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기업의 증자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이유태,Lee, You-Tay 한국재무관리학회 2001 財務管理硏究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증자와 관련하여 풍문설이 유포되었을 때 그에 대한 조회공시의 내용을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나누고, 사건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 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 현상은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조회공시 후에 번복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하지만 시장이 이를 자본화(Capitalize)하지 않아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주가의 상승정도는 다른 조회공시에 비하여 약하지만 공시 당일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t=0때 2.12%)을 기록하여 확인공시의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중 공시나 부인 공시의 경우, 확연하게 조회의 내용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전달이 되지는 못하지만, 소문이나 풍문의 진위가 추후에 지연되면서 시장에 반영이 되는 듯하여(특히 무상 증자설 부인의 경우)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이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막연한 풍문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권가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증자에 대한 풍문은 그 진위여부나 실시시기에 관계없이 사후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KCI등재

        INTERNATIONAL TAKEOVERS: A COMPETITIVE ACQUISITION MARKET

        이유태,Lee, You-Tay Korean Financial Management Association 1994 財務管理硏究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ealth effect of foreign acquisition of U.S. based firms.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after appropriate control of domestic-acquired targets, the wealth gains to the shareholders of targets in foreign takeovers are similar to those in domestic takeov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competitive acquisition market in cross-border takeovers and concludes that : 1) in cases of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the U.S., foreign firms do not realize significant net benefits from acquisitions; and 2) the foreign acquirer is as well informed as its U.S, counterparts about the target's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each country has different motivations for investing in the U.S. market. Consider, for example, Japan. The evidence suggests that Japanese companies pay a considerable price for U.S. targets which have performed poorly before the takeover. While there is no specific rationale to explain why Japanese firms buy the most volatile and worst performing firms, international barriers may provide a possible reason for these anomalies. Overall, the evidence of this paper supports the view that foreign takeovers occur in a competitive acquisition market.

      • KCI등재

        THE OVERPAYMENT IN MULTIPLE BIDDING

        이유태,Lee, You-Tay Korean Financial Management Association 1997 財務管理硏究 Vol.14 No.3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inner's curse in the context of corporate takeovers. The study analyzes conditions which make overpayment likely. For a sample of corporate takeovers completed between 1982 and 1993, the analysis shows that the volatility of targets relative to that of acquirers (not the uncertainty of the target or acquirer alone) has a definitive impact on the magnitude of the winner's curse. Also, the incidence is more pronounced in multiple-bidder than in single-bidder contests. Specifically, white knights are more likely to overpay than other acquirers in multiple bidding situation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at the process of competitive bidding is a zero sum game since the greater returns to the shareholders of target firms in multiple-bid contests come at the expense of the acquiring companies, Overall,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bidders need to become more conservative, particularly as the relative uncertainty of the target's 'true' value and the number of bidders increase.

      • KCI등재

        일반논문 : 연체율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대한 고찰

        이유태 ( You Tay Lee ),이성백 ( Seong Baek Y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인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금융지원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 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2008년을 제외하고는 정책자금의 연체율이 일반 은행 대출의 연체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 둘째,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 두 지원방법 다 지방은행의 실질연체율이 시중은행의 실질연체율보다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별도로 자영업지원센터를 운영하는 지방 P은행의 경우 다른 지방은행과 비교해서도 낮았지만, 특히 시중은행과는 더욱 현저히 차이가 나서 그 차이가 일반 은행 대출의 경우 0.82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상공인을 금융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 하면 소상공인을 지원함에 있어 컨설팅과 교육을 연결하여 대출을 실시하고 자율적이고 시장 원리에 맞는 지역 금융시스템을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 은행은 지난 10여 년간 일선에서 소상공인을 지원하면서 많은 경험과 인프라를 축적한 소상공인 지원센터 시스템 및 상담사의 상담 능력을 벤치마킹하여 대출과 연계하고 현재 정책자금을 실시하는 중요 주체인 소상공인 진흥원 및 소상공인지원센터는 보다 효율적인 금융지원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컨설팅 및 교육 인프라를 확충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y for efficient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loan default rates between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for small enterprise in light of national balanced economy.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default rate of the policy fund is lower than that of the banks loan for small enterprise except the year of 2008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default rates fetches to 0.243%. The difference in the default rates outstands in 2011.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policy fund changes to the priority system which subsidizes the people first who took education and consulting courses beginning 2010. The financial support associated with education and consulting is expected to perform better than that without education and consulting in terms of the loan default rate. The fact that the interest rate of the policy fund is lower than that of banks loan could result in the lower default rate for the policy fund. Yet low interest rate turns out to be not related with low default rate in this analysi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associated with education and consulting is superior to the other case. 2) The loan default rate of local banks is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across the policy fund and the bank loans. The difference in the loan default rate by local banks and nationwide banks amounts to 0.384% for the policy fund and 0.605% for banks loa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oan to small enterprise is regionally oriented since small enterprise is based on the region. 3) 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which operates the consulting center on its own for small enterpris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The difference in the default rates amounted to 0.822%. Besides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across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for ``P Bank.`` 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local banks, too. Therefore, the lower default rate of the policy fund is attributable to consulting and education system, not to lower interest rate set by the policy. It is conclud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for small enterprise works better with the appropriate consulting and education and local financial system needs to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finding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licy fund increases the sales volume of small enterprise and the fund has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for small enterprise. But the policy fund can`t accomodate all of 2.7 million of small enterprise in Korea. Banks loan take most of loan to small enterprise. Therefore, The financial support under frequent start and closure of small enterprises these days needs to be associated with the appropriate consulting and education for the balanced economy as a whole. The outstanding banks loan to small enterprise now reached over 100 trillion won. If the default rate of bank loan ever rise, it gives much more financial distress to the banks. As a result, the national economy will surely suffer. The banks need to benchmark the expertise of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has been accumulated over the last 20 years by serving numerous smal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oversees the policy fund also needs to intensify the consulting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efficient financial support to small enterprise in Korea. This paper finds that the superiority of the policy fund to the banks loan is attributable not to the lower interest rate of the policy fund, but to the role of the counsellor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provides the consulting and education and shows the way to the efficient financial system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in the future. When small enterprise borrows take loan from banks, the criteria for loan decision by banks should be based on its pure creditability. For regional financial system in accordance with spontaneous economic principle to work properly, the banks need to develop credit rating model associated with stylized and standard abilities of the counsellors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It is crucial since small enterprise, especially at the beginning stage in its business, does not have enough sound financial data for applying for banks loan. As a matter of fact, many of start-ups are excluded even from the policy fund since the lending process of the policy fund also puts a lot of emphasis on quantitative figure such sales volume, net income, etc. Therefore the policy fund tends to be not properly served according to its original purpose of aiding start-ups of small enterprises. The policy fund rather subsidizes mature small enterprises with good financial status. Considering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money at the beginning stage of small enterprise, the policy fund and banks loan need to be allocated more to start-ups rather than to growing enterprise with better statistics in terms of sales volume and managerial environment. The appropriate credit rating model needs to be developed by incorporating the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by the counsellors at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The banks loan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small enterprise and an individual or self-employed although the government puts much energy in supporting small enterprise including making the law for small enterprise explicitly. Therefore, banks loan system needs to be coordinated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policy for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enterprise in light of national balanced economy, which in turn makes the aid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is study yet has limitations in that the differences in default rates between the banks loan and the policy fund are compared in univariate way for each category of industries, interest rates, gender, age, the business history, etc.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default rates of loan in more comprehensive wa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needs to be employed by designating the default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ustries, interest rates, gender, age, ways of supporting aids, the business history, etc.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ata including financial statements for small enterprise in Korea is hardly availabl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Small sample of 7 banks analyzed, missing data, outliers, etc. are also restrictions for this analysis. It is advised that in future study more number of banks and more data after 2011 need to be analyzed to reach more meaningful conclusion for efficient way of financial support to small enterprise in terms of national economy.

      • KCI등재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스폐셜이슈 : 대학생 현장체험학습(새가게운동)이 창업의도와 소상공인 경영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유태 ( You Tay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中小企業硏究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현장체험형 창업교육의 일환으로 부산시에서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새가게운동의 효과를 대학생 창업의지와 현장체험 대상기업인 소상공인 경영개선의 두 가지 관점에서 구조모형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새가게운동이 창업스킬과 기업가정신의 매개변수를 통하여 대학생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소상공인들의 경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새가게운동 체험학습이 대학생의 창업과 서민경제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생경영의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의 역량강화와 소상공인들의 성과향상에 동시에 기여할 수 있는 새가게운동을 청년창업을 통한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제안해본다. New Store Movement(NSM) is a university student field study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Busan since 2012.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NSM on the participating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mall enterprise owners` management performanc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SM has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parameters such as entrepreneurial skills and entrepreneurship.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NSM and management performance also have been shown positive. Participating in NSM with students has also increased business owners` entrepreneurial skills(management skills) and entrepreneurship. In particular, strengthened entrepreneurial skills through NSM have shown to contribute largely to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ccess of their businesses. Small enterprises are critical components of South Korea`s economy, and contribute largely to country`s basic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New Store Movement study have positive implications to society as the movement proves to help the owners of these small enterprises strengthen their business skills, explore their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Furthermore, New Store Movement provides a high quality field experience through which university students can build and strengthen practical business skills while establishing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relations with the aforementioned small enterprise owners. New Store Movement can provide a virtuous cycle in which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translate to real ventures that can support the economic growth and create employment opportunities. Ultimately, the movement is meant to not only provide a sound solution to the on-going unemployment crisis but also contribute to continuous and stable economic growth.

      • KCI등재

        중국의 제도 변화가 중국 노동자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유태(Lee, You-Tay)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5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를 적용하여 중국의 노동제도 변화와 노동자의 권력배제 원인을 분석한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노동법제의 급격한 변화와 후커우 제도의 점진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는 노사관계의 신자유주의화와 노동시장의 이중화를 초래하여 노동자에게 불리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 공산당의 이념사상인 마르크스주의 중국화는 노동자에게 불리한 제도 변화가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중국이 노동자에게 불합리한 방향으로 제도를 변화시켰지만 이러한 제도 변화가 중국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과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이념적 틀 짓기는 노동자가 제도 변화를 수용하게 함으로써 변화의 촉진제 역할을 한 것이다. 이처럼 각 제도의 변화들이 노동자의 권력 약화에 영향을 끼쳤고 결국 노동자들이 권력에서 배제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제도 변화가 노동자의 권력배제에 영향을 끼쳤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더불어 최근 이전과 같은 고도성장과 고용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중국이 불평등과 불합리를 상쇄하였던 성장과 고용을 충족하지 못하면 중국 노동자의 목소리가 커질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of labor system in China and the cause of the exclusion of workers from power by applying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China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the labor law system and gradual changes in the Hukou system. This caused neo-libera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dualization of labor market, which had a disadvantage to workers. Sinification of Marxism played a role in promoting the smooth acceptance of institutional changes that are unfavorable to workers. Although China changed the system in an unreasonable direction to workers, the ideological framework that such system chang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and effect on China s growth and development has played a role as a catalyst for change by allowing workers to accept institutional changes. As such, changes in each system have affected the weakening of workers power, which has led to workers being excluded from pow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of the system in China has influenced the exclusion of worker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f China, which has not achieved the same high growth and employment as before, fails to meet the growth and employment that offset inequality and irrationality, the voice of Chinese workers may grow.

      • 소상공인 생태계 관리

        이유태 ( You Tay Lee ) 한국금융공학회 2012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2 No.2

        본 연구는 1999년 이후의 ‘소상공인 2.0’ 시대의 한계점을 넘어, 무한경쟁 FTA시대에 혁신형 소상공인을 육성하고 소상공인을 중소기업 및 대기업으로서의 성장발판으로 인식하여 소상공인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상공인 3.0’을 제안한다. 최근 국내경기의 침체와 고물가, 원자재 값 상승 등으로 우리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소상공인 사업체의 경 영난이 지속되면서 경영개선을 통한 폐업방지, 경쟁력 있는 소상공인 창업과 유연한 퇴출에 대한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한데,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 뉴거버넌스 체제하에 혁신형 소상공인을 육성 하는 ‘소상공인 3.0’의 시대에 필요한 한국형 상권활성화 모델로 소상공인 생태계관리(SEM: Small-Enterprise Ecosystem Management)가 필요하다. 현재 270만의 과잉화된 소상공인이 ‘소상 공인 3.0’의 뉴패러다임 속에서 선순환하기 위해서는 복지형과 혁신형 소상공인 생태계의 두 체 제로 운영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혁신형 생태계를 지향해 나가야 한다. 소상공인은 지역별로 단위 생태계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상권 활성화 한국형모델’의 새로운 개념으로, 소상공인이 외부적 통제와 조정 없이 자연스럽게 지속성장 가능한(sustainable growth) 생태계관리(SEM)를 제안한다. 생태계관리 (SEM)는 인구, 면적 등을 고려한 단위 생태계인 컴팩상업지역(CCD)을 중심으로 작동하는데, 지역 별, 국가 전체별로 컴팩상업지역을 지정하고 이를 통합하여 소상공인 (SEM)중앙회’가 소상공인 뉴거버넌스 시스템하에 관리하는 것이다. 현재는 소상공인 지원에 대한 뉴거버넌스적 주체 및 시 각이 형성되지 않아 사회적으로 많은 중복지원과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는데, 소상공인 (SEM)중 앙회’가 뉴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소상공인 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계 법률을 개정하면서 소 상공인을 중소기업 및 대기업으로서의 성장발판으로 인식하는 ‘소상공인 3.0 시대’를 선도하여 야 한다.

      • 연체율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대한 고찰

        이유태 ( You Tay Lee ),이성백 ( Seong Baek Yi ) 한국금융공학회 2012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2 No.-

        본 연구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인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소상공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금융지원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 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2008년을 제외하고는 정책자금의 연체율이 일반 은행 대출의 연체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 둘째,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 두 지원방법 다 지방은행의 실질연체율이 시중은행의 실질연체율보다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에서 유일하게 별도로 자영업지원센터를 운영하는 지방P은행의 경우다른 지방은행과 비교해서도 낮았지만, 특히 시중은행과는 더욱 현저히 차이가 나서 그 차이가 일반 은행 대출의 경우 0.82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상공인을 금융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자금과 일반 은행 대출의 실질연체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소상공인을 지원함에 있어 컨설팅과 교육을 연결하여 대출을 실시하고 자율적이고 시장 원리에 맞는 지역 금융시스템을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 은행은 지난 10 여년간 일선에서 소상공인을 지원하면서 많은 경험과 인프라를 축적한 소상공인 지원센터 시스템 및 상담사의 상담 능력을 벤치마킹하여 대출과 연계하고 현재 정책자금을 실시하는 중요 주체인 소상공인 진흥원 및 소상공인지원센터는 보다 효율적인 금융지원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컨설팅 및 교육 인프라를 확충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way for efficient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loan default rates between the government fund and bank`s loan for small business in the view of national balanced economy.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oan default rate for government fund is lower than that of bank`s loan for small enterprise except the year of 2008, 2) the loan default rate of local banks is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and 3)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which operates the supporting center for small busines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ationwide banks. The difference amounted to 0.822% for banks loan. The loan default rate of the local ``P bank`` is lower than that of other local banks, too. It is concluded that the financial support for small business works better with the appropriate consulting and education and local financial system needs to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principle.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anks`s loan for small enterprise coupled with the expertise of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has been accumulated over the last 10 years by serving the smal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System which oversees the government fund needs to intensify the consulting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efficient financial support for small business.

      • KCI등재후보

        소상공인의 과당경쟁실태가 신규사업 진입율과 폐업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근하 ( Geun Ha Suh ),이유태 ( You Tay Lee ),노화봉 ( Hwa Bong Noh ),유점석 ( Jum Suk Ryu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소상공인 적정규모의 관리를 위하여 소상공인 과당경쟁실태가 신규사업진입율과 폐업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경제지표 변수탐색과 예측결과 추정모형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형은 진입률, 경제성장률(GDP 증가율), 실업률 3개 변수를 적시하였다. 소상공인 진입률은 소상공인 폐업률에 양(+)의 방향으로, 경제성장률은 폐업률 비중에 음(-)의 방향으로, 실업률은 소상공인 폐업률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상공인 진입에 소위 끌어내기 가설보다는 밀어내기 가설이 성립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모형에 당해 연도 소상공인 사업체 시장 진입률, 지역경제성장률, 그리고 실업률을 투입하여 산출식을 계산하면, 우리나라 소상공인의 폐업률을 예측하는 경제적 지표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정부의 소상공인 적정규모 관리를 위한 정책입안과 예측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small enterprises on entry and exit rates, By developing an estimation model, we were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entry rate of small enterpris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it rate of small enterprises in a positive (+) direction. Second, the rate of economic growth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portion of the exit rate in a negative (-) direction. Third, an unemployment rate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exit rate of small enterprises. The prediction model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conomic indicator for estimating the exit rate of small enterprises in Korea and will be served as a matter of impotence for the government`s policy making and forecasting.

      • 한국기업의 유상증자에 대한 조회공시의 정보 효율성

        이유태 釜慶大學校 1999 釜慶大學校 論文集 Vol.4 No.1

        This paper studies the informational efficiency of disclosure of inquiry regarding Koreas equity issue. Using event-study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s the disclosure of inquiry into 3 different aspects: Confirmation, Denial, and Consideration. The patterns of cumulative abnormal returns (CARs) of those of Confirmation. Denial, and Consideration were found to be irrational . Stock prices could go up when good rumor for the companies are spurred around. Yet after official denial of the rumor the stock price does not reverse its upturn. Moreover, the disclosure was not timely enough since CARs have already reached to a very high level before desclosure of inquiry. Thus this study concludes that disclosure of inquiry regarding Koreas equity issues is in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