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OVERPAYMENT IN MULTIPLE BIDDING
이유태,Lee, You-Tay Korean Financial Management Association 1997 재무관리연구 Vol.14 No.3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inner's curse in the context of corporate takeovers. The study analyzes conditions which make overpayment likely. For a sample of corporate takeovers completed between 1982 and 1993, the analysis shows that the volatility of targets relative to that of acquirers (not the uncertainty of the target or acquirer alone) has a definitive impact on the magnitude of the winner's curse. Also, the incidence is more pronounced in multiple-bidder than in single-bidder contests. Specifically, white knights are more likely to overpay than other acquirers in multiple bidding situation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at the process of competitive bidding is a zero sum game since the greater returns to the shareholders of target firms in multiple-bid contests come at the expense of the acquiring companies, Overall,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bidders need to become more conservative, particularly as the relative uncertainty of the target's 'true' value and the number of bidders increase.
한국기업의 M&A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이유태,Lee, Yu-Tae 한국재무관리학회 1998 재무관리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인수 합병(M&A)과 관련하여 풍문 설이 유포되었을 때 사건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조회공시를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의 결과는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정확하지만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공시 전에는 주가의 상승정도가 미미하여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적지만 공시내용의 확인을 거치면서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여 부인공시의 수익률을 초월하여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이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은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항상 낮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풍문이 사실과 거리가 있을수록 관련된 투자자들이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비합리적인 주장을 뒷받침 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M&A의 풍문에 대하여 사실무근이라는 유권해석이 투자자의 초과수익률에 나쁜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유태,김형석,Lee, Yutae,Kim, Hyoung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2
소프트웨어 노화에 따른 시스템의 예기치 않은 장애 발생은 재활 기능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 시스템 재활 기능은 주로 시스템이 가장 한가한 시간에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가용도를 높일 수 있다. 재활 기법은 크게 시간 기반과 조건 기반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시간 기반 재활은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수행되고, 조건 기반 재활은 시스템 상태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된다. 조건 기반 방식은 시스템 감시와 정보의 수집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해 재활 시점을 추정해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시간 기반 소프트웨어 재활 기법을 분석할 수 있는 확률 모형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형은 재활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한다. 해당 확률 모형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시스템 가용도와 사용자 인지 가용도 및 이에 따른 비용을 분석한다.
IEEE 802.11e EDCA 무선랜의 매체 접속 지연 시간 및 정상 상태에서의 패킷 지연 분석
이유태,장종민,이계상,김동일,김창규,Lee, Yu-Tae,Jang, Jong-Min,Lee, Key-Sang,Kim, Dong-Il,Kim, Chang-Kyu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8
This paper derives medium access delay of each AC(Access Category) in a stationary station using inter-departure time of IEEE 802.11e WLAN(Wireless LAN). Inter-departure time of IEEE 802.11e WLAN is obtained using saturation throughput of IEEE 802.11e WLAN which was the topic of our prior work. By using a simple queueing model, we evaluate mean queue length and mean delay for each AC on stationary condition. We calculate performance of each AC using this simple model and validate results using simulation. 본 논문은 IEEE 802.11e 무선랜 환경에서 단말 수에 따른 각 AC(Access Category)별 포화 상태의 시스템 처리율과 관련한 기존 결과에 기반을 두어, IEEE 802.11e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시간 간격을 통해, 각 AC별 매체 접속 지연 시간을 유도한다. 이 매체 접속 지연 시간을 서비스시간으로 갖는 대기행렬모형을 이용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각 AC별 대 기열의 길이와 패킷 지연 시간을 유도한다. 또한, 수치 해석과 모의 실험을 통하여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각 AC별 성능을 분석한다.
이유태,Lee, Yu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7
Performing preventive maintenance on a system reduces unexpected downtime caused by system aging and increases its availability. In general, preventive maintenan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time-based maintenance policy and condition-based maintenance policy. In the time-based maintenance policy the preventive maintenance is triggered at scheduled time epochs with fixed time intervals, while in the condition-based maintenance policy the preventive maintenance is performed when system state is checked to satisfy a specific condition. Condition-based maintenance has some benefits in improving maintenance efficiency, compared to time-based one. This paper presents a stochastic model for analyzing a system with condition-based preventive maintenance, where the preventive maintenance is performed after a random time since the system aging occurs, and provides an analytical solution for the steady-state availability and the corresponding profit.
한국기업의 증자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이유태,Lee, You-Tay 한국재무관리학회 2001 재무관리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증자와 관련하여 풍문설이 유포되었을 때 그에 대한 조회공시의 내용을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나누고, 사건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 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 현상은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조회공시 후에 번복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하지만 시장이 이를 자본화(Capitalize)하지 않아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주가의 상승정도는 다른 조회공시에 비하여 약하지만 공시 당일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t=0때 2.12%)을 기록하여 확인공시의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중 공시나 부인 공시의 경우, 확연하게 조회의 내용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전달이 되지는 못하지만, 소문이나 풍문의 진위가 추후에 지연되면서 시장에 반영이 되는 듯하여(특히 무상 증자설 부인의 경우)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이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막연한 풍문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권가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증자에 대한 풍문은 그 진위여부나 실시시기에 관계없이 사후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이차사용자의 신뢰 벡터를 추적하여 이차사용자 사이의 충돌을 줄이기 위한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방식
이유태,Lee, Yu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11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방식에서 각 이차사용자는 자신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채널의 상태를 추적하여 채널이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다수의 이차사용자가 동일한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방식에 따라 동작한다면, 대부분의 이차사용자는 비슷한 결과의 채널 상태 추적 정보를 얻게 된다. 이로 인해 각 이차사용자가 동일한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차사용자 사이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차사용자 사이의 충돌을 줄이기 위하여 다른 이차사용자의 신뢰 벡터를 추적하여 그 결과를 채널 선택에 이용하는 동적 스펙트럼 접속 방식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이 다른 이차사용자를 고려하지 않는 방식에 비해 성능이 더 나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Real Option Valuation in the Refinery Industry
이유태,이창규,Lee, Yu-Tae,Lee, Chang-Gyu Korean Financial Management Association 2001 財務管理論叢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물옵션이론을 바탕으로 정유회사의 가치평가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유회사는 가치평가를 위해서 회계적 가치외에 관리적 유연성(managerial flexibility)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DCF방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실물옵션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관리적 유연성은 회사관리자가 적용가능한 생산관리적 기법으로서 회사의 미래현금흐름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회사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DCF방법은 이러한 관리적 유연성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여 회사의 가치를 저평가하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반면 실물옵션방법은 관리적 유연성을 가치평가에 있어서 주요 변수를 인식하기 때문에 정확한 가치평가의 수단이 된다. 옵션가격결정을 위한 기초자산은 크랙스프레드(crack Spread)이다. 크랙스프레드는 경유(heating oil)와 무연휘발유(unleaded gasoline)의 가격과 원유(crude oil) 가격의 차이를 나타내며 정유회사의 정유순익(gross refining margin)을 대표한다. 실물옵션방법에 의한 정유회사의 가치는 DCF방법에 의한 가치보다 두 배가 크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즉 관리적 유연성이 존재하는 회사의 경우는 가치평가에 있어서 실물옵션방법을 이용하여 가치를 저평가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