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에 관한 연구

        이동은(Lee, Dong-Eun),이유호(Lee, You-Ho)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6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신규 게임 유입의 장벽을 낮추고 동시에 소액 결제를 통해 소비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촉발한다는 점에서 게임 업계의 대표적인 수익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부분유료화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와 적용 대상, 적용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있는 플레이어들의 게임 플레이 경험에 불균형을 양산하는 문제를 만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부분유료화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획득방법, 지속성, 기능 발현 대상에 따라 2가지 유형, 7가지 세분류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부분유료화 모델이 가지는 세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첫째, 게임 플레이 경험의 불평등 유발, 둘째, 게임 세계 경제의 불균형 양산, 셋째 게임 플레이 지속성 파괴가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의 부분유료화 모델이 한국 게임 시장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ree-to-Play of Digital Game became to be one of the largest profit business models because of its stable profit and ability to attract new players. However as the services that are provided gets diversified, some problem come up with mass imbalance in the gameplay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process to organize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Free-to-Play and typing research depending on the acquisition method, durability, and function of revelation target. It was able to derive the three problems, which are inequality in the gameplay experience, economic imbalance in the game world, and player's breakaway. The goal of study is to explain by giving specific examples with these three problems and offer rational solutions. These kinds of study will give a lead on how the Free-to-Play model should be applied to the Korean game market.

      • KCI등재

        『묵자』와 『원론』의 기하학적 내용 비교

        이광연 ( Gwang Yoen Lee ),설한국 ( Han Guk Seol ),이유호 ( You Ho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본 『원론』은 초등수학의 기초를 논리적으로 순서 있게 해설하여 서양수학의 기초가 되었다. 『묵자』는 중국에서 기원전 500년경의 춘추전국시대에 활동했던 묵자의 사상을 엮은 책이다. 이 책에는 『원론』과 같은 수학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묵자』와 『원론』의 수학적 내용은 정의가 같은 것도 있고 비슷한 것도 있지만 완전히 다른 것은 거의 없다. 이 논문에서는 『묵자』와 『원론』을 통하여 고대 동양의 수학과 고대 그리스의 수학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한다. 『묵자』는 수학적 내용 자체에 중점을 두었고, 『원론』은 수학적 내용을 전개하는 논리적인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동양이 수학적인 내용도 철학과 사상으로 해석하려 했던 반면 서양에서는 수학적 내용 자체를 연구하였기 때문이다. Euclid had given a logical explanation for elementary mathematics in Elements. So Elements became the basis of modern Western mathematics. Mojia is a book published about BC 500 years in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Mojiacontains the mathematical details the same as Element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Ancient Orient and Greece mathematics from Mojia and Elements. Mojia is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 but Elements is focused on a logical way to develop mathematical content. The reason is that the mathematical content of the Orient dealt philosophically while, in the West, has studied the mathematical content itself. This is the biggest difference of the mathematical point of view between ancient Orient and ancient Greece.

      • KCI등재

        역사와 철학 :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이광연 ( Gwang Yeon Lee ),김은미 ( Eun Mi Kim ),이유호 ( You Ho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고려시대의 능은 봉분 주위에 난간석과 난간가로대, 병풍석을 세웠고, 남쪽으로 상석과 문석인을 세웠다. 조선시대에도 이런 구조는 비슷했으며 다만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보다 더 많은 석 조각을 세웠다. 그런데 고려시대의 능은 대부분 훼손이 심하여 알아보기 힘든 것도 있으며 개축된 것도 그 당시의 능 그대로 개축되었는지 의심스럽다. 반면 조선시대의 능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의 능은 모두 황금비와 금강비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능은 훼손이 심하여 정확한 측량이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 구한 여러 가지 부분의 비율은 1.618:1이라는 황금비와 1.414:1이라는 금강비를 정확하게 만족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조사된 비율은 모두가 황금비와 금강비의 근삿값이다. 고려시대의 왕릉인 칠릉떼와 조선시대의 왕릉인 건원릉과 제릉에서 우리는 황금비와 금강비가 의도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 우리 조상들은 무리수를 사용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무리수를 왕릉의 건축에 활용하고 무량수전이나 석굴암 등에 활용하여 아름다운 건축물을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 조상들의 수학 실력은 대단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ombs during Goryeo Dynasty, which was one of ancient Korea`s greatest periods, used stone walls, stone screens, engravings and stone images in the form of a civil officials were displayed at the entrance royal tomb all with the purpose of honoring their fallen king. This way was also similar construct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but much more intricate and extravagant. However, the tomb from the Goryeo Dynasty has been extremely damaged and it has become really hard to recognize, it stays hard to recognize even after pieces have been recovered. On the other hand, the tombs are from Chosun Dynasty have all been kept well. The common part between the Goryeo and early Chosun generations is that tomb stones were largely created from gold and geumgang ratio. Anyway, it is really difficult to measure the tomb from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all the damage. So, it at least does not satisfies with Golden ratio(1.618:1) or Geumgang ratio(1.414:1) anymore however, the ratios from what could be measured had similar ratio to those perfect ratios. We got to know about construction of all seventh tombs from Goryeo dynasty and two tombs from Chosun dynasty purposely used golden, geumgang ratio and also we can assume that our ancestors used mathematics from later Goryeo era to early Chosun. We also can tell our ancestors were so good at mathematics through all proves about using mathematical method in construction of tombs and our beautiful cultural properties "Mooryangsujeon" or "Seokgulam".

      • Multivariate Majorization 관계를 강하게 보존하는 선형 연산자에 관한 연구

        이상구,이유호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6 論文集 Vol.47 No.1

        The definition of the majorization a ?? b for real row vectors a and b with n components is motivated as a way of making precise the idea that the components of a are less spread out than the components of b. Our interest is the subject of majorization for matrices. We generalize the definition of a majorization from vectors to matrices. It is called "a multivariate majorization ". For m. × n real matrices A and B, A is said to be multivariate majorized by B, written A ?? B, if there exist a n × n doubly stochastic matrix D with A = BD. This basic idea makes sense whether the components of a and b are points on the real line or points in a more general linear space. Very little is known about majorization where the components of a and b are not real number. In this paper, we deal with linear operator that strongly preservers multivariate majorizations, and obtain characterizations of linear operators that strongly preserve a multivariate majorization.

      • A Characterization of Strong Preservers of Matrix Majorization

        Lee, You Ho,An, Jeong Hyang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3 基礎科學 Vol.7 No.1

        n차의 정사각행렬 A와 B에 대하여 A=BX를 만족하는 row stochastic 행열 X가 존재하면 A는 B에 의하여 matrix majorization되었다고 말하며, A<B로 표시한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multivariate majorization 관계를 일반화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이 아닌 실수 행렬들 간에 matrix majorization 관계를 강하게 보존하는 선형연산자의 형태를 결정하였다. A matrix A is said to be matrix majorized by a matrix B, written A<B, if there exists an n×n row stochastic matrix X such that A=BX. This is a generalization of multivariate majorization. In this paper, we determine the linear operators that strongly preserve the matrix majorization on nonnegative real matr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