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방서건물의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

        이용호(Lee, Yong-Ho),홍준호(Hong, Jun-Ho),조영흠(Cho, Young-Hum),황정하(Hwang, Jung-Ha)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3 No.1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the economy, environmentality, and complexity (economy+environmentality) of fire station building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propose ways to apply the optimization of renewable energy system to fire station buildings. As for economy according to life cycle costs, economy in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geothermal and solar heat system increased over the three renewable energy system types (geothermal, solar heat, and solar photovoltaic). On the other hand, economy de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increased. As for environmentality according to tons of carbon dioxide, environmentality de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geothermal and solar heat system increased. Environmentality in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increased. As for complexity (economy+environmentality) according to the weighted coefficient method, complexity in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geothermal system increased. It was highest at the combination of the solar heat system (20%) and geothermal system (80%). On the other hand, complexity decreased when the application percentage of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increased. It was lowest at the combination of the solar photovoltaic system (80%) and geothermal system (20%).

      • KCI등재

        LADM 기반의 지적모델 프로파일 연구

        이용호(Lee, Young Ho),홍성언(Hong, Sung Eon),정영진(Jung, Young Jin)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1

        다양한 공간정보의 생성으로 데이터의 구축 및 관리에 필요한 표준화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지적표준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지적재조사사업 등 대규모 국책사업을 통해 취득된 지적정보에 대한 표준적인 등록 및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지적 분야의 표준화에 관한 관심 및 제정을 위한 노력은 ISO/TC211, OGC와 같은 국제적인 표준화에 관한 연구와 제정 활동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표준개발에 적극적인 국내 GIS 분야와 비교할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제도적인 노력이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적시스템 및 해외 지적프로파일의 분석을 통하여 지적에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하고, 국제 지적 표준인 토지행정도메인모델(LADM)을 기반으로 지적모델을 프로파일링함으로써 지적정보의 구축, 관리, 활용을 위한 표준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Cadastral Standard as the basic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 has been emphasiz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s by the data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re are necessary the cadastral data model for the management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search abou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ion to cadastral standards sector like ISO/TC211, OGC standards.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adastral profile model based on the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because the cadastral sector has the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the GIS standardbred on the government level. Therefore this paper is to prepare the cadastral standard framework for using construction, management based on the profiling of LADM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 세계 지적측량제도 비교연구

        이용호(Lee, Young ho),황보상원(Whang Bo, Sang Won),서철수(Seo, Chul Soo) 한국지적학회 2010 한국지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2

        우리나라는 도면중심의 지적측량에서 점차 지상측량으로 변화를 도모하고 있고 있는데 이는 도면중심의 지적측량이 경계분쟁에 문제가 되고 있어 향후 한국의 지적제도를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적측량 분야의 선진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측량사연맹(FIG) 제7분과(토지행정 및 지적)에서 활동하고 있는 체코, 독일, 몽골, 홍콩, 남아프리카, 네덜란드, 불가리아, 헝가리, 리투아니아, 스위스, 덴마크, 스웨덴과 같이 12개 국가의 지적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설문은 우리나라가 지적측량의 선진화를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지적재조사 추진방향과 디지털 지적구축을 위한 미래지적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필지등록에 있어 지상경계 도입에 관한 연구

        이용호(Lee Young Ho) 한국지적학회 2017 한국지적학회지 Vol.33 No.2

        토지 소유자는 자신의 경계 위치에 따라 건물을 신축하거나 거래, 교환, 개발, 담보 등 다양한 부동산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토지의 위치, 면적, 권리 등에 관한 사항을 지적공부를 믿고 거래를 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지적공부의 내용과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적도(임야도)에 표시되고 있는 경계는 실제의 위치가 다름에 따라 부동산 거래 이후 지적경계에 대한 민원발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 부동산 공시제도의 한 축으로서 지적공부의 신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정부는 2030년까지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적경계의 품질을 확보한다고 추진하고 있으나 경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 없이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도 현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우려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계의 종류에 대해서 정의하고 현 도상경계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국제표준인 LADM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필지등록의 지상경계 도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있다. The land owners have been doing the real estate activities such as transfer, development, mortgage as well as the newly built building base on the parcel boundary. Also they are conveyancing the real properties using the cadastral recording that are including the position of land, area, interests because it is very useful and reliable for land transferring in real estate market. However, the boundary surveying by the cadastral surveyor are often different between the cadastral map and real situation in reality. So it is happen to make the boundary disputes and to increase the civil complaints annually. Therefore the cadastral institute as the system of public announcement make the bad affect in society. Although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for th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dastral boundary until 2030, they do not have the concept of the field boundary as well as not manage the efficient the cadastral data for being suitable the juridical cadastral institute. Thus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efficient registration method and management of the field boundary for the current situation. This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lear concept about field based boundary using LADM profiles in place of the current map based boundary.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이용호 ( Yong Ho Lee ),오영주 ( Young Ju Oh ),이욱재 ( Wook Jae Lee ),나채선 ( Chae Sun Na ),김건옥 ( Kun Ok Kim ),홍선희 ( Sun Hee Ho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6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4 No.1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 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The phytosoci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vegetaion in South Korea. The vegetation data of total 102 sit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Eleven community of coastal vegetation were recognized : Vitex rotundifolia-Rosa wichuraian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Suaeda australis community, Suaeda glauca-Atriplex gmelinii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Principal componant analysis (PCA) showed the similar result with phytosoiological classification.

      • KCI등재

        지적장애청소년의 커뮤니티 댄스 참여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이용호 ( Lee Young-ho ),홍혜전 ( Hong Hye-jeon ),정희정 ( Joung Hee-joung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청소년의 커뮤니티 댄스 참여가 운동수행능력인 운동협응력과 내적 타이밍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으로 커뮤니티 댄스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예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문화재단 주최 B댄스프로젝트의 ‘춤바람 커뮤니티’에 참가한 지적장애청소년 7명이며, 중재 프로그램인 FUN DANCE 프로그램은 주 1회 120분씩, 2016년 7월 9일부터 9월 23일까지 총 12주간, C대학교 체육관 무용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운동협응력은 아동운동평가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를, 내적 타이밍은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인 Interactive Metronom(IM)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Wilcoxon signed rank-sum을 이용하여 단일집단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p<.05). 그 결과, 운동협응력 평가 중 균형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내적 타이밍은 총 8개 과제 중 왼쪽과제, 양측 협응 과제, 손과 발의 조정된 점수,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는 커뮤니티 댄스 활동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지적장애청소년의 활발한 신체 활동을 위해 다양한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이러한 신체 활동이 용이하도록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pilot study to develop a new physical activ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ty dance on motor ability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ents(n=7)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dance community’ hos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ere recruited and performed community dance for 1 times(100min) per week for 12 weeks, consisting of a total of 12 times. Data were collected using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2(MABC-2) for coordination and Interactive Metronom(IM) for inner timing. The study employ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Wilcoxon signed rank-sum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s a result, balance scores in coordination and left, bilateral, and adjusted hands and foot scores in inner timing were increased, respectively. These preliminary pilot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 dance may improve motor ability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