 측면에서 논의해야 하며, ⑵ 학술적 글쓰기의 `공통성`에 대한 규정은 이를 규정하는 특정한 대학 글쓰기 교육 단위의 교육 목적 및 그것이 적용되는 `다양성`의 범위를 확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statu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rst, I examined the aspect of `academic writing` in the theories and textbooks related to university writing. Second, I checked how college students have a sense of `academic writ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theoretical domain, there was an attempt to define the content of `commonality` under the presupposition of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but the case was not enough. Second, in the textbook area, the definition of academic writing was absent or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were ambiguous. Some universities emphasized `originality` and `argument` as core requirements. Third,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college writing courses frequently exposed confusing perceptions of the academic writing concep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efined more clearly in the future. First, the divers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 writing subject, writing area, and writing genre. Second, regulations on commonality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mad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scope of diversity established.

      • KCI등재

        개별논문 : 대학생 필자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 연구­ - 동료 피드백에 대한 필자의 반응 및 수정고 반영 양상을 중심으로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동료 피드백에 대한 필자의 반응 태도 및 동료 피드백이 수정고에 실제 반영된 양상을 차례로 살핌으로써 동료 피드백 활동의 실제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동료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필자의 피드백 수용률, 수정고 반영률, 수정고 질의 상승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대학생 필자 40명이 동료가 제공한 836개의 피드백을 수용하는 양상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필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률은 65.6%(514개) 수준이었다. 이들은 전문가와 비교할 때 동료 피드백의 타당성을 높게 평가하여, 타당하지 않은 피드백도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필자들이 수용한 동료 피드백 중 수정고에 실제 반영된 것은 64.2%(330개)로, 애초에 제공된 피드백의 39.2%에 불과했다. 이들은 다양한 이유에서 피드백을 반영하는 데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 피드백이 반영된 수정고의 질은 전체적으로 매우 소폭(+0.88) 상승했고, ‘글 구조의 체계성’ 부문은 오히려 하락(-0.29)했다. 넷째, 글의 전반적인 구성 및 내용을 언급하는 피드백보다는 부분적인 내용 및 표현을 언급하는 피드백의 수용률과 반영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글의 부분만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글 전체의 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글의 질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글 전체를 다시 쓸 것(rewriting)을 요구한 ‘주제’ 관련 피드백, 동료와 필자가 상호 논쟁적으로 의견을 교환한 ‘내용의 타당성’ 관련 피드백, 해당 피드백의 반영이 글의 다른 부문과 연동(聯動)되지 않는 ‘표현’ 관련 피드백만이 글의 질을 소폭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의 글을 개선하는 데 실제적인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동료 피드백 활동 대신 모둠별 동료 튜터링 활동을 시행하는 방안, 동료 피드백 활동을 실시할 경우 기존에 제안되어 왔던 피드백 제공자(동료)에 대한 교육뿐 아니라 피드백 수용자(필자) 대상 교육을 시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firm practical effect of peer feedback activities by studying aspects of writer`s responding behavior on peer feedback and practical reflections appealed in revised draft.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writer`s acceptance ratio of feedback, acceptance rate on revised draft, rise in quality of revised draft depending on the type of peer feedback are explored. The results of studying aspects of acceptance of 40 college student writers on 836 feedbacks provided by peer. First, college student writers` acceptance ratio of peer feedback was 65.6%(514). They rated validity of peer feedback higher than experts and displayed a tendency to accept improper feedback as well. Second, 64.2%(330) of peer feedbacks accepted by writers, only 39.2% of feedbacks originally provided were actually reflected to revised draft. They failed to reflect feedback for a variety of reasons. Third, quality of revised draft under peer feedback is 0.88 up very slightly overall. and ‘system of writing structure’ rather fell 0.29. Fourth, acceptance ratio and reflection rate of feedback referring partial content and expression is higher than feedback referring overall organization and content. However quality of writing has not greatly improved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problem on organization of whole writing in process of editing part of writing. Only ‘subject’ related feedback requiring of rewriting whole writing, ‘content validation’ related feedback which peer and writer mutual contentiously exchanged opinions, ‘expression’ related feedback which reflection of relevant feedback is not linked to other field of writing slightly improved quality of writ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peer feedback activity has no practical effect in improving writing of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of carrying out peer tutoring activity by group instead of peer feedback activity, carrying out not only education for feedback provider (peer) suggested before but education for feedback acceptor (writer) in case of carrying out peer feedback activity.

      • KCI등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원활한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기 위하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했다. 이 프로그램은 쓰기 교육의 연속성 확보, 학습 내용의 전이 가능성 증진, 학습자의 기본적인 쓰기 능력 및 비판적 문식성 함양 도모라는 세 가지 원리를 토대로 구성되었으며, <대학 입학 전 글쓰기 경험 진단 단계→구심적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단계→전공 장르 분석 교육 단계→장르 연계 및쓰기 전이 분석 교육 단계>의 총 4단계로 진행된다. 또한 <장르 분석표>를 활용한 3회의 장르 분석 활동(선행 경험 장르, 학술 에세이 장르, 경험예정 전공 장르)과 4회의 쓰기 수행 활동(상기 3개 장르 및 회고적 글쓰기 장르)이 상호 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이 프로그램을 실제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대학생들이 선행 경험 장르와 학술 에세이 장르, 전공 영역 장르의 공통점과 차이를 인식하고, 자신의 쓰기 전략을 전이하는 다양한 양상을 확인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장르 인식을 증진시키고 이들의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는 데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Genre Awareness-Based College Writing Program’, to help effective transfer of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navigat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i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Ensuring the continuity of writing education, Enhancing the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learners, Increasing the basic writing skills and critical literacy of learner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actual college writing classroom is follow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ior experienced genre, academic essay genre, and genre of their major and they show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transition. Also, the program has a certain educational effect that enhancing genre awareness of college learners and increasing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them.

      • KCI등재

        일반 논문 : 대학생의 학술적 비평문 쓰기 수행에 대한 연구 -비평문 텍스트의 질과 필자,텍스트 변인들의 상관 분석을 중심으로-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various writer`s and texts` variables correlate with academic critique`s quality of college students. Writer`s variables include prior topic knowledge and degree of source text comprehension. And text`s variables include length, organizational score, type of evaluative commentary, type of source of support and text configuration patterns. The analysis on the data showed the low correlation of topic knowledge and text`s quality(r=.437). But there was high correlation of the degree of source text comprehension and text`s quality(r=.899). As for the text`s variables, organizational score and type of source of supports were two major factors which had high correlation with text quality(r=.729, r=-.620). Against the result of prior studies, the portions of negative commentary had not high correlation with text quality score(r=.524), which means the type of writer`s approach to source text itself has low importance of text`s quality than the type and abundance of support.

      • KCI등재

        개별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서 동료 피드백의 양상 및 타당도 연구

        이윤빈 ( Yun Bin Lee ),정희모 ( Hee Mo Jung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작성한 동료 피드백을 유형화하여 그 양상을 살피고, 유형별 피드백의 타당도를 분석함으로써 동료 피드백 활동의 실제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료의 쓰기 수준에 따라 피드백의 양상 및 타당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 40명이 작성한 836개의 피드백을 대상 영역·내용 유형별로 분류하고, 전문가 3인이 각 피드백의 타당도를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동료들은 주로 ‘표현’과 ‘내용’ 영역에 대해 ‘오류지적형’, ‘논평형’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전체 타당도는 3.62(72.4%)로 대체로 타당했다. 둘째, 동료의 쓰기 수준에 따라 피드백 양상 및 타당도가 크게 달라졌다. 쓰기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에 비해 양적으로 2배 이상의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타당도도 상대적으로 높았다(4.02: 80.4%). 반면, 하위 집단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피드백을 작성했고, 피드백의 타당도도 낮았다(3.32: 72.4%). 상위 집단은 ‘표현’과 ‘구성’ 영역에서 보다 풍요롭고 타당한 ‘오류지적형’, ‘논평형’, ‘대안 제시형’ 피드백을 작성했다. 반면, 하위 집단은 ‘주제’와 ‘내용’ 영역에 대해 타당도가 낮은 ‘단순소감형’ 및 ‘논평형’ 피드백을 작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의 글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상위 집단 학생의 피드백은 풍요롭고 타당도도 높으나 하위 집단 학생의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빈곤하고 타당도도 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 동료 피드백보다는 동료 튜터링을 권유한다. 동료 튜터링은 튜터와 튜티 모두의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effect of peer feedbac k activity by observing the aspects of peer feedback in college students` writing through classification and analyzing validity of feedback by types. Especially, I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spects and validity of fee dback according to level of peer`s writing providing feedback. For this, 836 feedbacks written by 40 college freshmen were classified into types of area and content of target, and validity of each feedback w as given grades based on 5 points by 3 specialists. The result was as foll ows. First, college peers mostly wrote feedbacks of type of ``pointing out the mistake`` and ``comment`` on type of ``expression`` and ``content``, and the whole validity of feedback was valid scoring 3.62. Second, aspects and val idity of feedback varied greatly depending on level of writing of peer. A peer group on a high writing level wrote feedback more than twice in vo lume compared to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and validity of feedba ck (4.02) was very high. On the contrary,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wrot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feedbacks, and validity of feedback (3.3 2) was low. A group on a high writing level wrote feedback of type of ``pointing out the mistake``, ``comment``, ``presentation of alternative`` more r ich and valid in areas of ``expression`` and ``composition``. On the contrary, a group on a low writing level showed tendency of writing feedback of t ype of ``simple thoughts`` and ``comment`` lower valid in areas of ``subject`` a nd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ution which peer on a low writing level b e able to provide more rich and valid feedback is to be seek for peer fee dback activity to be an effective tool in improving the writing of feedbac k user. Solutions such as conducting peer tutoring could be thought.

      • KCI등재

        모둠 구성원의 쓰기 수준 차이에 따른 대학생 동료 피드백 활동의 양상 및 효과

        이윤빈 ( Lee Yun-b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4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aspects and effects of each group`s peer feedback could be different through an union of the peer feedback group members by level in a college writing class. For this, college 60 freshmen was classified as homogeneous group in writing level and heterogeneous group. The main result wa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heterogeneous group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han homogeneous group`s in almost area. Second, a writer who relatively has the lower level of writing in the heterogeneous group was able to get a tutoring from peers who have the higher level of writing. But, in the contrast, a writer who has the higher level of writing tended to correct writing based on the problem detection provided from peers who have low level of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heterogeneous group should be composed to have an effective peer feedback in the college writing. And also we can consider to perform heterogeneous group activity in stages to improve its limit and consider peer feedback workshop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ncluding at least two writers who have the higher level of writing.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및 대안적 교육 방안 검토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4

        이 글은 대학 글쓰기 교육이 그 실효성과 가치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해 제기된 다양한 비판의 역사를 검토했다. 이후, 비판을 통해 도출된 주요한 대안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살피고, 해당 교육 방안들이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했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해 제기된 비판으로는 필수 교과로서 글쓰기 강좌를 폐지할 것을 주장한 초기 폐지론 및 글쓰기 전문가로부터 제기된 ‘새로운 폐지론’, 그리고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대학 글쓰기 강좌의 활동체계 모순을 비판한 논의를 검토했다. 또한 대안적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는 국내에서 이미 시도되고 있는 계열별 글쓰기 교육과 WAC 교육, 그리고 미국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WAW 교육과 수사학적 장르 인식 교육을 고찰했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수사학적 장르 인식 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장기적으로 WAC 교육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이 글쓰기 강좌에서 습득한 메타적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WAC 강좌에서의 구체적 장르 교육에 적응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o overcome ongoing criticism of its effectiveness and value. For thi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the various criticisms raised against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d several alternative instructional methods. Criticisms about college writing education examined are initial abolitionism, “new abolitionism” that raised from writing experts, and criticism about contradictions of the college writing classroom activity system based on activity theory. This study also consider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to teach writing: disciplinary writing, ‘Wring Across Curriculum(WAC)’, ‘Writing About Writing(WAW)’ and ‘Rhetorical Genre Awareness(RGA)’ instruction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use a RGA instruction in college writing classroom. In addition, long-term activation of WAC education, argued that the need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specific training in a variety of genres WAC courses based on a meta-awareness gained from writ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