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fessional Discourse and the Presence of Power in Under Western Eyes

        이우학(Woohak Lee) 한국영미어문학회 2005 영미어문학 Vol.- No.76

        Reading Under Western Ey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power in confessional discourses. The language teacher's narrative transformation of Razumov's confessions exposes the natures of authority and discourse practices in the context of Russian autocracy. Confessional discourses, as Razumov's written confessions demonstrate, are products of the ideological struggles of the autocratic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tremel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in the society a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fessions. This particular form of discourse is more than "an act of free will". The confessional discourse flourishes in a society where a diversity of voices is not tolerated. In this monologic discourse condition, even other discourses become confessional, because voices are monitored, excluded and punished by the authority.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s of the subjectivity in Razumov's confessions and the significance of hearers in shaping the confessional discourse. Questioning power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 participants, Conrad tells us that the self which Razumov tries to justify through his autobiographical confession is in fact a social construction, a result of social struggles of his time.

      • KCI등재

        『마녀들』과 『꿈꾸는 요요』에 나타난 변신 연구

        이우학(Lee, Woohak),이수경(Lee, Sookyung)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3

        The theme of metamorphosis is recurrent not only in ancient forms of tales, such as myths, legends and folklores, but appears frequently in modern narratives. Tales of metamorphosis tap into the deepest recesses of human consciousness. Tales in which humans transform into animals and the animals vice versa has been much loved by children i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Witches, Roald Dahl deals with a boy who is turned into a mouse. A Dreamer Yoyo is a story about a genetically engineered mice escaped from a lab. Both children’s fictions use a mouse hero whose characters resemble children’s. Dahl’s work is concerned with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he hero mouse. Yoyo’s body never changes but undergoes inner transformation. Both tales take different patterns of metamorphosis. The boy who turns into a mouse never becomes a human. However the genetically mutated Yoyo experiences an inner transformation. His mental ability is equivalent to human intelligence. Though their transformation is not due to their own choice, they have courage to accept the change and appear to enjoy their transformation. Love and friendship makes it possible. This is contrasted to the fate of the Beetle in Kafka’s Metamorphosis in which the tragic hero faces death in absurd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에 나타난 아동의 상호관계적 조망수용의 발달: 아빠의 개입을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아동들이 우정을 나누고 친구관계를 형성하게 해주는 상호적 관계는 인지적·정서적 성장과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아동에게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일은 중요한 요소이지만 실제로는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전조작기에 속한 아동들도 이해력과 판단력이 미숙하여 종종 잘못이해 하고 편견을 가지기도 한다. 구체적 조작기나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아동들도 사소한 실수나 오해로 인하여 낙담하게 되고 상처를 받게 된다.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은 친구를 사귀고 교우 관계를 원만히 하는데 효과적인 방안과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사고와 생각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구체적 조작기 후기에 도달한 성숙한 아동들도 미숙한 조작능력으로 인하여 갈등을 일으키고 친구관계를 유지하는 일에 어려움을 겪곤 한다. 아이가 해결할 수 없는 막다른 갈등상황에 도달했을 경우 부모의 적절한 개입은 불화를 해결시켜주는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괴롭히는 친구 무찌르는 법』은 부모의 일방적인 강요가 아니라 아동 스스로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주어 적을 친구로 변화시키는 창조적인 전략을 보여준다. 아동이 성장해 간다는 의미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탈중심성을 획득하여 상대방을 조망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을 취득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형식적 조작기 초반에 들어선 아동들도 감정적인 문제로 인하여 갈등을 겪게 될 때 자신이 처한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행동하지 못한다. 주인공 아이는 친구와 갈등을 빚지만 아빠의 현명하고 지혜로운 개입으로 인하여 친구관계를 회복한다. 주인공 아이는 처음에는 내키지 않아했지만 상호관계적 조망수용능력을 발현시킴으로써 갈등을 넘어서 보다 성숙한 인간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아동들의 우정과 친구관계를 보다 학술적으로 탐구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아동이 형성하는 친구관계의 중요성과 그 포괄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allows children to form friendships is very important in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Making new friends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child development. However it is not easy in practice. Children who belong to the Preoperational Period are often dislocated and prejudiced. Children who have arrived at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or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are often despairing and hurt by their mistakes or misunderstandings in unintended circumstances. The picturebook, Enemy Pie provides the effective ways of making new friends. In order to make a friend, a child needs a comprehensive ability of cognition and emotion to recognize other children's thoughts and feelings. Even the children reaching the late stage of the Concrete Operational Period often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friendships due to their conflicts with friends caused by their inexperiences. Proper intervention by parents is a positive way of resolving this sort of disagreement, if children have reached a deadlock that can not be resolved by them. In this essay, we argue that Enemy Pie does not present a one-sided solution, but a creative strategy of father that helps children think deeply and transform their enemies into friends. Children must achieve their decentralization out of egocentrism by having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s perspective enables them to establish their friendship, which makes them care about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Even children in the Formal Operational Period often fail to properly judge and act when conflicts with friends unexpectedly occur due to their overwhelming emotions. In Enemy Pie, because of the father's wisdom and proper intervention, the children understand their interrelation and restore their friendship each other. At first, although very unwilling, the main character, by changing his thoughts and minds, eventually gets a more mature ability of the Interrelative Perspective Taking. Through this ability, we can see that a mature human 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 KCI등재

        학교 불안심리의 치유를 위한 아동의 판타지: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와 『지각대장 존』을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6 No.-

        인지능력이 발전하고 사고의 범위가 넓어지게 됨으로써 아동들은 정서적으로도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아동들의 대표적인 불안정서에는 학교 불안심리가 있다. 부모나 집을 떠나 학교로 간다는 사실이 두려움이나 공포로 발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림책인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와 『지각대장 존』은 아동들의 마음이 종종 환상과 상상에 지배당하는 내면적 실태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심리적 판타지에 담긴 정서적 실체와 이를 표상하는 심상들(inner images)은 그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의 해소와 치유를 위한 중요한 단서들이 된다. 그러나 아동들의 인지발달단계가 나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겪는 학교 불안심리의 양태와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동들의 학교 불안심리를 심리적 판타지라는 관점에서 분석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암흑의 늪에서 온 교사』에서는 직관적 단계에 속한 아동의 환상적 판타지(illusive fantasy)를 통하여 분리불안에 의한 학교불안과 공포를 설명하고, 『지각대장 존』에서는 구체적 조작기에 속한 주인공인 존의 상상적 판타지(imaginative fantasy)에 담긴 학교 불안심리에 대한 내면적 특징과 치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hildren begin to develop their emotional anxieties as their cognitive abilities increase and the ranges of their thinking become wider. School anxiety is one of the typical anxiety of these children. The fact that children have to leave their parents (or their home) and go to school makes them suffer from their school anxiety as they develop their fearful feelings to it. The Teacher from the Black Lagoon and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show the inner reality of their psyche in which children's minds are often dominated by unreal fantasies and imaginations. As the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are different from age to age, the developments and aspects of the school anxiety are also varied according to their ages. In order to clarify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chool anxiety of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fantasy. The Teacher from the Black Lagoon explores the unreal fears and horrors of the school lifes caused by the illusive fantasy of a young boy in the Intuitive Stage.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shows how John, the main character of the Concrete Operation Period, overcomes and heals his school anxiety through the characteristic ways of his imaginative fantasy.

      • KCI등재

        아동의 4단계 자아실현을 위한 전능감과 참자기의 중요성 - 『훌라후프 돌리기 여왕』과 『달님을 잡아라』를 중심으로

        이영준 ( Lee Youngzun ),이우학 ( Lee Wooha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3 No.-

        아동들의 자아실현은 나이와 발달과정에 따라 성인들과는 달리 특별한 방식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아동의 자아실현은 영아기에 구축되는 원초적 전능감과 참자기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동의 자아실현을 위해서는 유아기에 경험한 전능감과 참자기의 원초적 욕구충족이 내재화되어야 한다. 이때 아동은 원초적 욕구가 창조적 에너지로 발현될 때 사회성이 생겨나고 자아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 『훌라후프 돌리기 여왕』과 『달님을 잡아라』는 원초적인 전능감과 참자기가 주변 공동체의 환경으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아 자아실현을 가능케 해주는지를 보여준다. 자아실현은 아동에게 올바른 자아가 구축되어 자의식이 형성되어야만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더 나아가 자존감이 증진됨으로써 도달할 수 있다. 두 작품 속의 주인공 아동은 자신들의 승인과 인정을 획득하려는 내적 욕구와 그리고 성공하고 싶은 사회ㆍ문화적 갈망들을, 조망수용능력과 같은 총체적인 사회성을 가진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급받는다. 그러나 아동들의 자아실현은 사회적 성공 이상의 심리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두 작품에 등장하는 아동은 원초적 전능감과 참자기의 구축을 위하여 훌라후프와 야구를 사용한다. 후기전이대상인 ‘훌라후프’와 ‘야구’는 그들의 내적욕구를 표출할 수 있는 대상들이며 모든 열정을 투사하고 몰입하게 함으로써 삶에 희열을 가져다주는 후기전이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아동들은 이러한 현상을 따라 창조적인 사회ㆍ문화 활동으로 발현됨으로써 자아실현에 이르게 된다. Children's self-actualization should be discussed in a specific way according to their age and developmental stages. This is because the primordial sense of omnipotence and true self that is built up in infancy is a prerequisite for it. When the internalized omnipotence and true self become a primal need, and they are expressed as creative energy, children can reach self-actualization. The Hula Hoopin' Queen and Catching the Moon show how the primordial omnipotence and true self direct children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These children who have the true self may gain it by satisfying their inner needs. They, with inter-social capability later on, such as self esteem and perspective view, will be led to a successful life in their community. Children's self-actualization has a psychological significance. The hula hoop and baseball, the second transitional objects, can evoke the second transitional phenomenon. By sensing their omnipotence and true self, they will reach the fourth stage of self-actualization. Self-actualization that integrates the inner world with the outer world is an important social activity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인공지능의 의식

        김수임(Kim, Sooim),이우학(Lee, Woohak) 미래영어영문학회 2017 영어영문학 Vol.22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a conscious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not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human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focused on Richard Powers‘ Galatea 2.2. This novel borrows freely from Edelman’s principles rooted in neurology in its representation both of human and of artificial brains. Richard, the protagonist, tutors the neural network dubbed Helen that is modeled on human brains, first by reading her classical American literature, then current incidents. As a result, the computer is able to communicate like a human. Richard’s description of Helen’s gradual development of something like consciousness is an example of Edelman’s theory of neuronal group selection as applied to artificial mind. Moreover, the novel indicates that part of Richard’s discussion of metaphor follows Lakoff and Johnson closely in calling attention to the conceptual metaphors of cognitive linguistics. For example, Imp F shows the erroneous but astonishing leap by connecting old trees and the trees bald. Though F’s performance is not perfect, it means F’s ordinary conceptual system is fundamentally metaphoric.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study parallels between humans and neural nets.

      • KCI등재

        Narrative Levels and Anachrony in Heart of Darkness

        Lee, Woohak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4 동화와 번역 Vol.8 No.-

        콘라드(Conrad) 소설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추적하여 현재에 재현하는 일에 관심을 가진다. 『암흑의 핵심』의 말로우(Marlow)는 아프리카 오지 탐험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그 의미를 탐사한다. 이러한 과거 경험의 재구성으로서의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성찰적이고 시간의 문제를 담고 있다. 콘라드는 인간 경험의 회상과 재구성의 과정을 『암흑의 핵심』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작가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구조적으로 형상화했으며 서사적 실험의 결과가 작품의 의미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고 있다. 쥬네트(Genette)의 서사이론은 콘라드의 서사담론의 요소들이 어떻게 기능하고 상호연관을 지니는지 알아내는 분석의 틀을 제공하며, 이전의 비평가들이 밝혀낸 서사적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한다. 쥬네트가 『서사담론』에서 서술의 층위(narrative level)와 시간교란(anachrony)이라 규명한 서사기법이 콘라드의 시간관과 서사행위의 의미를 밝히는데 단초를 제공한다. 말로우는 커츠(Kurtz)의 삶을 이해할 필요성과 경험의 서사 욕망을 지니고 있다. 『암흑의 핵심』의 서사 층위 중 가장 중심에는 바로 커츠가 존재하고 이러한 경험과 사건을 어떠한 순서(order)로 배열하는지를 살펴보아 콘라드가 추구하는 진실 탐구의 과정을 밝혀내고자 한다. 콘라드는 회상(analepsis)과 예상(prolepsis)을 함께 뒤얽어 서술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시간의 연속성을 파괴하여 진실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과거의 사건을 서술하는 회상과 현재 상황 속에서 느끼는 미래에 대한 예감을 예상이라 하고 이들 두 시간 서술 기법이 혼재하여 있는 것이 콘라드 서사의 특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