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내성의 『마인』과 한국적 탐정 소설의 향방 - 에도가와 란포의 탐정소설과 대비하여 -

        이원동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8

        Kim Nae-sung's The Evil (魔人) is a fully-fledged detective novel based on the traditional elements of incident, detective, and criminal. However, the “Detective in Love” motif weaken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detective and the criminal. In addition, the killer gets to know much more information about the case more quickly than the detective. As a result, the detective is unable to prevent further victims of consecutive murder incidents. However, the detective of The Evil (魔人) is neither a competent criminal investigator nor a competent fighter, yet he is in key position for discovering the human and moral meanings underlying a current murder case and a past scandal. Of course, the final meaning revealed in the narrative of The Evil (魔人) is the misfortunes of the conventional fate mechanism represented by “the reunion of father and daughter.” However, the conventionality of The Evil (魔人) must be judged in a planning dimension of Kim Nae-sung’s detective novels. Kim Nae-sung and the Japanese disputants of the time tried to secure artistry in detective novels, arguing that artistry could be found in psychological illusion rather than rational reasoning. This is because rational reasoning was considered to be mechanical. Thus, they made similar claims, but the specific context was different. Edogawa Ranpo wanted to fi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tective novels that distinguished them from European novels. In addition, detective novels in Japan reflected cultural tastes centered on the male elite, not the mass genre. On the other hand, Kim Nae-seong serialized The Evil (魔人)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in a newspaper. In this sense, the conventionality of The Evil (魔人) was the expressed result that Kim Nae-sung's detective novel planning was met with both a series story in a newspaper and the popular sensibility 김내성의 『마인』은 사건, 탐정, 범인의 요소가 근간이 되는 본격 탐정소설이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탐정’ 모티프 때문에 탐정과 범인의 대결 구도가 약화된다. 게다가 살인범이 탐정보다 사건에 대한 정보를 더 빨리, 그리고 더 많이 알게 된다. 그 결과 탐정은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살인 사건의 희생자를 막지 못했다. 그러나 『마인』의 탐정은 수사 능력이나 투쟁 능력에서는 뛰어나지 않았지만, 현재의 살인 사건과 과거의 치정 사건이 가지고 있는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서사적 위치에 있었다. 물론 『마인』의 서사에서 최종적으로 드러난 의미는 ‘아버지와 딸의 상봉’으로 대표되는 통속적인 운명의 기구함이었다. 그러나 『마인』의 통속성은 김내성의 탐정소설 기획 차원에서 판단해야 한다. 김내성과 당대의 일본 논자들은 탐정소설에서 예술성을 확보하려고 했는데, 그것은 이성적 추리보다는 인간의 심리적 환상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이성적 추리는 기계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이들은 비슷한 주장을 했지만 그 구체적 맥락은 달랐다. 에도가와 란포는 유럽 소설과는 다른 일본 탐정소설의 고유한 특성을 찾고자했다. 또한 일본에서 탐정소설은 대중 장르가 아니라 남성 엘리트 중심의 문화 취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서 김내성은 1930년대 후반기, 조선에서 신문 연재소설이라는 방식으로 『마인』을 연재했다. 그런 의미에서 『마인』의 통속성은 김내성의 탐정소설 기획이 신문연재 소설, 그리고 대중적 감수성과 만나면서 표출된 결과였다.

      • KCI등재

        최적 운송물량 분할방식의 수송경로에 따른 운송비용 최적해법

        이원동,이재은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4

        화물운송의 특성은 출발지에서 도착지로의 제품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며 도착요구의 가변성, 시간제약, 시장 확보 및 경쟁의 정도, 생산량의 변동, 제품의 가격 및 운송비용 등이 업체의 운송정책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소들이다. 기본적으로 수송문제는 최소비용문제(minimum cost flow problem)로 다수의 공급지와 다수의 수요지가 존재하고 물량의 공급량, 물량의 요구량, 배송 단위당 비용이 모두 다른 복잡한 경우에 적용된다. 개의 공급지와 개의 수요지가 있고, 다른 공급량 를 수요지에서 서로 다른 갖고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단위 당 배송비용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원재료를 제조공장으로 수송하여 제품으로 만든 후 완성된 제품을 고객까지 배송하는 과정에서 운송비가 발생되기 때문에 운송 모형화를 통해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는 분배 및 할당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원재료를 제조공장으로 수송하여 제품으로 만든 후 완성된 제품을 고객까지 배송하는 과정에서 운송물량을 분할하여 수송경로에 따른 최적해를 도출해 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Cluster1은 실험 모형의 전체물량을 대상으로 전체 운송비용 최적해 도출을 위한 실험을 하였고 Cluster2, Cluster3은 운송물량 분할 방식의 DBSA를 적용하여 실험대상을 2,3개로 분할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전체비용 =1,2,3이 평가되었다. Cargo transportation possesses unique characteristic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product type, origin-to-destination dynamics, fluctuating demand, time constraints, market conditions, competition, production volume fluctuations, product pricing, and transportation costs. These factors significantly impact a company's transportation policie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transportation problem can be seen as a minimum cost flow problem utilized in intricate scenarios involving multiple supply and demand locations, each with distinct volumes of supply and demand, along with specific unit delivery costs. The system comprises a total of supply points and (n) demand points, with varying supply amounts at each supply point and corresponding demands at the respective demand points. Additionally, each unit of shipment incurs a specific shipping cost .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costs associated with transporting raw materials to manufacturing plants for product creation and the subsequent shipping costs involved in delivering the finished products to customers. Hence, developing a distribution and allocation plan that effectively minimizes transportation modeling costs is of utmost importance. To achieve an optimal solution, this study adopts an experimental approach by dividing the transportation volume based on the transportation route for raw materials delivery and subsequent product shipping. Cluster1 conducted an experiment to derive the optimal solution for the total transportation cost of the entire quantity within the experimental model. Cluster2 and Cluster3 utilized the transport volume distribution allocation method and implemented the DBSA algorithm to divide the vehicle route. The test subject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segments, and the evaluation of the total cost was performed for scenarios where =1,2,3.

      • KCI등재

        지역기반형 도시재생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원동,최명식 국토연구원 2017 국토연구 Vol.93 No.-

        This study aims to show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works for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The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 in Cleveland is obviously a different case from common public-led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y in that it was launched by community stakeholders. We employed the theoretical model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to analyze key factors and processes that enabled GUCI to grow using within-case analysis and process-tracing methods. Since its beginning in 2005, GUCI has tried to improve the disinvested and deteriorated area by a variety of urban projects using local resources and embedded knowledge. Locally-based agencies such as community foundations and anchor institutions have been major force in designing the long-term regeneration strategy of GUCI. Moreover, diverse community organizations and civic associations have successfully engaged local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grassroots network. They served as a crucial channel for the preferences of community members to be reflected in urban planning proces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su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urban regeneration depends on empowering as many local stakeholders as possible and building community wealth based on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nd cross-sector partnership. 본 논문은 클리블랜드의 장기 도시재생 이니셔티브인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의 사례를중심으로 지역기반형 도시재생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극심한 인구 감소와 슬럼화 및 도심의 낙후화, 투자 저하와 만성적인 저개발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었던Greater University Circle 지역에서는 민간이 보유한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을 위한 막대한 재원을 내생적으로 창출하였다. 또한 관련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된 커뮤니티 자산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향상시키고 공동체의 민주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 개발에 대한 노하우와 풀뿌리 네트워크를바탕으로 커뮤니티 재단, 민간사업체(앵커시설), 비영리지역재생회사(CDCs), 주민 당사자 등을 포함한민간부문이 주도적으로 이니셔티브를 추진함으로써가능했다. 본 논문은 지역기반형(Community-Based)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인들을파악하기 위해 GUCI 사례에 대한 내부 분석 및 과정추적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민간이 행정의 대등한 협력 파트너로 인정받기 위한 초기 조건(Starting Conditions) 형성의 중요성, 둘째, 행위자들 간 협력을촉진하는 데 있어 풀뿌리 단체들의 긍정적 기여, 셋째, 투명한 정보공개와 공정한 평가의 필요성, 넷째, 도시계획 과정에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하고 민간의가용자원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거버넌스 위원회와 시의회의 기능, 다섯째, 사업영역별 목표 설정 및성과측정 과정에서 다중심적(Polycentric) 의사결정체계의 효율성, 여섯째, 협력적 거버넌스를 촉진하기위한 커뮤니티 역량 강화(Community Empowerment) 의 조력자로서 지역재단의 역할이 그것이다.

      • KCI등재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발 1. 염장조건의 최적화

        이원동,장동석,강선모,윤지혜,이명숙,LEE Won-Dong,CHANG Dong-Suck,KANG Sun-Mo,YOON Ji-Hye,LEE Myung-Su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2

        재래식 창란 젓갈은 정치상태로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염장 및 숙성 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높은 수분함량으로 변패가 빠른 단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공정 중에 교반염장 과정 및 염지 유출수 제거과정을 도입하여 염장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원료창란에 $12\%$의 식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10rpm으로 교반한 경우 염장 2시간만에 목표염도인 $11\%$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정치염장의 경우 6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교하면 염장시간을 4시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반염장 후 2시간째에 유출수를 제거한 경우의 Aw는 0.88이었으며, 반면 유출수를 제거하지 않은 창란의 Aw는 0.94인 것으로 나타나 높은 수분함량 때문에 나타나는 품질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hangran-Jeotgal (salt fermented viscera of Alaska Pollack) produced by conventional process has been exposed to several problems, such as quality variation, salty taste and relatively short shelf-life. Therefore, Improved manufacturing process of Changran-Jeotgal was designed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optimization of salting process. The result showed that salting stage must be maintained $11\%$ to acquire $8\%$ NaCl concentration of final products, when $12\%$ NaCl was added at $20^{\circ}C$, salting process was maintained $11\%$. Also, agitation with 10 rpm shortened salting time from 6 hours to 2 hours. To resolve the problem of water contents due to released extract from salting process, the released extract was removed at 2 hours after agitating-salting process, and it caused the water activity of products to be reduced from 0.94 to 0.88.

      • KCI등재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 발 3. 조미공정의 개량 및 품질평가

        이원동,이재진,장동석,윤지혜,이명숙,LEE Won-Dong,LEE Jae-Jin,CHANG Dong-Suck,YOON Ji-Hye,LEE Myung-Suk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2

        In Conventional process, sugaring and seasoning step were combined during seasoning process of Changran-Jeotgal. While, in the case of Improved process, sugaring and seasoning step were separated and agitation was employed in order to control moisture content and improve taste. The addition of $20\%$ of corn syrup and agitation with 10 rpm for 4 hours at $20^{\circ}C$ were carried out to optimize the seasoning process in Changran-Jeotgal. From above results, quality estimation of Changran-Jeotgal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for salinity, pH, VBN value, crude fat and crude protein between Improved process and Conventional one, However water activity of Changran-Jeotgal produced by the Improved process was lower with 0.82 than that of Conventional one with 0.90. An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Improved process produced more favorable products; By regional groups, Seoul residents favored them more than Busan ones and by age, teen-aged like them best. 창란젓갈의 조미공정에서 효율적인 수분조정과 물엿에 의한 맛의 이질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엿을 먼저 첨가하여 교반당장을 한 후 부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미공정을 개선하였으며 그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물엿을 첨가하여 당장을 할 경우 첨가농도 $20\%$, 처리온도 $20^{\circ}C$, 교반속도 10rpm으로 4시간 교반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당장을 할 경우 4시간만에 당농도가 평형에 도달하여 기존의 정치당장에서 6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당장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개선된 창란젓갈 신제조 기법과 재래식제조 방법의 각 제조공정별 제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결과, 공정전반에 걸쳐 염도나 pH, VBN값, 조지방, 조단백 등의 성분들에 대하여는 두 방법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_{w}$와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재래식 제조법에 의한 완제품의 $A_{w}$가 0.90인데 비해 공정을 개선한 경우 완제품의 $A_{w}$는 0.82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제품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 일반 소비자에게 (부산 지역의 4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인 수용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관능평가의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920년대 전반기 소설 담론에서의 내용적 가치와 예술 개념의 경계 -일본의 산문예술론자와 한국의 신경향파론자의 경우

        이원동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7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the word content value of novels was discussed in Japan and Korea. Instead of the existing practice of considering formal perfection as the standard for judging the value of a novel, they set up sanctions or content as the standard. However, the reason for doing so was different, because in Japan, it was seen that everyday life, rather than organic, poetic, wa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novel genre, and in Korea, everyday life, which was a sanction for novels, was experienced classically differently. However,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Korea and Japan are beginning to understand that the genre of fiction is, in fact, the object of a divided and contradictory life concrete.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ncrete life includes not only full artistry, but also moral values, axiomatic judgment, and political attitude.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artistry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genre as a medium.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the concept of a modern novel that reproduces real life was a 'place of debate' that had to be defined by someone. 1920년대 전반기, 소설의 내용적 가치라는 말이 일본과 한국에서 거론되었다. 이들은 형식적 완성도를 소설의 가치 판단 기준으로 여기던 기존의 관행 대신하여, 제재 혹은 내용을 그 기준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그렇게 했던 이유는 달랐는데, 일본에서는 유기적, 시적인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적인 것이 소설 장르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며, 한국에서는 소설의 제재가 되는 일상생활이 계급적으로 다르게 체험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소설이라는 장르가 사실은 분열되고 모순된 삶의 구체성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 구체적 삶 속에는 충만한 예술성뿐만 아니라 도덕적 가치, 공리적 판단, 정치적 태도 등도 포함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는 소설 장르의 고유한 특성을 매개로 해서, 예술성의 개념이 확장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동시에 현실적 삶을 재현한다는 근대소설의 개념이 누군가에 의해서 정의되어야 할 ‘논쟁의 장소’였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만주 담론과 이기영 소설의 변화

        이원동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7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hange of Lee ki-young's novels at the end of colonial era(1937-1945). Up to recently, researches of this article explain that his novels pass from 'proletarian' to 'pseudo imperial' identity. In this case,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is the core of imperialism. Accordingly, koreans treat Manchurian as a barbarian and consider oneself as a civilized man in Manchuria. but he represented Manchurian as to be a familiarity and inreasonableness his novels.This research explains the change that his novels pass from realism to romanticism at the method of creation. Lee ki-young composed the narrative that Korean settler exploited a Manchuria continent. Lee ki-young explored a possibility of the national identity by means of korean settler's leading a exploitation of Manchuria continent. Whereas Lee ki-young erased the existence and history of Manchuria because of korean settler's dominant role in Manchuria. In his novels, The discourse of Manchuria represented complicated relations with discourse of a imperial and discourse of a subject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